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같이 보고 싶은 유머 글이나 이미지를 올려보세요!
URL 입력
-
감동
“살려야한단 생각에 버텨”…폭우 속 맨홀빠진 노인 구한 시민
[15]
-
계층
커뮤니티에 심하게 빠져있는 사람 특징.
[20]
-
사진
큰어머니네 집 고양이가 새끼낳음
[13]
-
계층
한화 라이언 와이스 부인이 올렸던 인스타
[4]
-
감동
와이프가 없으니까 뭘 해야 할지 모르겠다
[13]
-
계층
2달동안 36번 주문한 손님
[23]
-
유머
일본 프랑스 러시아를 3글자로 줄이면?
[7]
-
계층
(ㅎㅂ) 앞? 뒤?
[48]
-
계층
나이들고 가난한 이들의 연애
[16]
-
감동
'버스정류장을 버린' 버스 기사
[3]
이미지 업로드중입니다
(1/5)
URL 입력
ㅇㅇㄱ 지금 뜨는 글
![]() 2025-06-16 19:11
조회: 2,337
추천: 15
"김민석엔 잔혹하고 한덕수엔 관대했다"…12.3 언론인연대, 언론의 이중잣대 비판![]() http://www.mediain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0552 "김민석 검증 공방을 보며 다시 확인하는 언론의 이중잣대...스스로의 과오를 먼저 돌아보라"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를 둘러싼 언론의 인사검증 보도가 연일 쏟아지고 있다. 정치자금법 위반 전력, 사적 채무, 재산 증식, 자녀 입시 활용 의혹, 후원금 거래 의혹 등 언론은 하루도 거르지 않고 새로운 의혹을 제기하며 김민석 이름을 머리기사로 내세우고 있다. 동아일보, 중앙일보, 한국일보, 조선일보 등 다수의 보수 및 중도 언론이 집중포화를 퍼붓는 형국이다. 물론 인사검증은 필요하다. 고위공직자의 자질과 도덕성을 검증하는 것은 언론과 정치권의 기본 책무다. 그러나 지금 국민이 목격하는 풍경은 공정한 검증이라기보다 정치적 코드에 따라 잣대가 달라지는 이중잣대의 전형이다. 검증이 아니라 정치적 낙마 프레임이 작동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 언론이 제기한 ‘후원금 거래 의혹’을 보자. 과거 김민석 후보자에게 돈을 빌려준 인물이 나중에 후원금 400만 원을 냈다는 사실을 두고, 언론은 이를 "수상한 돈거래"라고 규정했다. 심지어 해당 인물이 과거 불법 정치자금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사실까지 소환하며 의혹을 증폭시켰다. 중앙일보는 같은 인물이 최근까지 후원회장을 맡았다는 사실까지 덧붙였고, 동아일보는 "어떤 배경이 있는지 제대로 밝혀야 한다"고 압박했다. 그러나 국민은 이렇게 묻고 있다. 왜 똑같은 기준이 윤석열 정부의 한덕수 전 총리 인선 때에는 적용되지 않았는가? 한덕수 전 총리는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문으로 수년간 재직하며 수억 원의 고문료를 받았다. 김앤장은 대기업과 금융기관을 고객으로 둔 거대 로펌으로, 전관예우 논란의 상징이었다. 로펌 고문 경력이야말로 직무와 직결된 심각한 이해충돌 소지가 다분했지만, 언론은 이를 ‘풍부한 경륜’으로 미화했다. 배우자의 미국 영주권 문제, 재산 증식 경위, 다주택 소유 등 민감한 문제 역시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지 않았다. 채권자 이름 하나까지 추적하는 지금과 달리, 그 누구도 고문료의 입금 내역이나 상대방, 구체적 업무를 추적 보도하지 않았다. 언론은 당시 ‘국정 공백을 막아야 한다’는 미명 하에 사실상 철저한 검증을 회피했다. 윤석열 정부 당시 김승희, 정호영, 김인철, 박순애, 한동훈 등 장관 후보자들의 비리 의혹들은 김민석 후보자를 향한 현재의 의혹보다도 훨씬 직접적인 위법성 논란이 동반되었지만, 언론은 ‘정치공세를 자제하라’, ‘청문회를 조용히 넘기자’는 식의 논조를 유지했다. 결국 이중잣대가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진영에 따라 관대하거나 잔혹해지는 검증은 결코 공정한 검증이 아니다. 그것은 언론이 스스로 정치공작의 도구로 전락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그 자체로 민주주의의 근간을 좀먹는 행위다. 공직자 검증의 권위는 오직 형평성과 공정성을 통해서만 성립된다. 지금 언론이 김민석 후보자에게 들이대고 있는 촘촘한 잣대를 과거 한덕수 후보자에게는 왜 적용하지 않았는지 국민은 묻고 있다. 이러한 질문에 침묵하는 한, 언론의 검증 기능은 국민 신뢰를 얻을 수 없다. 검증을 운운하기 전에, 언론은 먼저 자신들의 이중잣대에 대해 국민 앞에 사과해야 한다. 한덕수에게 관대하고 김민석에겐 잔혹했던 이 구조가 반복되는 한, 언론의 존재 이유는 더욱 허물어질 뿐이다. 이것이 12.3 내란 시도 이후, 언론개혁을 외치는 국민들이 언론을 향해 거듭 경고하는 이유이다. 2025년 6월 16일 12.3 언론인연대
EXP
29,190
(49%)
/ 3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