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junews.com/view/20211026140758304

최근 국회에서 이동통신 3사 자회사의 알뜰폰(MVNO) 시장 점유율을 제한해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철수하라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이 같은 주장에 대해 관련 업계는 시장을 오히려 위축시킨다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2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무선 통신서비스 통계 현황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알뜰폰 가입자는 991만명에 달해 1000만명 고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양정숙 의원이 과기정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7월 말 국내 알뜰폰 시장에서 이통3사 자회사 점유율은 46.6%로 정부가 부과한 상한선인 50%에 근접했다. 지난 2019년 37%에서 10%포인트 가까이 뛰었다.

정부는 2011년 이통3사의 과점 구조를 깨고, 가계 통신비 인하를 위해 알뜰폰을 도입했다. 신뢰 부족과 역량 한계 등 이유로 지지부진해 2011년 말 가입자는 40만명에 불과했다. 정부는 알뜰폰 시장이 정체에 빠지자 2012년에 SKT, 2014년엔 KT와 LG유플러스의 시장 진입을 순차적으로 허용했다. 강력한 사업자가 들어와 시장 전체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메기 효과'를 노린 것이다.

이후 2014년 가입자 458만명을 기록하는 등 알뜰폰 시장은 빠르게 성장했다. 이 과정에서 대포폰, 효도폰이라는 부정적 이미지를 지우고 젊은 층에서 대세로 거듭난 데는 이통3사 자회사의 영향이 크다는 주장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자회사의 존재감이 날로 커지고, 중소 사업자의 성적은 지지부진하자 국회를 중심으로 자회사의 독주를 제한해야 한다는 주장을 넘어 철수까지 거론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