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광화문광장은 거대한 행사장입니다. 새 광장도 또 다른 행사장이 되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교통을 우회하면서까지 월대가 꼭 광장 안에 있어야 하나요?" 7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을 주제로 열린 1차 시민 대토론회에 참석한 시민 300명이 쏟아낸 의견 중 일부다. 이들은 10명씩 조를 이뤄 7시간 남짓 광화문광장 조성 원칙과 운영 방안에 관한 원탁 토론을 벌였다. 시민 성모 씨는 "지금 광화문광장은 거대한 행사장"이라며 "월·화요일은 행사 준비로, 목요일에서 일요일까지는 대형 텐트와 무대가 있는 행사로 채워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성 씨는 "새 광장도 시민이 참여하는 일상 프로그램으로 채워진다면 또 다른 거대한 행사장이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새 광장 조성에 따른 교통 문제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줄을 이었다. 장모 씨는 "교통을 우회하면서까지 월대가 꼭 광장 안에 있어야 하냐"며 월대 복원의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홍모 씨는 모든 시민이 새로운 광장 조성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하고 "시민이 원치 않으면 긴 시간을 두고 단계적으로 교통 문제 등을 해결하면서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정모 씨는 "광장은 네트워크의 거점이 돼야 하는데 지금은 다른 가치를 만들려고 하니 문제가 되는 것 같다"며 광화문과 광장을 지하도로로 연결하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서울시가 10월 22일∼11월 12일 시민 1천3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쉴 공간이 부족하고 집회가 많다는 불만이 많이 나왔다. 응답자의 44.5%는 새 광화문광장을 시민휴식공간과 도심 공원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답했고, 문화행사 공간이 21.8%로 뒤를 이었다. 집회 및 시위 대책에 대한 의견도 잇따랐다. 한 시민은 광화문 집회·시위 특별법을 제정해 시민 운영회를 통해 시위 소음이 지나친 단체를 퇴출하는 '삼진아웃제'를 제안했다. 기타 아이디어로는 집회 교육 확대, 소음 규제 강화, 버스킹 및 푸드트럭 운영 등이 있었다. 
















주제 발표를 맡은 전문가들도 추진 방향 등에 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남은경 경제정의실천연합 도시개혁센터 국장은 "오세훈 시장 시절 700억원을 포함해 10년간 광화문광장에만 2천억원의 예산이 중복 투자되고 있다"며 "예비타당성조사도 면제돼 예산이 적절한지 검증하는 단계도 거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남 국장은 "많은 세금이 투입되는 만큼 검증이 필요하다"며 "차량을 줄일 수 있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홍경구 단국대 건축학과 교수는 "광화문광장은 정치 공간보다 일상의 즐거움을 느끼는 공간이어야 한다. 다양한 시민 참여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며 "주변 건물과 호흡하고, 많은 사람이 머물 수 있는 공간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성진 한국문화기획학교 교장은 "시민 스스로 집회 및 시위 규칙을 만들어 광장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서울시는 토론 내용을 바탕으로 조성 방향이 정해지면 내년에 구체적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