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탄중위가 온실가스 순배출량이 '0'인 2개 안으로 시나리오를 줄인 것은 그 자체로서 진일보한 것"이라며 "목표는 강하게 잡아야 근접하려고 노력할 수 있으니 한국 사회와 경제에 큰 국가적 과제를 줬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홍 교수는 "산업계 등에서는 너무 급진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이제 탄소중립은 국가 단위의 문제가 아닌 전 세계적인 흐름"이라며 "우리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라는 생각으로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우선 과제는 현재 짓고 있는 석탄발전소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정하는 것"이라며 "석탄발전소를 과감히 처리할 수 있는지가 한국이 정말 넷제로(이산화탄소 배출량 제로)를 할 의지가 있는지를 보여주는 리트머스 시험지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는 "탄소중립은 아주 높은 수준의 기술 혁신과 상당한 규모의 경제적 부담에 의해서야 가능한 일"이라며 회의적인 입장을 표했다. 이 교수는 "시나리오에 포함된 기술들은 현재 시점에서는 대부분 가능하지 않은 미래의 기술"이라며 "재생에너지는 효율이 나오지 않고, 수소환원제철과 E-fuel 등은 시도되지도 않은 꿈같은 기술"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신재생에너지 전력 저장장치 구축에만 787조∼1천248조원이 10년마다 들어가야 한다는데 그런 부담을 우리 국민이, 정부가 감당할 수 있느냐"며 "아무리 좋아 보이고 필요한 일이라도 비용을 감당할 수 없으면 그림의 떡"이라고 질타했다.


















유승훈 서울과기대 에너지정책학과 교수는 좀 더 중도적인 관점에서 2050 탄소중립을 이루려면 먼저 전 사회적인 합의가 필요하다고 입장을 밝혔다. 유 교수는 "재생에너지는 다양한 변수들에 의해 공급이 불안정할 수 있어 현재 유럽 등에서 천연가스를 다시 확보하려고 난리다"며 "A안은 너무 과격하다. 천연가스 정도는 유지해야 에너지 안정성이 보장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2050 탄소중립의 관건은 재생에너지에 얼마나 투자할지에 대한 사회적인 합의를 끌어낼 수 있냐는 것"이라며 "재생에너지에 들어갈 어마어마한 비용을 감당하기 위해 전기요금이 몇 배가 오르는 등 탄소비용이 전 부문에 가해지더라도 국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을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