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통신료, 전기료와 같은 비금융정보를 활용해 개인 신용도를 평가하는 전문 신용조회(CB)회사를 도입하기로 했다. 지금은 카드 실적과 같은 금융정보 위주로 신용등급을 매기다 보니 주부나 학생처럼 금융 이력이 부족한 이들이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고 있단 지적이 많다. 정부는 개인사업자 신용등급만 매기는 전용 CB사도 도입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21일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신용정보산업 선진화 방안’을 발표했다. CB사는 개인과 기업에 대한 신용정보를 수집해 신용을 평가하며, 이들이 매긴 신용도는 은행 대출, 신용카드 발급 등 금융거래 전반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현재 국내엔 6개 CB사가 있는데, 이중 나이스평가정보, KCBSCI 3곳은 개인의 신용도를 평가하는 회사다. 하지만 이들 3곳 모두 금융거래 정보 위주로 개인 신용도를 매기는 터라, 신용카드를 거의 쓰지 않는 주부나 학생은 상대적으로 신용등급이 낮게 매겨질 수밖에 없고 이 탓에 금리가 싼 시중은행에서 대출 받기가 어렵다. 




정부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금융정보 전문 CB사를 도입하기로 했다. 말 그대로 통신ㆍ전기ㆍ가스 요금, 온라인 쇼핑내역,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같은 비금융 정보만을 활용해 개인신용을 평가하는 회사다. 이미 미국에선 이런 회사들이 성업 중이다. 파이코(FICO)는 통신료와 공공요금 납부정보 등을 활용한 신용위험 측정모형을 개발해 약 1,500만명의 금융이력 부족자에 대한 신용점수를 새롭게 산출했다. 렌도(Lenddo)는 SNS 친구, 포스팅 등 260억개의 데이터를 머닝러신으로 분석해 개인 신용을 평가한다. 정부는 비금융정보 전문CB사엔 진입 문턱을 낮춰주기로 했다. 현행 CB사는 50억원의 자본금을 갖춰야 하는데 이 기준을 대폭 완화하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렌도처럼 SNS를 분석해 신용도를 매기는 CB사는 자본금 요건이 5억원이고, 통신료 납부 내역처럼 정형정보를 활용하는 회사는 20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