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9일 내놓은 ‘장래인구추계: 2020~2070년’ 보고서를 보면 외국인을 포함한 올해 총인구는 지난해(5,184만 명)를 기점으로 급속히 줄어 2070년엔 3,766만 명까지 쪼그라든다.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에서 인구 정점을 2028년(5,194만 명)으로 전망한 지 불과 2년 만에 8년이나 앞당겨졌다. 이 같은 오차가 난 건 예상보다 인구 감소 속도가 빠른 탓이다. 당초 통계청은 외국인 유입 증가로 인구수가 2030년까진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으나, 이날 추계에선 올해(-0.18%)부터 인구가 줄기 시작해 점차 감소폭이 커질 것이라고 정정했다. 통계청은 “출생자보다 사망자가 많은 데드크로스 현상이 점차 심해지는 상황에서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외국인 유입까지 줄어든 결과”라고 설명했다. 급격한 인구감소는 만 15~64세 생산가능인구가 큰 폭으로 줄어드는 ‘인구절벽’으로 이어진다. 생산가능인구는 2020년 3,738만 명에서 2070년엔 1,737만 명으로 53.5%나 줄어든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준(72.1%)에서 급락, 꼴찌(46.1%)에 이를 전망이다.















생산가능인구 비중은 절반으로 줄지만, 고령인구 비중은 세 배나 뛰게 된다.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는 2020년 815만 명에서 2070년엔 1,747만 명에 달할 전망이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15.7%에서 46.4%로 급증한다. 이는 종전 최고령 국가인 일본(37.9%)보다 높을뿐더러, OECD 회원국 중 유일한 40%대다. 50년 만에 OECD 국가 중 고령인구 비중이 가장 낮은 국가에서 제일 높은 국가가 되는 셈이다. 이에 따라 2020년 43.7세였던 중위연령은 2031년 50세를 넘긴 뒤 2070년엔 62.2세까지 치솟게 된다. 중위연령은 전체 인구를 나이 순서대로 세웠을 때 중간에 있게 되는 사람의 연령을 뜻한다.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할 유소년·고령층 비율을 나타낸 총부양비도 2020년 OECD에서 가장 낮은 38.7명에서 2070년엔 116.8명으로 급증한다. 총부양비가 100을 넘긴 국가도 한국이 유일하다. 생산가능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를 뜻하는 노년부양비 역시 같은 기간 22명에서 101명으로 크게 늘어난다. 김수영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복지 등으로 지출되는 비용이 지금보다 5배는 더 많아진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정부는 급격한 인구 감소를 코로나 등 외부 요인으로 돌리며 조만간 개선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코로나19 충격에서 일상을 회복하게 되면 외국인 국내 유입과 혼인·출산이 정상화하면서 인구 변화 흐름이 개선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