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초 일본은 한국, 중국의 민족해방운동이 격화되기 시작하였으며, 농민운동, 노동운동이 사회의 저변을 뒤흔들어 위기의식을 느끼기 시작하였다.



1923년 9월 1일 오전 11시 59분, 도쿄를 중심으로 한 관동 지역에 진도 7.9급의 초강력 대지진이 발생하였다.



지진의 여파는 대화재로 이어졌고, 도쿄, 요코하마 지역을 비롯한 관동 지역 일대가 궤멸되다시피 한 피해가 발생하였다. 사망자, 행방 불명자가 14만 명, 이재민 340만 명에 달하는 엄청난 대재난이었다.

 

 

 

 

 

 

 

 

 



 

 

 


이 때 일어난 대지진으로 민중이 공황 상태로 빠져 버리자, 일본 군부와 군국주의자들은 당면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기회라 여기고, 대지진이 일어난 직후인 1923년 9월 1일 오후 경시청은 정부에 출병을 요청함과 동시에 계엄령 선포를 준비하였다.



다음 날 동경과 가나가와현의 각 경찰서 및 경비대로 하여금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켰다”, "조선인이 방화하였다", "우물에 조선인이 독을 넣었다."는 터무니없는 소문을 퍼뜨리도록 하였다.


그리고 그들 당국자들은 유언비어의 전파에만 그치지 않고 그것을 민중들에게 확신시키기 위하여 유언비어반, 지휘반, 실행반 등의 공작대를 조직하여 그들로 하여금 방화·독물투입·투탄 등의 테러 행위를 감행시켜 그것이 마치 조선인들이 자행한 것처럼 조작하였다.

 

 

 

 

 

 

 

 

 


일본 국민은 한국인 폭동설을 그대로 믿고, 그 보복책으로 각 지방별로 자경단을 조직하였다. 그 수는 도쿄에 1,593, 가나가와에 603, 사이타마에 300, 지바에 366, 이바라기에 336, 군마에 469, 기타 16, 합계 3,689개의 자경단이 조직되었다. 이리하여 군경과 자경단에 의한 한국인 대학살이 시작되었다.

 

학살이 가장 먼저 행해진 동경과 가나가와현에서는 군대와 경찰이 중심이 되어 행해졌고, 지바·사이타마현 등지에서는 민족배외주의자를 중심으로 한 자경단에 의해 행해졌다.

 

이들 자경단은 죽창·일본도·곤봉·철봉 등을 들고 도망치는 한국인들을 붙잡아 무차별 학살하였으며, 심지어 경무서내로 도망친 한국인들까지 쫓아 들어와 학살하였는데도 일본 관헌은 사실상 이를 방조하였다.

 

 

 

 

 

 

 

 


 

 

 

 

 

 

 

 

 

 


또한, 일본 정부는 10월 20일 학살 사건의 보도 금지를 해제하였으나 그들은 군대·관헌의 학살은 모두 은폐하고, 그 책임을 자경단으로 돌리는 데만 급급하였다. 그 뒤 일부 자경단원은 형식상 재판에 회부되기도 하였으나 증거 불충분이라는 이유로 모두 석방되었다
 

 

당시 대한민국임시정부 산하의 독립신문 특파원이 조사 보고한 바에 의하면, 이 때 각지에서 학살을 당한 한국인의 수는 약 6661명이 피살된 것으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