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침례대 브루스 루이 강사는 1997년 7월 1일 홍콩이 영국에서 중국으로 반환되기 2년 전 창간한 빈과일보가 주권 반환에 대해 불안함을 느낀 홍콩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고 말했다. 루이 강사는 "빈과일보가 단순한 언론매체나 신문이 아니었다는 점은 분명하다"면서 "빈과일보는 중국 정부의 통제에 대한 보통 홍콩인들의 불안과 좌절에 호소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빈과일보는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에 대한 중국 정부의 인내심을 시험하는 온도계이자 상징적인 조직이었다"고 덧붙였다. 홍콩 중문대 정치학자 이반 초이는 빈과일보의 폐간이 한 시대의 종말을 고한다고 밝혔다. 그는 "빈과일보의 인기는 일국양제에 대한 일부 홍콩인들의 불안에 기인한다"며 "권력층을 신뢰하지 않는 홍콩인들의 마음도 사로잡았다"고 말했다. 홍콩중문대 프란시스 리 교수는 "신문의 접근방식을 못마땅하게 여기는 것과 그것을 범죄시하는 것은 다른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신문이 선정적인 보도를 한다고 생각한다는 이유만으로 신문을 폐간시킬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설사 빈과일보에 외국 정부의 행동을 촉구하는 비판적인 글이나 의견이 실렸다고 할지라도 출판을 문제삼는 것은 표현의 자유를 보호해야한다는 전통적인 시각에서 볼 때 바람직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홍콩 주해학원(珠海學院)의 피터 콴와이 교수는 빈과일보의 사주 지미 라이(黎智英)가 2019년 반정부 시위를 이끄는 역할을 하면서 돌아올 수 없는 선을 넘어섰다고 지적했다. 그는 라이가 2014년 우산혁명 시위 참여에 이어 2019년 반정부 시위에서는 선도적인 역할을 한 것은 언론사 사주로 부적절한 행동이었다며, 빈과일보가 신문의 역할을 넘어섰다는 정부의 의견에 동의한다고 말했다. 홍콩 항셍대 폴 리 교수는 "빈과일보는 인권과 민주주의 같은 이슈에서 강한 입장을 견지한 편파적 신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빈과일보가 그러한 가치를 옹호한다고 말할 수 있지만 동시에 빈과일보의 독특한 특징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라며 "지지자들에게는 빈과일보가 그들의 대변자이지만 다른 홍콩매체는 빈과일보처럼 강하게 정부를 비판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홍콩 경찰은 2019년부터 빈과일보에 실린 30여건의 글이 홍콩보안법 상 외세와 결탁 혐의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빈과일보 폐간을 주장해온 렁춘잉(梁振英) 전 홍콩 행정장관은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지미 라이가 만든 빈과일보와 모회사 넥스트디지털은 언론 조직이 아니라 라이의 정치적 분출구이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빈과일보가 낙인찍기와 망신주기를 일삼았다고 덧붙였다. 렁 전 장관은 "라이나 그의 가족, 동료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든 그것은 언론의 자유나 언론 활동과 아무런 관계가 없다"면서 "그들은 '다른 나라 쓰레기 같은 인간'과 결탁한 결과"라고 주장했다. 레지나 입(葉劉淑儀) 신민당 주석은 "빈과일보 사주와 편집자들은 증오와 불만을 선동하기 위해 신문을 무기화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