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아스텔리아는 체질의 효율성에 대한 이야기가 대두되면서 유저들 사이의 작은 논란이 일었다. 체질의 너무 높은 효율은 다른 스탯과 비교불가 수준으로 스탯 사이의 밸런스 붕괴를 우려한 것. 게임 초창기부터 각각의 클래스는 가장 적합한 스탯 찾기에 여념이 없었는데, 현재에 이르러서는 직업 불문 체질의 효율성을 쫓아갈 수 없다는 결론이다.

로그, 아처 같은 물리 계열 딜러는 물리 명중력을 최우선으로 여겨서 힘, 민첩, 손재주 중 민첩을 최우선으로, 손재주를 그다음으로 뽑아왔다. 마법 딜러인 메이지 역시 지능, 지혜, 지식, 정신 중 마법 명중력이 상승하는 지혜를 우선으로 투자하고, 지식을 다음으로 성장시켰다.

이는 게임 내 전투에서 명중률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인데, 명중률이 낮으면 공격 성능이 크게 떨어지므로 다들 명중률을 우선으로 여겨온 것. 탱커인 워리어, 힐러인 스칼라 역시 혼자 사냥할 때를 고려하여 해당 옵션을 세팅하는 등 민첩, 지혜 옵션 장비는 인기 품목이었다.


▲ PvE 전투에서 명중은 중요한 부분이다.



한동안은 명중력을 중심으로 한 세팅이 보편적이었지만, 장비 세팅이 어느 정도 이뤄진 후 주요 콘텐츠로 결투장, 아바론이 활발하게 이용되면서 체질 위주 세팅에 대한 빛을 발하기 시작했다. 특히 게임의 대표 힐러인 오라클은 체질 위주 세팅으로 엄청난 효율을 보이기에 논란의 불씨가 되기도 한 것.

아스텔리아의 PvP는 아스텔 싸움이라고 여겨질 만큼 아스텔의 역할이 굉장히 큰 부분을 차지하고, 강력한 아스텔의 공격을 버티기 위해서는 체질로 생명력을 높일 필요가 있는 것. 게다가 아스텔은 매서운 공격뿐 아니라 이상상태 성공 확률도 높아서 체질이 부족하다면 순식간에 많은 생명력을 뺏길 수 있다.

사실 PvP 시 아스텔 성능에 대한 건의는 꾸준했는데, 체질 논란은 그 연장선이나 마찬가지. PvP에서 아스텔이 강하니깐, 이를 버티기 위한 체질이 중요해지고, 이 와중에 체질의 효율성이 다른 스탯에 비해 우월하다는 점이 수면 위로 떠오른 셈이다.

현재 많은 유저의 아스텔이 강화될 만큼 된 상황으로, PvP는 아스텔의 맹공을 더 잘 버티는 사람이 승리를 거머쥘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결투장부터 아바론까지 랭커들을 살펴보면 극단적으로 체질에 스탯을 집중한 유저를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 PvP 시 아스텔의 맹공을 버티는게 중요하다.



그럼 체질의 다른 스탯에 비해 성능이 좋은 이유는 뭘까? 체질은 마법 방어력, 기력과 더불어 대표적으로 생명력이 눈에 띄게 상승한다. 반면, 명중률은 일정 수준만 세팅하면 초과하여 세팅할 필요가 없고, 다른 스탯들도 수치에 비해 능력 상승률이 높지 않은 편.

딜러들이 생존력을 높이기 위해 세팅하는 회피력은 적의 공격을 완전히 피할 수 있지만, 아무리 능력을 높여도 체감상 성공 확률이 높게 느껴지지 않는다. 따라서 회피력에 투자하던 유저들 역시 체질이 더 효율적이라며 한탄하는 중.

특히 힐러인 오라클에게 체질은 엄청난 효율을 보인다. 오라클이 지닌 스킬 중 단일 회복 기술인 '리뎀션'과 범위 회복 기술인 '디보션'은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주문력이 높지 않아도 충분한 회복량을 가진다. 즉, 체질을 높이고 아스텔로 적을 공격하며 두 회복 스킬을 바탕으로 한 버티기에 돌입하면 PvP에서 높은 승률을 기록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이상상태 관련 능력은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데, 해당 능력들이 없어도 이상상태를 사용, 회복하는데 불편함이 없기 때문. 한편에는 이런 일방적인 능력의 편차가 직업별 특징을 살리기에도 적합하지 않고, 밸런스 붕괴를 야기할 수 있다며 걱정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럼에도 현재는 공격에 명중, 생존에 체질이 가장 중요한 능력으로 여겨지고 있고, 그마저도 아바론, 결투장 위주의 유저라면 체질 중심의 세팅이 고려되고 있다.


▲ 한동안 체질의 성능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왔다.

▲ 탱커를 비롯해 오라클에게 체질은 강력한 스탯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