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물은 당근 1개와 철 주괴 2개, 무기질 비료는 직접 제작
어이가 없다는 어원도 가볍게 소개
공부가 전부가 아니라는 걸 강조하는 모습

진심 어린 교육자, 토선생!
보상: 공헌도 경험치 150, 상평통보 5

친해지는 방법, 함께 노는 것!
보상: 공헌도 경험치 300, 상평통보 10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은?
보상: 공헌도 경험치 150, 상평통보 5

색다른 교육 방법 (당근 1개 필요)
보상: 공헌도 경험치 300, 상평통보 10

시작! 새로운 교육 방법
보상: 공헌도 경험치 150, 상평통보 5

출항과 동시에 난파 위기
보상: 공헌도 경험치 150, 상평통보 5

토선생의 비료! (무기질 비료 1개 제작)
보상: 공헌도 경험치 300, 상평통보 10

덜렁이는 호미 (철 주괴 1개)
보상: 공헌도 경험치 300, 상평통보 10

숨바꼭질의 대가
보상: 공헌도 경험치 300, 상평통보 10

쑥쑥 크는 아이들을 닮은 밭
보상: 공헌도 경험치 150, 상평통보 5

아이들은 자란다
보상: 공헌도 경험치 500, 상평통보 15, [지식] 유배지에서의 깨달음

모종의 이유로 유배 중인 토선생이 도움을 요청한다. 아이들 글공부가 너무 이른것 같다며, 물론 어려서부터 배우면 좋지만 어릴때부터 흥미를 잃으면 더 큰일나니 아이들이 좋아하는 걸로 교육하고 싶다고 한다. 토끼라서 그런지자신의 머릿속엔 당근만 생각나 도움을 요청한다.

아이들에게 좋아하는게 무엇인지 물어보니 어떤 곶감 줄게~ 해도 따라가지 말라며 경계한다. 어른들은 다 반대로 말한다고 하여 믿을 수 없다며 의심하는데, 마침 술래잡기 놀이를 하자며 꼬득인다.













아이들과 놀아주며 눈높이를 맞춰주고, 점차 친해지니 자신들의 술래잡기 대장이 되라고 권유한다. 이후 조심스레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을 물어봤더니 보리밥~ 쌀밥~ 놀이를 말한다. 다른게 없냐고 묻자 감자, 고구마, 옥수수를 다들 차례대로 대답해줬다.

토선생에게 돌아가 보고, 작물을직접 기르게 하자고 제안한다. 농부는 깨우치는 것이 많다며 경험을 작게나마 겪으면 아이들도 크게 배울것 같다며 동의, 그리고 인내하고 결실을 보는 것이 글공부를 하는 것과 닮았다며 농사를 알려주는 것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창고지기 고영에게 아이들을 위한 호미가 없냐고 묻자, 비싸게 팔아버렸다고 공짜로 안주려는 모습. 그러면서 당근이 있으면 혹시라도 남은게 있는지 찾아보겠다는데, 당근 1개를 건네주니 호미를 받을 수 있다. 다시 토선생에게 돌아가니 아이들을 모아 글공부 대신 밭을 골라 구역을 골라보라고 한다.

그런데 9구역으로 나눈 밭을 2개씩 가져가니, 가운데 땅 하나가 남았다. 욕심 많은 아이는 그것도 자기땅이라고 우기는데, 토선생이 도움을 요청한다. 모험가는 가운데 땅을 다 같이 경작하는 공유지로 의견을 제시했고, 아이들은 군말없이 따른다.


























토선생은 아이들을 오래 기다리게하면 쉽게 금방 질리니, 작물을 빨리 자라게 만들어보자고 제안한다. 토선생의 비료를 만들자는데, 사실 무기질 비료다. 무기질 비료는 직접 제작해야되니 미리 구매해두거나 만들어두면 퀘스트 진행이 안된다. 비료는 곡물 5개 혹은 고급 곡물 3개 혹은 특상품 곡물 1개를 말리면 된다.

아이들은 생각보다 너무 힘들다며, 다시 놀자고 제안한다. 이때 혁우라는 아이가 농사일을 너무 열심히 했는지 호미 손잡이가 빠졌다고 한다. 아령 주모가 잘 고친다는 이야기를 듣고 달려갔더니, 아이들에게 일을 얼마나 시킨거냐며 토선생을 나무란다.

그러면서 어이가 없다는데, 어이는 맷돌 손잡이를 어이라고 부르며 어원을 설명해준다. 호미 손잡이는 따로 부르는 말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아이들을 위해 고쳐줄테니 철 주괴 2개를 구하면 공작으로 수리가 가능하다고 한다. 호미를 고쳐 건네주면 아이들은 지루하다며 다시 놀자고 제안한다.





























토선생이 다시 돌아왔다. 심어둔 작물이 모두 컸다며 구경가자고 한다. 아이들은 모두 기뻐했지만, 떡이나 고기는 못심냐며 순수한 질문을 한다. 토선생은 이번에 큰 걸 배웠다며, 인내하고 정성을 다하면 이렇게 결실을 볼 수 있다는 걸 알게 됐다고 한다.

그리고 아이들이 글공구보다 더 귀한 경험을 했고, 밭을 더 크게 마을 단위로 만들어 여덟 구역은 여덟 가구가 나눠 경작하고, 가운데 한 구역은 공동 경작하여 모두 나라에 세로 바치는 것이 좋다고 한다. 힘든 일도, 기쁜 일도, 여럿이 함께하면 좋으며 마음을 하나로 모으면 뭐든 해낼 수 있다. 이 모든 것이 혼자가 아닌 모두가 함께 해낸 일이란 사실 잊지 말자며 이야기를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