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 전 비대위원장은 30일 한국방송(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에 대해 "사실 '자유주의 시장경제'라는 것은 상식적인 얘기인데 그걸 (정책방향으로) 앞세운다는 것이 내가 보기에는 정책을 하는 사람들로서 뭔가 잘못된 사람"이라고 혹평하며 "지금 상황에서 정부의 역할을 확실하게 인식하고 얘기해야지, 막연하게 '자유주의 시장경제', '민간 주도 경제' 이렇게 해서 경제 분야를 풀 수 없다"고 지적했다.

김 전 위원장은 "쉽게 얘기해서 옛날에 이명박 정부 초기에 '기업 프렌들리'라는 얘기를 하지 않았느냐"며 "이번에 정부가 발표한 (것을 보면), 경제라는 게 민간 주도로 해 온 거지 무슨 정부가 주도했다는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한다. 결국 모양만, 말만 바꿨다 뿐이지 역시 또 이 사람들도 '기업 프렌들리'로 가면서 핑계 댈 게 없으니까 '민간 주도'라고 하지 않았느냐는 이런 인식이 깔려 있을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김 전 위원장은 "소위 우리나라의 재벌 그룹이라고 하는 사람들은 국제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내버려 둬도 자기들끼리 마음대로 경제를 운영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라며 "실질적으로 우리가 가장 심각한 상황은 지난 2012년부터 당시 금융위기 이후의 경기침체 상황에서 회복되지 못한 우리나라의 중소기업들이 엄중한 상황에 놓여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그런데 그런 사람들에 대한 별다른 대책이 아무것도 없다"며 "정부의 역할이라는 것은 시대의 상황에 따라서 변해야 된다. 예를 들어 60·70년대에는 경제발전을 하기 위해서 정부가 재벌 위주로 정책을 운용했는데, 이제는 그 사람들은 다 자라서 사실 정부와 맞상대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그러면 그 다음의 사람들은 어떻게 끌고 가야 할 거냐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있어야 되는데 그런 게 보이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

.

.

김 전 위원장은 윤 대통령의 나토 정상회의 참석에 대해 "각자 이해관계가 다르기 때문에 그런 문제를 쉽게 우리가 그냥 앞서서 얘기를 안 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고언해 시선을 모았다. 미중 간 대립 상황에 대해 그는 "지금 미국이 중국을 어떻게 하면 봉쇄할 거냐 하는 상황으로 가는데, 내가 보기에는 경제를 가지고서 봉쇄한다는 것이 그렇게 쉽게 성공하리라고는 보이지 않는다"고 전망했다. 

그는 과거 영국이 독일의 성장세를 견제하려 노력했지만 결국 독일이 이를 극복해낸 사례를 들어 "중국에 대한 압박을 가하면 중국은 자체 자정력으로 회복하기 위해서 '우리도 어떻게 빨리 좋은 걸 만들어낼 수 있느냐' 하는 노력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그러니까 경제 논리라고 하는 것이 그렇게 힘의 논리로만 갖다가 억누른다고 되지 않는다"며 현 국제 정세에서 한국이 신중한 입장을 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

https://news.v.daum.net/v/20220630120236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