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가 14일 '3·1운동'의 '3·1혁명'으로의 명칭 변경 논의를 제안함에 따라 내년 '3·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과 맞물려 활발한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3·1거사를 '운동'으로 부르는 것은 낮춰 부르는 것이니 '3·1혁명'이라는 바른 이름, 정명(正名)을 찾아줘야 한다는 주장은 예전부터 나왔다.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은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1919년 당시 조선의 인구가 1천750만명이었는데 인구의 10분의 1 이상인 220만명 정도가 독립만세 항일투쟁에 참여, 2만3천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하고 4만6천명 정도가 투옥됐다"며 "남녀·빈부·종교·신분·지역에 상관없이, 심지어는 기생과 백정들까지 참여했다"고 말했다. 이어 "세계 혁명사에 전체 인구의 10분의 1 이상이 참여한 것은 처음이고, 봉건왕조에서 민주공화제로 바꾼 계기가 된 점, 조선 여성들이 처음으로 역사적 사건에 앞장섰다는 점 등을 봤을 때 당연히 '혁명'이라고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역사는 모름지기 정명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프랑스 대혁명도 처음에는 반란이라 했었고, 1894년 농민봉기는 동학란, 4·19는 의거, 5·18은 사태라고 하다가 제 이름을 찾았다"며 "3·1혁명을 '운동'이라고 몇 단계 낮춰 부르는 것은 선열들에 대한 모독"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