한국 사회는

노동시간 OECD 2위라는 매우 긴 노동시간을 가진 국가 이기도 합니다.

물론 개인의 선택에 의해서 시간제를 선택해서 상대적으로 짧은 노동시간을 가진 분들도 계십니다.



하지만 노동 시간이 긴 분들이 대다수이기 때문에

노동 시간이 긴 분들을 대상으로 하여서 말을 해보겠습니다.


인간은 본래 하루종일 일을 할 수 없는 동물이라고 전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다운 삶을 보장 하기 위해서 현대 사회에서는

짧은 노동 시간을 추구 합니다.

이것을 누군가가 보면 생산성이 떨어지는 비효율적인 행위로 보지만...

다른 측면에서 보자면 서비스업이 발달 발전 될려면

불가피한 측면이 있습니다.

1,2,3차 산업에서

제조업단계에서 생산성이 특정한 시점을 넘게 되면

가능한 것 합니다.

하지만 한국 같은 경우는 아직 이러한 것은 특정계층에게만 가능한 것이기에...

그렇습니다.

말하자면 서비스산업을 발전 시킬려면

전 정권도 그랬지만 노동시간을 줄여야 되는데...

규제푼다는 이상한..사고방식을..하여서 좀 적어봤습니다.

물론 관광산업을 발전 시켜서 현재의 한국처럼 해외 관광객에 의존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근데 문제는 이러한 행위를 하게되면 한국이라는 국가적인 입장에서 보자면 +지만

타 국가에서는 -가 되기때문에 현재 트럼프와 같은 인간은 자연스레 만들어 질것으로 봅니다.



다시 본론으로 들어가자면 

사람은 일을 하는 동안에 자기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물론 안받으시는 분들도 계시지만...대다수가 적성에 맞는 일을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을 하는 것입니다.

인간이라는것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스트레스를 풀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여기서 스트레스 해법은

사람마다 각자 다르고 그러한 것들을 취미생활의 일환으로

행동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게이머로 보자면

게임을 통해서 스트레스를 해소한다고 볼수 있습니다.


남자,여자로 따지자면

남자는 경쟁 여자는 어떠한 것을 완료한다는 측면으로 게임을 접근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근래의

유저들의 게임에 대한 이용 패턴을 보자면

스마트폰의 자동사냥과 어떠한 단순함이 결합이 된 게임을 선호하기도 하는것 같습니다.

이러한 근거가 되는 것은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049821

출처입니다.

단순한 반복적인 행위를 통해서

사람들은 정신적인 안정을 추구할수 있으며

더불어 스트레스를 해소 한다는 내용입니다.


특히나 현대사회에서는 사고(생각)을를 많이 해야 되는데

이러한 사고를 하는 와중에 아이디어를 떠오르게 하기 위해서는 창의성이 발현이 되어야 되는데

스트레스가 가중된 상황에서는

이러한 점이 매우 힘들다라는 것 또한 유추해 낼 수가 있습니다.

말하자면 현재 게임사들이 만들고 서비스하는 게임들의 질이 낮은것이 이러한 원인이 아닌가라고 생각이 듭니다.



다시 왜 사람들이 단순한 게임 좋아하는것가로 보자면

어떠한 단순반복 작업을 함으로써 스트레스를 해소 할 수 있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그러한 게임을 선호 한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 반복을 통한 비우기…스트레스 해소 효과 있다
구보타 기소 교수 교토대 명예교수는 이런 제품들의 효과를 분석하며 '손'에 주목합니다.
이런 취미 활동의 공통점이 바로 '손을 쓴다'는 것인데 손은 '외부의 뇌'로, 손으로 하는 단순한 반복이 신경계를 활성화해 정신의 안정이 유지된다는 설명입니다.사람이 불안을 느낄 때 뇌에서 정서를 담당하고 있는 부분인 '변연계'가 활성화되는데, 손을 자꾸 움직이면 그 자극이 뇌의 다른 부분으로 쏠려 불안을 잠재울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 이른바 '멍 때리기' 효과와 관련지어 설명하는 전문가도 있습니다.
단순 작업을 반복하면서 우리 뇌가 '멍 때리는' 것처럼 잠시 '쉬는 시간'을 갖게 된다는 겁니다. 사실 멍하니 있을 때 우리 뇌에서는 신비로운 현상이 일어납니다.
바로 '휴지 상태 네트워크(rest state network)' 또는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efault mode network)'라고 불리는 부분이 활성화되는 건데요, 미국 워싱턴대 의대의 뇌과학자 마커스 라이클 교수가 발견한 이 부분은, 통찰이나 창의성을 지원하는 두뇌 회로입니다.
그리고 이 부분이 활성화되면 뇌가 최상의 상태로 회복하는 일종의 '충전'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가 활성화되면 서로 연결되지 못하는 뇌의 각 부위가 연결되기도 하고, 창의성이 풍부해지며 특정 수행 능력도 향상된다는 연구 결과들이 잇달아 발표되기도 했습니다.
출처 : SBS 뉴스
원본 링크 :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049821&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