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참모본부는 25일 동부전선 GOP(일반전초)에서 과학화 경계 시스템을 언론에 공개하며 약 한 달 만에 월남 사건 조사 결과도 일부 공개했다. 합참은 북한 주민의 월남 사건을 계기로 광망을 정밀분석한 결과 주요 구성품 중 하나인 '상단 감지유발기'의 나사가 당시 풀려 있어 경보음이 울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최전방 GOP에 설치된 광망은 사람이나 동물이 철책을 넘거나 절단할 때 경보음이 울려 즉각적인 경계 병력 투입에 핵심적 역할을 한다. 현장에서 살펴본 광망은 기존에 있는 철책 위에 광섬유 소재로 된 그물망 형태 철조망을 덧댄 형태로, 성인 신장의 두 배가 넘는 높이였다. 이 그물망에 일정한 인장력(끌어당기는 힘)이 가해지면 경보음이 울린다. 대형 그물망 중간중간에는 철조망을 지탱하기 위한 알파벳 와이(Y)자 형태 브라켓이 철책 기둥 위로 설치돼 있고, Y자 브라켓 중 일부에는 '상단 감지 브라켓'이 설치돼 있다. 또 Y 브라켓 맨 끝부분마다 작은 직사각형 형태의 '상단 감지 유발기'가 달려있다.

























사람이 철책을 절단하지 않고 넘으려면 어떤 식으로든 하중이 실릴 수밖에 없어 모든 게 '정상 작동'했다면 경보음이 울리도록 나름 촘촘하게 설계돼 있다. 그런데도 지난 3일 50여kg의 기계체조 선수 출신으로 알려진 북한 남성 A씨가 고성 지역의 GOP 철책을 뛰어넘을 당시엔 아예 울리지 않은 것이다. 합참은 우선 A씨 월책 지점에는 감지 브라켓이 아예 설치돼 있지 않았고, 감지 유발기의 경우 내부를 뜯어 분석한 결과 하중을 감지해 광섬유를 누르도록 설계된 나사가 제대로 고정돼 있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나사가 풀린 건 비·바람 등 외부 요인을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외부 요인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부품임에도 정작 2015∼2016년께 구축이 완료된 이후 단 한 차례도 점검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육안 점검 등 매뉴얼이 있긴 있지만, 이 부품에 대한 점검 매뉴얼은 별도로 없다는 게 합참 설명이다.

























여기에 군은 A씨가 '날렵한 몸'을 이용해 당시 철책을 훼손하거나 절단하지 않고 철책 기둥에 몸을 의지한 채 브라켓을 오른 뒤 철책 남쪽으로 뛰어내리면서 광망 철조망에도 경보음이 울릴 정도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은 것으로 추정했다. 군 관계자는 "광망은 기본적으로 철책 절단이나 훼손 같은 적의 침투 수법에 대비해 설계돼 있다"며 "군인이면 그렇게 넘어오진 않았을 것"이라고 거듭 설명했다. 그러나 이는 바꿔 말하면 결국 모든 '침투'를 막을 수는 없다는 의미가 된다. 군이 '만능'처럼 여겨온 과학화 경계 시스템의 근본적 한계가 노출된 셈이다. 합참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우선 상단 감지 유발기에 대한 전수조사에 착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