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환경 파괴'라는 딱지를 붙여 4대강 보를 아예 철거하거나 상시 개방해 강물이 늘 흘러가도록 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그러나 지역사회에서는 보가 그간 농업용수 공급과 교통로 확보에 효자 노릇을 해왔다며 강하게 반대하고 나섰다. 수천억 원을 들여 만든 보가 제 기능을 하는데 왜 허무느냐는 얘기다. 실제로 정부가 해체한다는 세종보에는 1800억원, 공주보에는 1100억원, 죽산보에는 1600억원에 달하는 사업비가 투입됐다. 그런데 환경부 발표대로 이를 해체하려면 다시 896억원(세종보 114억원, 공주보 532억원, 죽산보 250억원)이 추가로 든다. 정부가 나랏돈을 너무 낭비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특히 공주시 쪽에서 강력하게 반발하는 모습이다. 공주보는 공주 강북지역과 원도심을 연결하는 교량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하루 평균 통행량이 5000여 대에 달한다. 보 인근에는 시민 안전과 직결된 의료원·소방서·경찰서 같은 공공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공주보가 없으면 차량이 우회도로를 통해 이들 시설까지 접근하는 데 20분이 더 걸리게 된다. 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 때문에 공주시내 380여 개 마을 주민들은 최근 연대서명을 받는 등 공주보 철거 반대 운동에 나섰다.








이들은 공주보 인근에 '공주보 철거를 반대한다' '철거비로 유지 보수하라' 등의 내용이 적힌 현수막 수십 개를 내걸기도 했다.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 기획위원회 차원에서는 이런 점을 고려해 공주보의 다리 기능을 유지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지만 최종 결론이 어떻게 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저수량 자체가 감소하는 것이 더 큰 문제라는 지적도 많다. 이국현 공주시 이·통장협의회장은 "부분 철거라고 하지만 보 기능이 사실상 상실되면 공주지역 상당수 농민이 지하수 고갈 등으로 하우스 농업과 축산업 등에 막대한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특히 아예 철거하기로 한 세종보 쪽은 유량 부족이 심각하다는 평가다. 공주보 상류에 있는 세종보는 주변 경치가 아름다워 정부가 지정한 '금강 8경' 중 7경에 해당한다. 보 수문이 닫혀 있던 2017년 10월 이전까지만 해도 시민들이 주말이나 공휴일은 물론 평일에도 즐겨 찾던 곳이다. 그런데 현 정부가 2017년 11월 보 수문을 부분 개방한 데 이어 작년 2월부터 전면 개방한 뒤 현재 바닥이 완전히 드러나면서 흉물스럽게 변했다는 게 지역사회에서 나오는 목소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