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육상 200m 결승 경기에서
미국의 토미 스미스가 1위, 호주의 피터 노먼이 2위, 미국의 존 카를로스가 3위를 기록하였는데
시상식에서 큰 사건이 터집니다.


바로 시상식에서 인종차별에 항의하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던것 때문이었습니다.

(당시 미국내 인종차별이 극에 달해있었고 저 무렵 마틴 루터킹 목사 등 인종차별철폐를 주장한 인물들이
암살당하는등 혼란했던 시기였음)

더욱 놀라운 사실은 미국내 인종차별과는 전혀 상관없는 호주 출신 백인 피터노먼도 이 퍼포먼스에 동참했다는거.

오히려 퍼포먼스를 하기 위해 준비한 장갑을 두고 온 존 카를로스에게 스미스와 장갑을 한짝씩 나눠끼면 되지 않겠느냐 제안했던 사람도 피터 노먼.



이사건으로 당시 IOC위원장 미국인 에이버리 브런디지는 "불순한 의도로 올림픽 정신을 훼손한 니그로들의 추태."
라고 맹비난하였고 토미 스미스와 존 카를로스는 시상식이후 바로 미국육상계에서 퇴출당하게 됩니다.

(메달 박탈 여론도 거세었고 살인예고까지 여러번받았으나 추후 복권됨)

호주로 귀국한 피터 노먼의 상황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았는데요.

당시 백호주의(white australia policy,미국 인종차별의 호주버전)가 
만연해있던 호주에서도 이 사건으로 난리가 나게 됩니다. 

결국 호주에서 가장 빠른 사나이 피터 노먼은 차기 올림픽 출전권도 빼앗기고 다시는 올림픽에 나오지 못합니다. 게다가 호주 언론에서는 피터노먼의 처벌을 주장하고 동료선수들에게 규탄당하고 사회적으로 멸시당하는 지경까지 이르게 됩니다.

호주 올림픽 위원회 측에서는 " 토미 스미스와 존 카를로스를 비난하면 복권해주겠다." 라고 수차례 꼬드겼지만



피터 노먼은 그럴수는 없다며 매번 제의를 거절합니다. 자국 육상계에서 쫓겨나고 시골체육교사 자리를 전전하면서도 꾸준히 인종차별철폐운동에 동참하는등 끝까지 신념을 꺾지 않았습니다.

이런 상황이다보니 몇십년동안 우울증, 알콜중독 다리절단위기로 수차례 수술을 받고 
건강까지 악화되어버리게 됩니다.


2000시드니 올림픽 무렵 열린 호주 출신 메달리스트들의 행사에도 초청받지 못한 피터 노먼을 기억해준 것은
다름 아닌 미국육상협회. 

특별게스트로 피터노먼을 초청하여 융숭히 대접합니다.

올림픽 허들 금메달리스트 에드 모제스가 친히 영접하러 나오고



미국 육상 레전드 마이클 존슨은 "당신은 나의 영웅이다." 라며 극찬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사실 몇십년동안 피터 노먼의 가족들이 명예회복을 위해 애썼으나 호주올림픽위원회는 
"애초에 우리가  피터노먼을 부당하게 대우한적이 없는데 무엇을 사과하나?" 배째라식으로 나옴)

이 일로 피터노먼의 이야기가 다시 수면위로 떠오르게 됩니다.


<사건 이후로 절친이 된 3명의 레전드들>

미국 측에서는 이에 그치지 않고 토미 스미스의 모교였던 산호세 주립대학에 조각상까지 세워 이들의 용기를
기리게 됩니다.

"나는 아무것도 한게 없다, 누구든지 내가 섰던 자리에서 저 위대한 선수들을 기억하기를 바란다." 라는
피터 노먼의 의사가 반영되어 2등자리가 비워진 채로 조각상이 세워지게 됩니다.

그러던중 피터 노먼은 2006년 심근경색으로 타계하게 되었고



뜻을 같이 했던 두 절친이 미국에서 날아와 고인의 마지막을 함께 지켰습니다.

"피터는 배지를 달 이유도 없었고 그는 미국인도 흑인도 아니었다, 우리의 생각에 동조할 필요도 없었다
하지만 그는 그런 사람이었다 우리는 우리의 친구를 잃은것에 대해 진심으로 슬프다." - 고별사 중


미국육상협회에서는 피터 노먼의 기일 10월9일을 "피터 노먼의 날."로 선포하여 고인을 기렸지만

여전히 호주올림픽위원회 측은 가족들의 명예회복 요구에도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다

피터노먼 사후 6년이 지난 2012년

 "피터노먼에 가해진 처사들이 불합리하고 가혹하였으며 노먼의 행동은 영웅적이었다." 

라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하여 사실상 사건 발생 후 44년만에 고인이 되어서야 어느 정도 명예회복이 되었습니다.

(사실 AP통신 등의 외신에서는 너무 늦은 사과라고 비판함)

그리고 사건 발생 후 50년이 지난 2018년 호주에서 피터노먼에게 자국 최고 영예인 공로훈장을 수여함으로서

반세기만에 완전한 명예회복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우리는 약간의 좌절을 맛보았을 뿐이지만 그는 자신의 조국과 맞서 고독한 싸움을 해야 했다."

-1968년 육상 200m 동메달리스트 존 카를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