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심해서 작성했습니다.

 

 

 

 

 

 

 

 

 

 

 

한국에서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시작하기 전

 

 

 

 

 

1. 도적의 영웅 능력

- 1/2 단검 장착 + 단검을 착용하고 있을 때 사용 시 한 턴간 공격력 +1 부여 -> 1/2 단검 장착

클베 초창기에 도적이 OP 소리를 들었던 이유입니다. 뭐, 지금도 OP인 건 변함 없지만요.

 

2. 선장 그린스킨

- 5/5, 내 영웅이 공격 시 카드를 1장 드로우 -> 5/4, 내 무기에 +1/+1 부여

개인적으로 현재 선장 그린스킨의 사용 빈도를 볼 때 롤백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3. 일리단 스톰레이지

- 양 플레이어가 카드를 3장 버리고 카드를 3장 드로우 -> 카드를 낼 때 마다 1/2 아지노스의 불꽃 소환

블리자드가 플레이어의 카드를 버리는 것은 기분을 상하게 하므로 지양한다고 밝히며 변경한 효과입니다. 저도 동의합니다.

 

4. 주술사의 치유 토템

- 내 턴이 끝날 때 아군 캐릭터의 생명력을 1 회복 -> 내 턴이 끝날 때 아군 하수인의 생명력을 1 회복

과거에는 영웅까지 치유하는 굉장한 토템이었습니다!

 

5. 드루이드의 지식의 고대정령

- 카드를 2장 드로우하거나 생명력을 8 회복 -> 카드를 2장 드로우하거나 생명력을 5 회복

생명력을 8 회복하면 치유의 손길을 내재하고 있었단 건데, 확실히 OP죠?

 

 

 

(이하는 댓글의 정보를 취합하여 작성한 것입니다. 제가 경험한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코멘트를 달지 않겠습니다.)

 

 

 

6. 성난태양 파수병

- 자신을 제외한 모든 아군 하수인에게 도발 부여 -> 양옆의 하수인에게 도발 부여

 

8. 자그마한 소환사

- 내 턴마다 처음 내는 하수인의 비용이 2 감소 -> 내 턴마다 처음 내는 하수인의 비용이 1 감소

 

9. 전승지기 초

- 1/4 -> 0/4

 

10. 달라란 마법사

- 2/4 -> 1/4

 

11. 선장의 앵무새

- 1/2 -> 1/1

 

12. 마법사의 마술사의 수습생

- 4/2 -> 3/2

 

13. 사제의 빛샘

- 0/6 -> 0/5

 

14. 도적의 기습

- 하수인 하나에게 피해 2 -> 피해를 입지 않은 하수인 하나에게 피해 2

 

15. 도적의 독칼

- 1코스트 -> 2코스트

 

16. 도적의 데피아즈단 두목

- 2/3 -> 2/2

 

17. 은폐

0코스트 -> 1코스트

 

18. 도적의 머리 후려치기

- 2코스트 -> 3코스트

 

19. 드루이드의 천벌

- 캐릭터 하나에게 피해를 3 주거나 피해를 1 주고 카드를 1장 드로우 -> 하수인 하나에게 피해를 3 주거나 피해를 1 주고 카드를 1장 드로우

 

20. 드루이드의 세나리우스

- 8코스트 -> 9코스트

 

21. 별똥별

캐릭터 하나에게 피해를 5 주거나 모든 적 캐릭터에게 피해 2 -> 하수인 하나에게 피해를 5 주거나 모든 적 하수인에게 피해를 2

 

22. 청소부 하이에나

- 야수 1마리가 죽을 때마다 +2/+1 -> 아군 야수 1마리가 죽을 때마다 +2/+1

 

23. 잔인한 감독관

- 2/3 -> 2/2

 

24. 거품 무는 광전사

- 3/4 -> 2/4

 

25. 보호의 손길

0코스트 -> 1코스트

 

 

 

 

 

 

 

한국에서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시작한 후

 

 

 

 

 

1. 전사의 전투 격노

- 피해를 입은 캐릭터의 수만큼 카드를 드로우 -> 피해를 입은 아군 캐릭터의 수만큼 카드를 드로우

전사가 드로우에 허덕이게 된 원인입니다. 이때는 소용돌이+전투 격노면 폭풍 드로우를 할 수 있었죠.

 

2. 사냥꾼의 개들을 풀어라

- 1코스트, 아군 야수에 공격력 +1과 돌진 부여 -> 4코스트, 적 하수인 하나당 돌진 능력이 있는 1/1 사냥개를 한 마리씩 소환

사냥꾼과 운명을 같이하고 있는 개들을 풀어라입니다. 개들을 풀어라가 버프되면 사냥꾼이 날뛰고 개들을 풀어라가 너프되면 사냥꾼이 관짝에 들어갔습니다. 초창기의 개들을 풀어라는 사냥꾼이 한 방 콤보를 노릴 수 있게 하는 카드였습니다. 9~10턴까지 고정 사격을 쏘며 열심히 드로우를 하다가 마지막에 저코 하수인을 쏟아내고 개들을 풀어라를 사용하여 원킬을 노렸습니다. 그러나 사냥꾼의 전성기도 잠시, 블리자드가 한 방 콤보를 지양한다고 밝히며 효과를 변경하였습니다. 덕분에 사냥꾼은 관짝에 들어갔습니다.

 

3. 사냥꾼의 굶주린 대머리수리

- 2/2 -> 2/1

체력이 2라서 제거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변경되었습니다. 현재 사냥꾼이 암울하다는 점에서 롤백해도 될 것 같은데...

 

4. 사제의 정신 지배

- 8코스트 -> 10코스트

일리단 스톰레이지와 마찬가지로 상대 플레이어를 기분 나쁘게 한다는 이유로 변경되었습니다. 뭥미?

 

5. 흑마법사의 화염 임프

- 전투의 함성으로 내 영웅에게 주는 피해 2 -> 전투의 함성으로 내 영웅에게 주는 피해 3

흑마위니가 너무 날뛰어서 변경하였습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흑마위니를 막을 수 없었습니다. 차후에 다시 이야기하도록 하죠.

 

6. 은빛십자군 부대장

- 4/3 -> 4/2

천상의 보호막과 돌진을 달고 있는 데다 천상의 보호막을 벗긴다고 해도 광역기(신성화, 신성한 폭발, 눈보라)에 제거되지 않아서 안 쓰이는 덱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변경.

 

7. 무너진 태양 성직자

- 3/3 -> 3/2

은빛십자군 부대장과 마찬가지입니다.

 

8. 알렉스트라자

- 방어도를 포함해서 체력을 15로 -> 방어도를 제외하고 체력을 15로

전사에게 치명적이라는 이유로, 그리고 알렉슈팅법사 한 방 콤보의 키카드가 된다는 이유로 변경하였습니다. 일단 블리자드의 발표로는 애초에 버그였다는군요.

 

9. 마법사의 눈보라

- 5코스트 -> 6코스트

본격 알렉슈팅법사 죽이기 1. 알렉슈팅법사를 하기 어려워졌을 뿐만 아니라 마법사의 장기 중 하나였던 위니덱을 상대로 강력하다는 점이 사라졌습니다.

 

10. 마법사의 냉기 돌풍

- 3코스트 -> 4코스트

본격 알렉슈팅법사 죽이기 2

 

11. 마법사의 얼음 회오리

- 2코스트 -> 3코스트

본격 알렉슈팅법사 죽이기 3

 

12. 사냥꾼의 개들을 풀어라

4코스트 -> 2코스트

이건 너프가 아니라 버프지만 개들의 풀어라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해선 반드시 첨부되어야하기 때문에 기술합니다. 사냥꾼이 관 속에 처박혀서 나올 생각을 않자 블리자드가 아량을 베푼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사냥꾼이 대부활하였습니다. 혹자에게는 돌진냥꾼의 메타를 촉발시킨 원흉이라고 불립니다.

 

13. 마법사의 불덩이 작렬

- 8코스트 -> 10코스트

본격 알렉슈팅법사 죽이기 4. 하지만 이건 알렉슈팅법사를 죽였을 뿐만 아니라 마법사의 전반적인 운영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당시만해도 마법사의 운영은 1~7턴까지 열심히 상대 영웅의 피를 깍다가 8턴에 불덩이 작렬을 날려 게임을 마무리짓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불덩의 작렬 코스트의 변경으로 게임을 마무리지을 수 있는 타이밍이 두 턴 미뤄짐에 따라 마법사가 굉장히 힘들어지게 되었습니다. 마법사가 관짝에 들어간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최근에 마법사가 다시 부상하고 있긴 하지만요.

 

14. 흑마법사의 피의 임프

- 1/1, 아군 하수인의 체력 +1 -> 0/1, 내 턴이 끝날 때 무작위 아군 하수인에게 체력 +1 부여

화염 임프의 너프로도 흑마위니가 죽지 않자 블리자드가 피의 임프에까지 손을 댑니다. 이번에는 그것이 유효해서 흑마위니가 전멸합니다. 하지만 얼마 후 흑마위니가 귀신 같이 부활하니...? 지금 생각하면 피의 임프가 너프되지 않았을 때 zoo(레이나드)덱이 나왔다면 흑마천하가 도래했을 것 같습니다.

 

15. 전사의 전쟁 노래 사령관

- 새로 소환되는 하수인에게 돌진 부여 -> 새로 소환되는 공격력 3 이하의 하수인에게 돌진 부여

전사의 피가 10 이하로 내려갔을 때 전쟁 노래 사령관+용암 거인+용암 거인+젊은 양조사+용암 거인+젊은 양조사+ 용암 거인+전 턴에 차놓은 무기 콤보가 너무 강력하여 변경되었습니다. 이걸로 전쟁 노래 사령관은 애물단지가 됐습니다.

 

16. 전사의 돌진

- 0코스트, 아군 하수인에게 돌진 부여 -> 3코스트, 아군 하수인에게 돌진과 공격력 +2 부여

변경된 이유가 전쟁 노래 사령관과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17. 아르거스의 수호자

- 3/3 -> 2/3

효과를 고려하면 공체합이 좋아 변경되었습니다. 변경 전에는 안 쓰이는 덱이 없었습니다.

 

18. 풋내기 기술자

- 1/2 -> 1/1

아르거스의 수호자와 마찬가지입니다. 변경 후 전리품 수집가가 자리를 대신합니다.

 

19. 실바나스 윈드러너

- 5코스트 -> 6코스트

공체합도 좋은 데다 효과가 넘사벽이라 안 쓰이는 덱이 없었습니다. 실바나스 윈드러너의 코스트가 올라감으로써 동코스트의 케른 블러드후프와 6코 자리를 놓고 싸웠지만 케른 블러드후프가 승리했습니다.

 

20. 수석땜장이 오버스파크

- 2/2, 하수인 하나를 1/1 다람쥐 혹은 5/5 데빌사우르스로 변신시킴 -> 3/3, 무작위 하수인 하나를 1/1 다람쥐 혹은 5/5 데빌사우르스로 변신시킴

저격기가 없는 영웅에게 저격기를 준다는 점에서 아주 좋은 하수인이었던 수석땜장이 오버스파크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실바나스 윈드러너 같은 하수인에게 사용하면 5/5 데빌사우르스가 되어도 이득이니까요. 블리자드가 의도한 것과 다르게 사용되어 변경되었습니다.

 

21. 내트 페이글

- 내 턴이 끝날 때 50%의 확률로 카드를 1장 드로우 -> 내 턴이 시작될 때 50%의 확률로 카드를 1장 드로우

위니덱이든 미드레인지덱이든 컨트롤덱이든 넣으면 무조건 이득인 하수인이었습니다. 초창기에 드로우 확률이 50%가 되지 않는 버그가 있었지만 해당 버그가 수정된 뒤에는 채용율 90%였습니다. 너프될만 했죠?

 

22. 비밀

내 턴, 상대 턴 가리지 않고 비밀이 발동 -> 상대 턴에만 비밀이 발동

일단 너프라고 생각해서 기술합니다. 드물게 내 턴에 발동되지 않아 이득인 경우가 있지만, 뭐, 드무니까요.

 

23. 사냥꾼의 개들을 풀어라

- 2코스트 -> 3코스트

돌진냥꾼이 기성을 부리자 플레이어의 기분을 고려하는 우리의 블리자드님께서 너프하셨습니다. 잘했어요.

 

24. 사냥꾼의 독수리뿔 장궁

- 비밀이 밝혀질 때마다 내구도 +1 -> 내 비밀이 밝혀질 때마다 내구도 +1

신규 카드 미치광이 과학자가 적용되어 비밀을 걸기 쉬워졌다고 판단, 너프된 것으로 보입니다.

 

 

 

 

 

 

 

기타

 

 

 

 

 

1. 도적의 에드윈 벤클리프

- 1/1, 카드 1장당 +2/+2에 은신 -> 2/2, 카드 1장당 +2/+2

한국에서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시작하기 전에 변경된 것입니다. 버프일까요, 너프일까요?

 

1. 가혹한 하사관

- 아군 하수인 하나에게 한 턴간 공격력 +2 부여 -> 하수인 하나에게 한 턴간 공격력 +2 부여

확실히 버프입니다만, 아래의 검은무쇠 드워프를 설명하기 위해 기술합니다.

 

2. 검은무쇠 드워프

- 하수인 하나에게 공격력 +2 부여 -> 하수인 하나에게 한 턴간 공격력 +2 부여

버프인지 너프인지 모호한 변경입니다. 변경 전에는 공격력을 영구히 +2 올려주기 때문에 필드에 아군 하수인이 없을 경우 내기 애매했습니다. 하지만 변경 후에는 일시적인 공격력 증가기 때문에 내는 데 부담이 없어졌죠. 이 점은 버프입니다. 그러나 아군 하수인의 공격력을 영구히 +2 올려주는 기회를 상실했다는 점에서는 너프입니다. 당시에도 버프냐 너프냐 논란이 많았던 걸로 기억합니다.

 

3. 난투

- 마지막에 들어간 하수인이 생존 -> 무작위 하수인이 생존

이제 어떤 하수인이 살아남을지 예측할 수 없습니다!

 

 

 

(이하는 한국에서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시작하기 전의 변경사항으로서 댓글의 정보를 취합하여 작성한 것입니다. 제가 경험한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코멘트를 달지 않겠습니다.)

 

 

 

4. 마나 망령

- 1/3 -> 2/2

 

5. 괴수

- 10/6 -> 9/7

 

6. 황혼의 비룡

- 1/1, 내 손에 있는 카드 1장당 공격력과 체력을 +1 얻음 -> 4/1, 내 손에 있는 카드 1장당 체력을 +1 얻음

 

7. 서리늑대 전쟁군주

- 지속효과 -> 전투의 함성

 

8. 드루이드의 야생성

- 3코스트, 모든 적 하수인에게 내 영웅의 공격력만큼 피해를 입힘 -> 1코스트, 하수인 하나에게 내 영웅의 공격력만큼 피해를 입힘

 

9. 전사의 지휘의 외침

- 1코스트, 이번 턴에 내 하수인의 생명력이 1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음 -> 2코스트, 이번 턴에 내 하수인의 생명력이 1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고 카드를 1장 드로우

 

10. 주술사의 사술

- 개구리가 일반 하수인 -> 개구리가 야수

 

 

 

 

 

 

 

보너스. 버프된 목록

 

 

 

 

 

1. 마법사의 물의 정령

- 방어도만 갂았을 경우 빙결 X -> 방어도만 깎아도 빙결 O

과거에는 상대 영웅을 공격했을 때 방어도만 깎고 체력을 깎는 데 실패했을 경우 상대 영웅이 빙결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블리자드가 버그라고 발표하며 변경했습니다.

 

2. 전사의 방패 밀쳐내기

- 방어도가 0일 때 주문 공격력 증가의 효과 적용 X -> 방어도가 0일 때 주문 공격력 증가의 효과 적용 O

이제 방어도가 0이어도 데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이하는 한국에서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시작하기 전의 변경사항으로서 댓글의 정보를 취합하여 작성한 것입니다. 제가 경험한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코멘트를 달지 않겠습니다.)

 

 

 

3. 부상당한 검귀

- 3/7 -> 4/7

 

4. 마법사의 얼음 화살

- 3코스트 -> 2코스트

 

5. 마법사의 환영 복제

- 도발 능력이 있는 0/1 하수인 둘 소환 -> 도발 능력이 있는 0/2 하수인 둘 소환

 

6. 사제의 북녘골 성직자

- 2코스트 -> 1코스트

 

7. 사제의 예언자 벨렌

- 내 치유 효과가 2배 증가 -> 내 주문과 영웅 능력의 피해량과 치유량이 2배 증가

 

8. 사제의 비밀결사단 어둠사제

- 3/5 -> 4/5

 

9. 흑마법사의 희생의 서약

- 2코스트 -> 0코스트

 

10. 흑마법사의 지옥의 군주

- 전투의 함성으로 내 영웅에게 주는 피해 7 -> 전투의 함성으로 내 영웅에게 주는 피해 5

 

11. 도적의 마음가짐

- 이번 턴에 내가 시전하는 다음 주문의 비용이 2 감소 -> 이번 턴에 내가 시전하는 다음 주문의 비용이 3 감소

 

12. 사냥꾼의 사냥꾼의 징표

- 한 턴간 하수인 하나의 생명력을 1로 바꿈 -> 하수인 하나의 생명력을 1로 바꿈

 

13. 전사의 내면의 분노

- 하수인 하나에게 피해를 1 주고 한 턴간 공격력을 +2 부여 -> 하수인 하나에게 피해를 1 주고 공격력을 +2 부여

 

 

 

 

 

 

 

보너스 2. 삭제된 카드

출처 :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3559&l=2254

 

 

 

 

 

 

1. 마나샘 토템

- 내 카드의 비용이 1 감소합니다.

 

2. 상급 치유

-  상대편 손에 있는 카드 1장당 생명력을 2 회복시킵니다.

 

3. 비취불꽃 사티로스

- 은신.

 

4. 소실

- 내 하수인들에게 도발을 부여합니다. 카드 1장을 뽑습니다.

 

5. 죽음의 소원

- 내 영웅의 방어도를 모두 없애고 이번 턴에 그만큼 공격력을 얻습니다.

 

6. 암흑 소환사

- 내가 각 턴에 처음으로 내는 하수인의 비용이 3 감소합니다.

 

7. 아드레날린 촉진

- 카드 1장을 뽑습니다. 연계: 2장을 뽑습니다.

 

8. 비전 작렬

- 피해를 1 줍니다. 카드 1장을 뽑습니다.

 

9 .동전의 화신

- 동전 한 닢을 잃는 대신 친구를 얻습니다.

초창기에는 후공에게 동전 한 닢 대신 동전의 화신을 줬다고 하네요.

 

10. 검은창 사냥꾼

- 내가 야수를 소환하면 그 야수가 +1/+1을 얻습니다.

 

11. 인내의 기원

- 내 하수인들에게 +1/+1을 부여합니다.

 

12. 회개

- 피해를 3 줍니다. 내 영웅의 생명력을 3 회복시킵니다.

 

13. 정신 붕괴

- 적 영웅에게 상대편 손에 있는 카드 1장당 피해를 1 줍니다.

 

 

 

 

 

 

 

후기

 

 

 

 

 

내가 이걸 왜 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