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레바논에서는 폭발 다음 날인 5일(현지시간) 오전부터 소셜미디어 트위터 등으로 "교수형에 처하자"라는 뜻의 아랍어 해시태그가 급속도로 퍼져나가고 있다. 최소 135명이 숨지고 4천명이 다친 대참사의 책임 소재를 놓고 그동안 쌓일 대로 쌓인 국민들의 분노가 터져 나온 것이다. 이날 참사 현장에 나온 사드 하리리 전 총리 일행을 향해 거칠게 항의하는 시위대의 모습도 포착됐다. 하리리는 권력층 부패에 항의하는 시위에 밀려 지난해 10월 사임한 인물이다. 이같이 분노가 들끓는 이유는 전날 폭발 참사의 원인으로 지목된 질산암모늄이 알고 보니 6년간 항구 창고에 방치돼왔으며, 당국자들은 관리 책임을 나 몰라라 한 채 사실상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다는 의혹 때문이다.
















레바논 정부는 진상을 규명하겠다며 베이루트 항구 직원들을 가택 연금했지만 정작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도 명확히 드러난 게 없다. 오히려 세관 공무원들이 2014∼2017년 사이 최소 6차례나 법원에 편지를 보내 창고에 쌓여있는 질산암모늄 처분 지침을 달라고 요청했으나 실제로는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NYT가 현지 공문을 인용해 보도했다. 항구 측 총책임자는 NYT에 이 같은 공문 내용이 사실이라고 언급하면서 "경매에서 처분된다고 듣기는 했지만 실제로는 경매가 열리지 않았고 법원은 아무런 움직임도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전날 폭발에서 그의 동료 4명이 숨졌다. 애초에 문제의 질산암모늄이 어쩌다 베이루트 항구로 들어왔는지도 미스터리다. NYT는 질산암모늄을 싣고 2013년 11월 입항한 화물선의 선주로 한 러시아 사업가를 지목했다. 몰도바 국적의 이 화물선은 조지아를 출발해 모잠비크로 가던 중 항로를 우회해 베이루트로 입항했는데, 그 배경에는 선주와 선장 측 사이에 돈 문제가 걸려있었다는 것이다. 당시 선장은 NYT에 "선주가 수에즈 운하 통행료를 내줄 수 없다고 해 추가 화물을 실어보려고 베이루트에 입항했다"면서 "하지만 선주가 항구 이용료를 내지 못했고, 이에 따라 레바논 당국자들이 화물선을 몰수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