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벤이 이걸 메인으로 올려버리는 바람에 어렵지 않다는 글 제목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을 수 없게됨


내용이 너무 함축적이고 쉽지 않다는걸 알면서도 귀찮아서 안고쳤는데 쩝


제가 댓글을 보면서 눈에 띄는 댓글들이 솔랭에서 라인스왑으로 게임이 굉장히 망하는 경우가 많으니까 솔랭에서 하지말라는 이야기가 많이 나오네요


저는 이 이야기를 드리고 싶습니다.


저희가 대회에서 볼 때 라인스왑을 통해 라인전을 도망친 팀이 항상 게임을 유리하게 가져가진 않죠.


또한, 상대팀도 상대가 맞라인피하려고 할 때 와드로 라인스왑여부를 확인하고 따라가려고 하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그 뜻은 리스크를 감수하고서라도 라인스왑을 통해 얻는 이점과 기회를 부정할 수 없다는겁니다.


우리가 솔랭에서 라인스왑을 했는데 졌다면 그건 라인스왑을 해서 졌다라고 단정지을 수 없습니다.


맞라인을 섰어도 젔을지 모르니까요. 이건 졌다는 결과를 가지고 라인스왑이 안좋다라고 평가한 것 뿐입니다.


솔로랭크에서 서로를 잘 모르고 신뢰할 수 없으니까 안하는게 더 좋다?근데 그건 상대팀도 마찬가지입니다.


조건은 똑같습니다. 누가 주어진 조건을 더 잘 이용하냐 싸움이죠.








다3티어에 서식하는 서폿을 주로 하는 유저입니다.

 

사실 계기가 없으면 이런 류의 글을 잘 적진 않는데

 

몇일 전 솔랭을 하다가 바텀라인전이 불리할 것 같아서 탑과 라인스왑을 하기로 했습니다.

 

그러자 같이 라인에 설 서폿분이 굉장히 당황하시면서 라인스왑하면 어떻게 해야하냐고 이것저것 물어보시더군요.

 

자기는 겜 하면서 한번도 라인스왑을 해본적이 없다고 그러시더라구요.(이 떄 엄청 충격받음...)

 

게임이 끝나고 이것저것 알려주면서 인벤에 정리해서 올려보면 어떻겠냐고 하시더라구요.

 

처음에는 거절했지만 제 생각도 정리해볼겸 올려봅니다.

 

 

1.라인스왑은 왜 하는가?

 

라인스왑을 이야기할 때 가장 중요한 왜 하는가에 대해서 먼저 이야기해볼게요.

 

라인스왑을 하는 이유는 너무 다양하지만 제가 알고있는 선에서 몇가지 이야기하자면

 

 

첫째로, 맞라인전 상성이 구릴 때 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인 이유이겠지요.

 

탑라인 상성도 구리고 바텀라인 상성도 구리다면 굳이 맞라인서봤자 서로 고통만 받겠죠.

 

그럴 때 라인스왑을 하게되면 서로간의 안좋은 상성으로 인한 피해를 어느정도 상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 바텀이 베인 쓰레쉬고 탑은 쉔, 상대 탑은 신지드에 바텀은 드레이븐 자이라


이런식이면 탑 바텀 라인전을 버텨나가는게 너무나 어렵기 때문에 타워를 먼저 밀 보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스왑을 해봄직 합니다. 어차피 맞라인서봤자 무조건 우리쪽 탑바텀타워가 먼저밀릴게 당연지사니까요.

 

탑미드 스왑도 같은 맥락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둘째로, 특정 라이너를 말리게 하고싶을 때 이용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Kassadin(카사딘)을 들 수 있습니다.

 

카사딘을 말리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중 하나가 미드바텀 스왑인데 안그래도 약한 카사딘의 라인전을 2:1을 하게 함으로서 완전히 망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대회에서도 카사딘을 픽하면 바텀라이너 둘이 올라와서 카사딘을 고통주는 모습을 어렵지않게 볼 수 있습니다.

 

 

셋째로, 빠르게 한타페이즈로 넘어가고 싶을 때 합니다.

 

무슨 말인고 하니 우리가 라인전은 별로 지양하고 싶은데 한타는 강력하다고 합시다.

 

그러면 당연히 빠르게 한타페이즈로 넘어가고 싶은데 이걸 도와주는게 2:1 라인스왑입니다.

 

2:1 라인스왑을 하게되면 해당 라인과 바텀라인 타워를 교환하게 되는데 이렇게되면 아무래도 안정적으로 라인전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이 짧아지게 되고 맞라인을 섰을 때 보다 서로 좀 더 모이게 됩니다.

 

이는 첫번째로 말한 라인전 상성이 구릴 때 하는 것과도 어느정도 일맥상통한 부분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서포터는 Lulu(룰루)정도가 있겠죠.


정글러는 대표적으로 Amumu(아무무)Malphite(말파이트)Hecarim(헤카림)Nasus(나서스)등등이 있겠습니다.

 

 

넷째로, 적정글을 말리게하기 위해서도 쓸 수 있습니다.

 

라인스왑을 하면 굳이 용근처 버프에서 정글링을 시작할 필요도 없고 상대 두번째 버프 카운터치기도 쉬워집니다.

 

또한, 라인스왑은 상대 정글의 동선을 강요합니다.

 

라인스왑을 하게되면 서로간의 정글러는 정글캠프를 돈다는 선택지는 거의 사라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서로 쌍버프를 챙기고 할 수 있는 선택지는

 

2:1을 하는 아군 솔로라이너를 커버가서 cs먹는 것을 도와준다.

 

상대 2:1하는 솔로라이너를 다이브쳐서 딴다.

 

이 두가지로 거의 압축됩니다.

 

갱킹에 특화되 있을 수록 라인스왑을 안좋아합니다.

 

예를 들면, 상대가 이블린이라고 해보죠. 이렇게되면 이블린은 거의 커버를 갑니다. 이블린이 라인에 얼굴을 비추면 보이지 않는 다는 압박감에서 다른 라인들이 좀더 편해지죠.

 

샤코도 비슷한 맥락으로 볼 수 있습니다.(근데 샤코는 2:1상황에서의 2:2도 겁나쎄서...)

 

람머스도 라인스왑 굉장히 싫어하는 정글러입니다.

 

예는 오로지 갱킹으로 승부하고 6랩전엔 커버가도 cs먹여줄 스킬도 없어서 라인스왑당하면 힘이 많이 빠지는 정글러입니다.

 

2:1라인에 직선갱가기도 껄끄러운에 얘는 딜이 없어서 솔로라이너의 딜에 의존해야해서 ㅡ,,ㅡ

 

 

 

 

 

2. 라인스왑은 어떤 경우에 해야 하는가?

 

라인스왑은 보통 하는 쪽이 유리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라인스왑을 하면 유리한 경우 했을 때'라는 전제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언제 하는게 유리할까요?(이는 라인스왑을 하기위한 조건이 될 수도 있습니다.)

 

첫째로, 바텀 원딜이 약하고 서포터 마저도 원딜이 버티게 해줄 수 없을 때 하는게 유리합니다.

 

아군 원딜이 약하다는 것은 가면갈수록 세진다는 것이고 2:1 스왑을 해서 안전하게 cs를 챙긴다면 상대 원딜보다 유리한 고지에 설 수 있습니다.

 

 

둘째로, 스왑하려는 라인의 라이너가 2:1을 수행 할 수 있어야합니다.

 

Vladimir(블라디미르)처럼 2:1 무지못하고 타워끼고 cs못먹는 라이너가 있는 라인으로는 스왑 못합니다.


반면 Renekton(레넥톤)Shen(쉔)Nasus(나서스)이런 애들은 cs도 적당히 잘 챙기면서 유지력에 도움주는 스킬과 킬 따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만한 cc도 갖고 있어서 스왑할 때 큰 힘이되죠.

 

 

셋째로, 스왑하는 솔로라이너와 아군 정글러가 2:2가 강력할 수록 좋습니다.

 

원딜과 서폿은 일정시간까지 탑솔러+정글러와의 2:2에서 불리할 수 밖에 없습니다.

 

탑솔러와 정글러가 CC와 딜이 강력하면 상대하는 바텀라이너들은 매우 껄끄러울 수 밖에 없습니다.

 

이 조건이 만족된다면 충분히 솔로라이너가 있는 라인에서도 킬을 만들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탑라인에 서는 챔프들은 Renekton(레넥톤)Riven(리븐)Shen(쉔)Irelia(이렐리아)Jax(잭스)이런애들이고


정글러는 Lee Sin(리 신)Jarvan IV(자르반 4세)Elise(엘리스)Xin Zhao(신 짜오)


반대로, 상대편이 바텀라이너 둘과의 2:2의 약하다면 굉장히 유리합니다.

 

2:1라인을 서고있는 솔로라이너를 도와주러가서 상대 라이너를 따줄 수가 없기 때문이죠.

 

주로 CC가 없거나 약하고 딜이 부족하면 이럽니다.



 

 

넷째로, 스왑으로 라이너간의 상성이 바뀔 때 하면 좋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 미드가 니달리고 탑은 레넥톤입니다.

 

상대 미드는 탈론이고 탑은 티모라고 하죠.

 

이 경우 탑,미드 모두 상성이 썩 좋지 못한데 탑미드 스왑을 하면 서로간의 불리한 상성이 어느정도 상쇄됩니다.

 

이럴 때 하면 좋아요.

 

 

 

3. 스왑을 했을 때는 어떻게 해야하는가?

 

스왑하면 유리한 조건을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만 스왑을 했을 때의 운영도 중요하죠.

 

가장 운영이 크게 변하는 탑바텀 스왑을 기준으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일단 버프는 선택을 해야겠지만 바텀라이너에게 리쉬를 받을 수 있는 탑미드 사이의 버프를 챙기는 것이 좀 더 유리하겠죠.

 

가급적 초반 시야싸움에서 상대가 와드를 깊게 박지 못하게 견제하는게 좋고 핑크와드로 핵심동선의 와드 하나를 지워주시는면 유리해집니다.

 

버프를 챙기고 정글러가 해야할 선택은 두번째 버프를 상대쪽으로 달릴것인가 우리걸 챙길것인가에 대한 것입니다.

 

솔로랭크에서 깊숙한 곳에 와드를 박히지 않는다면 상대정글러는 첫번째 버프를 획득하고 두번째 버프로 달리기 시작한 시점에서 라인스왑 여부를 할 수 없습니다.

 

이 시점에서 탑솔러는 상대 바텀듀오가 라인을 밀지않고 웨이브를 모은다면 늑대를 먹고 귀환해서 포션을 사서 라인에 복귀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글러가 아군 두번째 버프를 선택했다면 가급적 아군 탑솔러가 cs를 먹을 수 있게 커버를 가는게 동선상 짧아서 좋습니다.

 

아군 두번째 버프를 안전하게 획득했다는 것은 상대도 상대 두번째 버프를 먹고 탑라인커버를 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스왑을 한 바텀듀오는 이를 인지하고 있어야합니다.

 

상대 두번째 버프로 달릴경우 정글러간의 버프몹 사냥속도에 따라 잡던 중 조우할수도, 안할수도 있습니다.

 

저는 서포터를 할 때 아군 정글러를 따라가서 같이 리쉬를 합니다.

 

상대 두번째 버프로 달릴 경우 교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데 운이 좋으면 두번째 버프 챙기러온 상대를 딸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스왑을 하게되면 탑미드사이에 있는 인원이 아군은 4명 상대는 3명이라 교전발생시 유리해지고 버프를 획득하게 되면 상대는 매우 난감해집니다.

 

상대 버프를 취하는데 상대가 오지 않는다면 상대는 우리 첫번째 버프로 달린겁니다.

 

그러면 거의 무조건 아군 탑솔러를 3:1다이브치므로 탑솔러는 이를 인지하고 동귀어진하거나 죽지않을 준비를 해야합니다.

 

탑으로 간 바텀라이너들은 cs를 밀지않고 모아야합니다.

 

그 이유는 상대는 2:1이므로 cs를 먹을 권리가 없는데 이런 상황에서 한웨이브 씩 가져가봤자 타워도 얼마못치고 상대는 원거리 미니언을 많이 획득합니다.

 

미니언을 최대한 모아서 대포와 함깨 빅웨이브를 가져가면 상대 정글러는 뒤로 돌아오지 못하고 무조건적으로 먼저 커버를 칠 수 밖에 없습니다.

 

대포를 가져갈 타이밍이면 상대 정글러가 올 타이밍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계셔야합니다.

 

이제 이렇게 모아간 웨이브로 최대한 상대가 cs못먹게 견제하고 타워에 데미지를 주어서 빨리 깨려고해야합니다.

 

이 타워 깨는 타이밍이 늦어지면 늦어질수록 용이 위험해집니다.

 

상대는 8분에 타워를 밀어버렸는데 우리는 못밀고 탑에 채류하고 있다, 이러면 용은 거의 준거나 다름없습니다.

 

이 뒷부분은 이제 거의 해당 유저들의 센스에 달려있는 문제입니다. 타워를 밀고 다시 재스왑을 할거냐, 아니면 밀고 올라온 상대와 2:2 맞상대를 할거냐

 

바텀으로 내려갔는데 상대듀오가 탑으로 올라간걸 확인했다. 용을 먹을거냐 타워를 밀거냐 하는게 말이죠.

 

타워를 미는 상황에서 서포터는 비교적 자유롭습니다.

 

2:1이기 때문에 자리를 비우면 원딜이 좀 위험하긴 하지만 엄청난 손해를 보는 건 아니기 때문에 미드탑사이의 정글,라인에서 벌어지는 교전에 합류에 도와줄 수 있습니다.

 

이런 교전 한번에 승패가 굳어지기 때문에 잘 생각하셔야 합니다.

 

 

 

 

라인스왑을 하게되면 요즘 탑미드사이에 와드를 하는데 그게 큰 의미가 없어집니다.

 

어차피 양측정글러가 갈 곳은 뻔하기 떄문이죠.

 

우리는 적 정글러가 와도 2:2기 때문에 와드 한두개정도 아끼거나 다른 곳에 지원해줄 수 있겠죠.




솔랭에서 라인스왑을 잘 안하는 이유는 사전에 전략을 미리 구성해야하고 라인스왑에 대한 이해도가 낮아서 말릴 가능성이 있고 서로를 신뢰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근데 할 수 있는데 안하는 것과 그냥 안하는 건 다릅니다.


바텀상성 조트망 탑 상성 조트망인데 밴픽에서 이야기 할 시간도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정글러 하나만 믿고 맞라인 서는건 그냥 바보짓입니다.


할 수 있는데 안하는 건 마치 시작템 안사거나 돈 다 안쓰고 스택해놓고 라인가는 것과 다를게 없습니다.

 

 

 

적고나니 굉장히 두서없고 예도 적절치 못한 것 같아 아쉽내요.

 

롤이라는 게임이 정답이 없습니다. 라인스왑은 더더욱 그렇구요.

 

 

 





 

글에서 설명드리지 못해서 이해 안가거나 궁금하신점은 댓글로 상호 피드백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