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같이 보고 싶은 유머 글이나 이미지를 올려보세요!
URL 입력
-
계층
폐지 줍줍
[11]
-
연예
무한도전 레전드편이라는 배달의 무도 가봉편 (스압)
[10]
-
계층
ㅇㅎ) 운동 열심히하는 임산부 몸매 수준..
[46]
-
계층
스압) 중딩때 만난 고딩 누나 썰 .manhwa
[39]
-
유머
일본인 여친의 남다른 스킬.
[27]
-
계층
운동에 나이는 관계 없다는걸 증명하는 어르신.
[18]
-
유머
남자들이 애엄마를 넋놓고 바라본 이유...
[18]
-
계층
ㅇㅎ) 직업상 오래 앉아있는 사람을 위한 최고의 허리 스트레칭 운동.
[46]
-
연예
가짜 막내 김채원 진짜 막내 홍만채
[8]
-
계층
7명이 입사해서 9명이 퇴사
[9]
URL 입력
- 유머 방송에서 조폭한테 협박받는 bj누나 [23]
- 계층 ‘1억 유튜버’ 김프로 “하루 수익만 7억” [22]
- 유머 한국이 중국 문화 또 훔쳤다 [34]
- 계층 이중 한개는 꼭 먹어야 살수있음.jpg [36]
- 이슈 고길동 = 이재명 사실이었음 ㄷㄷ [19]
- 계층 결혼할 때 피해야 하는 사람.jpg [9]
![]() 2025-05-25 08:02
조회: 2,753
추천: 1
“국가 차원의 집단적 동물학대극”![]()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TNR, Trap-neuter-release)은길고양이를 포획해서 중성화한 후 포획한 자리에 방사하여 개체수를 조절하려는 방법입니다. 포획-안락사 등의 도태 방식의 인도적 대안으로 제시된 방법이죠.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과천시가 도입한 것이 최초로 여겨지나 크게 반향을 일으킨 건 2008년 서울시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 도입부터였습니다. 2000년대 중반 이전엔 길고양이라는 단어도 없었고 캣맘이라는 말도 생소했습니다만 이 때부터 그야말로 길고양이 밥주기, 집 만들어주기 열풍이 불었죠. 길고양이 개체수도 대폭 증가했구요. 이에 따라 여러 지자체에서 앞다퉈 TNR을 도입하다가 2016년엔 농림부 주관 중앙정부 사업이 됩니다. 국비 매칭 지원 사업으로 지속적으로 예산이 증가하여 2024년 예산은 230억원을 넘는 데 이르죠. 2024년에는 급기야 국립공원 등지의 들고양이들까지 TNR 로 개체수 관리하겠다고 들고양이 관리 지침을 명문화하기에 이릅니다. 원래 들고양이는 1994년부터 생태계 교란을 이유로 유해조수로 지정되어 있었고 (2005년에 야생화된 동물이라는 이름으로 바뀜) 그에 따라 포획에 총기 사용도 가능했습니다만 지침 변경에 따라 총기 사용은 삭제, 안락사는 협의회를 거치게 해서 사실상 불가능해졌습니다. 실질적으로 TNR 만으로 개체수 조절하도록 바뀐 것이죠. TNR에 이 정도로 국가 차원에서 몰입하는 정책을 쓰는 건 꽤나 특이한 사례입니다.외국의 사례는 보통 민간 동물보호단체에서 소규모로 진행하거나 일부 지자체 적용 사례가 있는 정도입니다. 그나마도 한국처럼 TNR 만으로 개체수 조절한다는 경우는 드물고 보통 피딩 규제, 입양, 사냥, 안락사와 같은 도태 정책을 시행하며 보조적으로 적용하는 정도죠. 중앙 정부 차원에서 세금 들여가며 대규모로 시행하는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고, 국립공원 등 보호지역 들고양이들까지 이런 식으로 관리하는 건 외국 환경, 생태 관련 전문가들이 들으면 꽤 황당해 할 일입니다.![]() ![]() 각설하고, 중성화 수술이 땅콩 떼기 등 밈으로 희화화되어서좀 가볍게 여겨지는 면이 있는데요. 암컷의 중성화 수술은 개복해서 난소와 자궁을 적출(ovariohysterectomy)하는 큰 수술입니다. 😨
집에서 보살핌받는 고양이들은 충분한 회복과 응급 시 적절한 조치를 받겠지만, 길거리, 야생에서 살아가는 고양이들이 그런 대우를 받을 수는 없습니다.길고양이 중성화 사업, 즉 TNR 프로그램에서 일반적으로 수컷은 익일, 암컷은 3일 내 방사됩니다. 회복에 충분한 기간이라고 볼 순 없죠 🙄 ![]() 이에 대해 모 캣맘 카페에 올라온TNR 사업의 고양이에 대한 위험에 관한 글입니다. 😎 전문 전재하기는 좀 그러니까 채찍피티가 요약한 글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은 부천시 TNR(길고양이 중성화) 사업에 참여하면서 발생한 여러 가지 사고와 그로 인한 위험성을 다루고 있으며, 캣맘들이 이 사업에서 어떤 역할과 책임을 가져야 하는지에 대해 성찰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1. 사망사고와 위험성 2. 배터짐 사고 3. 위생 문제 4. 캣맘의 책임과 자세 결론적으로, 글은 TNR 사업의 안전성 문제를 진지하게 다루며, 이 사업에 참여하는 캣맘들이 더 큰 책임을 지고, 사업이 고양이들에게 미치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인용한 글은 캣맘들 입장에서 적혀져 있는 바폐사 사고, 배터짐 사고 등 사고 사례와 시술 병원의 위생 문제 등을 지적하면서 개선을 요구하고 있고, 댓글에서는 회복 기간 연장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만 이미 마리당 20만원 + a 의 세금이 투입되는 고비용 사업에 세금을 더 투입해달라는 것도 무리죠.
그리고 중요한 건..
조사 방식부터 시작해서 계산 방식, 연구 용역의 이해충돌 문제 등문제점이 한 두 개가 아닌 서울시, 농림부 보고서를 제외하고는 이 사업으로 개체수가 줄어든다는 근거도 없다는 거죠. 🤔
사실 야생동물학, 생태학 주류 학계에서는 효과 없다는 게 중론입니다.수의사, 동물단체 등 재야 학계(?)의 지지자들 연구도 딱히 TNR 만으로 개체수 조절할 수 있다고 주장하지는 못하는 형편이구요. (이게 들고양이 관리 지침 개악에 환경, 생태 전문가들이 뒷목잡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사실상 침입외래종 관리에 손 놨다는 얘기니까요. 😱)
정확히 얘기하면 단기간에 거의 모든 개체를 반복적으로 중성화해야 합니다. (그나마도 외부 유입 없다는 전제로요) 70%-90% 가량의 개체를 반복적으로 중성화해야 하는데, 이러면 그만큼 포획 가능할 것 같지도 않고, 수술을 견딜 수 있는 건강한 개체들만으로 달성할 수 있는 숫자가 아니죠.
월령 3개월짜리 막 임신 가능해진 아깽이, 이미 임신중인 수태묘, 다치거나 질병에 걸린 개체 등 사정 봐주지 않고 닥치고 잡아들여서 수술해야 합니다. 수술 못 견디고 죽어나가거나 말거나요. 😢
물론 건강한 개체들도 제대로 된 케어 없이 받은 개복, 장기 적출술의 후유증을 피하는 건 복불복이죠.
개체수 조절이라는 목적도 의미가 없이,고양이들에게 이런 위험을 감수하게 하는 게 과연 "인도적" 개체수 조절 방법일까요? 아니, 효과도 없는데 "개체수 조절 방법"이 맞긴 한가요?
https://www.mdpi.com/2076-2615/10/9/1525
5. TNR과 관련된 윤리적, 사회적 결함 (중략) 5.3. 고통 증가 주인이 없는 고양이 개체수를 먹이로 유지하거나 늘리는 경우 순 고통과 괴로움은 더 높아집니다. 전반적인 동물의 고통과 괴로움의 감소는 PeTA 및 호주 수의학 협회를 포함한 양식있는 고양이 복지 단체가 TNR에 반대하는 주요 이유입니다[ 44 ].
TNR의 옹호자인 피터 울프(Peter Wolf)는 무살해(no-kill) 이념을 강력하게 지지하는 로비 단체인 베스트 프렌드(Best Friends)로부터 급여를 받고 있기 때문에 명백한 이해 상충을 겪고 있습니다[ 45 ]. 우리 의견으로는 로비스트는 정책과 경영에 대해 자유롭게 논의할 수 있어야 하지만, 저자가 로비를 위해 과학을 오용하고 과학 논문에서 실제 또는 인지된 이해 상충을 선언하지 않는 것은 비윤리적입니다.
TNR 프로그램 자체에 포획 및 사후관리를 위해 먹이를 급여하도록 되어있기도 하고,TNR로 개체수를 조절한다는 미신은 그 자체로 먹이주기의 핑계로 쓰이기도 합니다. 결국 TNR과 피딩은 떼어놓을 수 없는 관계입니다. 😃
이 피딩은 결국 길고양이 개체수를 유지하거나 늘리기 때문에 과밀화로 인한 전염병, 영역다툼, 근친교배, 유전병 등에 시달리고 그렇게 고통받는 개체를 늘리는 거죠. 공리주의적으로 보면 고양이 복지 측면에서 최악의 접근방식인 셈이고 양식있는 동물보호단체, 고양이 복지 단체들이 TNR에 반대하는 이유입니다. 🤨
위 논문에도 지적되었듯이 TNR 옹호 연구자들은 보통 동물단체와 연계되어있어 이해충돌 문제도 있고, 위 논문 인용되지 않은 뒷부분에 사료업체 이권 얘기도 나옵니다. 한국같은 경우 정부 차원에서 대규모 세금 투입까지 하고 있구요.
TNR은 인도적이지도 않을 뿐더러,논문 제목 말마따나 윤리적이지도 않은 거죠. 온갖 이권이 얽혀 국가 차원에서 자행되는 집단 동물학대극에 지나지 않는다고 봅니다. 😡 p.s. 가장 인도적이고 효율적인 방법: 먹이주기 규제, 처벌 왜 이 쉬운 길을 못 가는 건지 답답합니다.
EXP
14,094
(73%)
/ 14,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