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가디언, 뉴욕타임스(NYT), AFP 등 외신에 따르면 이스라엘 고위 관리들과 정착촌 단체는 미국의 정책 전환은 이스라엘이 정착촌을 영구적으로 통치하는 시기가 무르익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는 요르단강 서안 등을 더는 점령지구가 아니라 정식 이스라엘 영토로 편입하는 조치로, 팔레스타인이 향후 협상을 통해 국가가 되더라도 사실상 다스릴 영토가 없어지는 것을 뜻한다. 극우파로 이스라엘의 전직 법무장관인 아옐렛 샤케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이번에 사실상 정착촌을 국제법적으로 인정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에게 자기 트위터를 통해 감사를 표했다. 샤케드는 "유대인은 옛날 영토에서 살 법적이고 도덕적인 권리를 갖고 있다"면서 "지금이야말로 우리의 영토 주권을 이 지역에 적용할 때"라고 말했다. 이스라엘 정착촌 옹호단체인 예샤 카운슬도 이스라엘 정부가 즉각 정착촌에 대한 주권을 선포하라고 촉구했다. 우파 성향인 베냐민 네타냐후 현 이스라엘 총리의 지지세력인 정착민들은 미국의 정책 변화가 이스라엘의 정착촌 영토 병합의 길을 열었다고 평가했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외교장관도 이를 축하하면서 "유대인들의 이스라엘 땅에 대한 권리는 반론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그간 트럼프 행정부의 친이스라엘 행보에 어지간히 익숙해진 팔레스타인 측도 이번 조치에 대해 분노했다. 팔레스타인 고위 관리인 하난 아쉬라위는 미국은 국제법을 다시 쓸 권리가 없다면서 "이스라엘 정착촌은 국제법에 대한 중대 위반이자 전쟁 범죄로서, 트럼프 행정부가 변경할 수 없는 엄연한 사실"이라고 말했다. 팔레스타인의 대표 협상가인 사에브 에레카트도 트럼프 행정부가 국제법을 '힘이면 다 된다'는 정글의 법칙으로 대체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미국이 유엔 등 국제사회와 함께 이스라엘 정착촌에 대해 불법이라고 지난 40여년 동안 견지해온 입장을 뒤집은 것은 팔레스타인 문제의 평화적 해결 노력을 끝장낼 수 있다고 NYT는 우려했다. 그러잖아도 이스라엘 정착촌의 존재 자체가 '2국가 해법'에 따른 협상을 어렵게 만들었는데 이번에 정착촌을 사실상 합법화함으로써 팔레스타인 영토 병합의 주요한 걸림돌을 제거했기 때문이다. 네타냐후 총리는 미국의 결정에 대해 "역사적 진실"을 반영한 것이라며 유대인은 유대와 사마리아(요르단강 서안) 땅에 외국인 식민주의자가 아니라고 말했다. 중도파인 베니 간츠 청백당 대표는 미국의 조치를 조심스럽게 환영하면서도 "안보에 대한 요구와 평화를 증진하는 방향으로 요르단강 서안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미국의 입장 변화는 네타냐후 총리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