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면 포식자인 부엉이는 왜 오리알을 알아보지 못하고 품어 부화시킨 걸까. 심지어 아메리카원앙의 알은 부엉이 알보다 길쭉하며 부피 역시 두 배에 달한다. 과학자들은 이런 현상에 보통 ‘초정상 자극’(supernormal stimuli)의 개념을 대입한다. 초정상 자극은 자연스러운 것보다 인위적이고 자극적인 것에 더 끌리는 본능적인 현상을 말하는데, 새에게 진짜 자신의 알보다 더 알록달록한 알을 주었을 때 더 애착을 갖고 품는 사례가 그것이다. 뻐꾸기 역시 뱁새라 불리는 포식자 붉은머리오목눈이의 둥지에 자기 알을 밀어넣어 ‘초정상 자극’을 노린다. 뻐꾸기 알은 숙주의 알보다 더 크고 밝은데, ‘초정상 자극’에 눈이 먼 뱁새는 자신의 알 대신 뻐꾸기 알을 품어 부화시킨 뒤 입에 먹이를 물어다 주곤 한다. 아르투소는 이런 현상은 드물게 발생해 정확한 빈도는 모르지만 이 같은 사례를 또 접하게 되어 기뻤다면서 둥지를 떠난 오리는 살아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
엌... 오리알인지 모르고 품었는데 오리가 땋 !!!

둘다 넘나 귀엽다 ㅠ..

오리는 한번 본것을 어미로 생각하고 따라다니는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