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관계자는 15일 “최근 북미 대화 흐름이 바뀌고 있고 이 국면을 놓치면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내 비핵화 협상 진전이 어려워질 수 있는 상황”이라며 “트럼프 대통령도 이 대목을 공감하는 만큼 비핵화 프로세스에 대한 접점을 찾고 대화를 제 궤도로 돌려놓으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초 유엔총회는 이낙연 국무총리가 참석할 예정이었다. ‘하노이 노딜’ 이후 북미는 물론 남북 관계도 교착 국면에 빠지면서 문 대통령이 움직일 ‘공간’ 자체가 협소했다. 하지만 최근 북미 기류가 급변하고 한미 모두 정상 간 만남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확인하면서 뉴욕행이 이뤄졌다. 문 대통령으로선 북한이 체제 안전보장에 대한 확약을 원하는 상황에서 비핵화 상응조치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전향적 메시지를 끌어내는 게 관건이다. 북미가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포괄적 로드맵과 단계별 이행계획을 놓고 ‘밀당’을 벌이는 상황에서 ‘중재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관측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정부가 ‘하노이 노딜’ 이후 강조했던 포괄적 합의, 단계적 이행안은 트럼프 대통령이 유연한 접근을 시사한 현시점에서는 상당히 현실적인 안”이라고 설명했다.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자문연구위원은 “남북 관계 돌파구가 절실한 상황에서 개성공단은 안 되지만 금강산관광 재개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의 뉴욕행은 지난해 상황과 맞물려 더욱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9월 18~20일 평양 방문 이후 나흘 만에 뉴욕 유엔총회를 계기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했다. 문 대통령에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속내를 전해 들은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협상 타결을 위한 굉장한 열의를 갖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며 2차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확신을 밝혔다. 그간 북한이 ‘통미봉남’(先美後南)식 태도를 견지했지만, 역설적으로 회담 성과에 따라 문 대통령의 촉진자 입지 강화는 물론 남북 관계도 새 국면으로 접어들 수 있다는 의미다.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종료 과정에서 불거진 한미 동맹 균열 우려를 불식하는 것도 중요한 포인트다. 한일 정상회담 가능성은 희박하다. 청와대 관계자는 “유엔총회는 여러 가지를 다 해결하는 자리라기보다 선택된 일정을 중심으로 진행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