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a.leagueoflegends.com/board/showthread.php?p=35366916#35366916

안녕 여러분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난 바이를 디자인한 Gypsy라고 해. 
난 그녀의 그림, 모델, 애니메이션, 파티클, 소리, 밸런스에 피드백을 주면서 그녀의 키트를 디자인했어.

오늘은 아파서 집에서 쉬게되어서 이 자유시간을 바이에 대해 궁금한점에 대해 답변하는걸로 보내자고 생각했어.
라면좀 끓이고 건설적인거라면 뭐든지 답변해줌. 앞으로 최소한 2시간 동안 답변할께.



유저: 바이 케이틀린하고 로맨틱한 감정이 있음?

네 상상에 맡길게. 내가 말할수 있는건 바이가 인정하려곤 안하겠지만 케이틀린은 바이가 아끼는 몇안되는 사람이자 
믿을수있는 사람이라고  가슴깊은곳에서 느끼고 있음.



유저: 디자인할때 주된 방향이 뭐였음?

바이를 디자인하는 첫날부터 2가지 목표가 있었어.
1. 크고 멋진 펀치들. (바이 유저들은 그녀의 공격에 대한 영향을 느낄수있게)
2. 공격은 최고의 방어. (쉴드 펀치 > 쉴드)

바이는 언제나 강한 타격과 단호한 공격성이 주였어. 난 펀치에 맞지 않거나 너무 유지력에만 치장한 많은 초기 스펠들을 폐기했어.



유저: 그녀의 펑키한 테마는 누구 아이디어임?

내가 알기론 Zeronis였음. 그는 그녀의 오리지날 컨셉아트와 일러스트들을 만들었음. 
"건틀렛을 가진 여자"라는 아이디어는 한동안 있었지만 아무도 완성시키지 못했어.
바이는 한때 롤러스케이트를 가진 꼬마였기도 했었던거 같아. 
Zeronis의 펑크 컨셉이 그녀를 멋진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었고 모두 바로 들러붙었어. 
너와 네 면상을 전혀 상관 안하는 badass 펑키 걸은 우리 게임에게 없던 거였어. 
또한 펀칭. 우린 더 많은 펀칭이 필요했어.


유저: Q+ 궁+ 플래시를 조합한걸로 한놈 잡는데 미친듯한 성능을 보여서 두팀다 어떻게 플레이 해야하는지 결정시키는 그녀의 존재에 대해 어떻게 느낌?

바이의 뎀지가 밸런스되었다고 가정했을때(사실일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고) 난 크게 문제된다고 보지 않아.
그녀가 장거리 돌진을 하기 위해 플래시와 Q를 쓴다면 소환사스펠과 많은 데미지를 손해봐야되.
또한 플랜대로 안갔을때 다시 접근하거나 도망칠수있는 방법도 없어지게 되지.

난 이게 바이의 팀이 어떻게 플레이해야되는지 지시한다는게 좋아.
왜냐면 많은 경우 바이의 궁이 써지면 모두다 기분이 좋아지게 되지.
바이가 한놈을 덩크하게 됬어.
애니가 타겟이 잡혀있는동안 플래시+스턴 콤보로 따라갈수있게 됬어.
그리고 케이틀린은 그녀의 궁으로 타겟을 마무리할수있게됬어.
이건 큰 팀웍의 순간이고 모든 파티가 큰 공헌을 한것처럼 느낄수있게되지.
애니가 킬을 가질수도 있지만 바이는 그래도 계속 멋진 기분을 느낄수있지.
다리우스랑 비교했을때, 그는 그냥 적을 땡기고, 2초내로 죽이게되고,
다른 모든 적들을 킬스틸하게되지. 다리우스로썬 기분이 끝내주겠지만 팀원들은 그렇게 좋지만은 않을꺼야.

하지만 바이를 상대할땐 억압되게 되지. 난 이걸 알게됬고 바이의 디자인을
다시 바라볼때 느끼는 큰 후회중 하나야. 그녀의 궁은 그녀와 그녀의 팀에겐 멋지지만
뒤쳐진 적에겐 절망을 느끼게되. 난 궁이 뎀지를 더 적게 줘야된다고 느껴.
그렇게되면 바이는 이 멋진 장거리 제압을 가지게 되지만 네 피를 궁하나로 반이상 깎지는 않겠지.

렙4용잡기에 관해선 그녀가 아마도 초반에 너무 좋았었고 우리가 W를 너프한 이유야.



유저: 왜 W가 평타리셋을 시키는데  공속을 줬음?

이건 좋은 질문임. 공속을 넣은건 바이가 콤보를 쓴후에도 뭘 할수있게 하기 위해서야.

개발중일때, 바이를 위한 두개의 플레이 패턴이 있었어.
a) 바이가 한타에 들어가서, 스펠을 다쓰고, 그리고 쿨다운이 돌아올때까지 도망다니는것 (탈론처럼)
아니면
b) 바이가 한타에 들어가서, 스펠을 다쓰고, 적을 이길때까지 계속 펀칭하거나
눈앞에 보이는 죽음이 그녀를 후퇴시키는거 (쉬바나처럼)
이 두개의 타입은 W를 조정하는걸로 결정되게됬어.
만약 바이유저가 a) 가능하고 b)두번째 W를띄울수 있다면 계속 싸우겠지.
만약 그녀가 그렇게 느끼지 않았다면 Q-평타-E-평타-E콤보뒤 대부분 후퇴할꺼야.

난 결국 쉬바나플레이 패턴을 지지하기로 했어. 왜냐고?
난 바이는 널 원샷하지 못할때 가장 좌절감을 안느낄꺼라고 주장할수있기 때문이야.
만약 탈론스타일이 지지되었을경우 모든 바이의 파워는 처음 3초 폭딜에 다나와야 효율적이게 되지.
그건 R, Q, E가 뎀지를 더줘야 된다는 뜻임. 이에 붙여서 난 쉬바나스타일이 더 재미있고
바이의 테마에 맞는다고 주장할수있음. 바이유저로써 난 싸움을 하고싶어.
그래 네 wombo-combo 가 적을 폭팔시키는건 멋지지만, 적을 15초간 돌아다니면서 때려주는것도
멋질수있음. 바이가 펀치를 더 할수있도록 권장될경우, 더 나았어.

그래서 공속과 방어무시가 W에 붙은 이유야. 바이가 쭉 싸울수있게 됬어.
어쌔신에서 멀어지고  brawler에 가까워졌고 바이 유저에게 "야 네 스펠이 쿨인게 무슨상관이야
넌 계속 때리고 있어야된다고!" 라고 말하면서 Q, E, R에서 뎀지를 낮출수도 있게됬지.



유저: 체력메타를 카운터하기위해 디자인했음?

아니. 난 그녀를 체력메타가 없었던 시즌2때 탑라인으로 디자인했어. 



유저: 왜 바이가 공짜 스탯받는 챔들과 똑같은 문제가 있음? 왜 공속을 줬음?

공속 질문은 앞에서 거의 답했지만 공짜스탯에 관해 조금더 붙일께.
바이는 탑라인으로 디자인됬었어. 시즌3이 되기전엔 브루져들은 공짜 스탯이 필요했었어.
공속/방관/마법뎀이나 마법저항의 형태로말이지. 잭스와 이렐리아가 "넌 이정도는 되야 롤에서
브루져로 살아남을수있다"라는 지표였고 원딜이 40분쯤엔 아무나 두방에 보낼수있었던 때였지.
바이는 다른 브루져랑 같이 따라잡을수있게 그런게 필요했어.

바이의 W가 그녀의 패시브를 작동시키지 않는 이유는 난 유저에게 컨트롤을 주고 싶었기때문이었어.
난 네가 패시브를 생각하는 때를 원했고 사람들을 때리면서 그냥 우연히 가지게되는건 원하지 않았어.
액티브기술에 의해서만 발동함으로써 할수있게 됬지.
많은 바이유저들은 아직도 패시브를 그냥 싸울때 공짜로 받지만 
최소한 이제 긴 싸움 동안 맞는 때를 위해 아낄수있게됬어.



유저: 왜 그녀의 궁이 카운터를 못하게 만들었어?

이게 언젠가 나올꺼라고 생각했어.

그래서 먼저 바이의 궁을 카운터하는 플레이는 많지 않고 가끔 짜증날꺼라고 말해둘께.
이건 내 디자인에 관한 후회중 하나야. 난 바이유저들이 느끼는것만 너무 집중했어.

여기 왜 현재 궁이 이런지 이유를 알려줄께
1) 엄청 멋짐
2) 난 바이가 아무도 못하는걸 할수있게 해주고 싶었어. 
이 상황에선 100% 확정된 장거리 1.25 띄우기였어.
네가 바이를 고르는 큰이유는 그녀의 믿을만한 이니시야.
그녀는 100%의 확률로 타겟을 스턴할꺼고 이 사실을 바탕으로 팀을 짤수있게되지.

난 모든 챔프가 남들과 비교해서 픽되야 하는 이유가 있어야 한다고 느껴.
좋은 예는 잔나의 궁이 있어. 그녀는 게임내 최고의 떼어내는 스킬을 가지고있어.
네가 원딜을 보호하고 싶으면 그녀를 고를수있어.
아무도 그녀처럼 할수는 없어. 
우리가 이런거에 대해 실패한건 직스야.
멋진 챔프에 재미있는 키트가 있었지만 다른 챔프에 비해 다른 특징이 없었어.
그가 할수있는 모든건 카서스가 더 잘할수있었어. 왜 카서스를 픽할수있는데 직스를 픽해?

그래, 바이의 궁은 아무도 할수없는걸 주기위한 결과지만 상대하기도 엄청 짜증나게도 됬어.
가장큰 문제는 아마 바이의 궁을 카운터 할수있는 방법이 있지만 (못믿겠으면 LCS를 봐)
반사적인 카운터 플레이는 언제나 잘못됬다는거야.
바이가 너한테 다가와? 뒤로 점멸! 틀렸어! 네가 해야했던건 전략적으로 벽을 넘어가거나
팀에게 가까이 점멸해서 그녀가 안좋은 자리에 있게되게 했거나 스녀가 널 친 이후에 점멸했어야되.


(이거 분량 더 남았어요.. gypsy가 계속 추가중이고 저도 번역중)

-------------------------------------------------------------------추가

유저: 바이의 스킨만드는데 일조했음? 그녀의 스킨은 처음엔 의아했었음

난 스킨은 제한된 피드백만 주었고 파티클과 소리는 도와줬었어. 하지만 대부분 스킨 팀이 맡아서 했지.
난 스킨이 멋지다고 생각해(멋진 선글라스와 역대 최고의 리콜 애니메이션). 
하지만 테마는 약간 흐릿했어. 너무 많은걸 하려고 시도했었어.


유저: 바이에게 특별한 감정이 있음? 다른 챔프보다 더 많은 조명을 받은거 같은데(로긴 음악같이)

응. 그녀는 완전히 6개월동안 내 여자친구나 다름없었... ;)

헤, 난 바이를 만들기 위해 일한 사람 모두가 그녀에게 반했다고 느껴. 
그녀는 테마적으로나 느낌으로나 컨셉만들때부터 최고였음.
(Zeronis하고 로어 팀에게 감사해도 되). 그녀를 만들면서 즐기지 않기가 힘들었어.
멋진 파티클에, 그림에, 게임플레이에, 애니메이션에, 음악에.. 목록은 쭉 이어져. 
바이는 언제나 우리 모두에게 멋졌었어.
너도 알꺼라고 생각해. 사람들에게 자기가 좋아하는걸 하게 해주면 완성작은 아닐때보다 훨씬 멋질꺼라는걸.


유저: 뭘로 먼저 디자인됬음? 탑? 정글?
궁이 "broken"*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했었던건 있었음?
*(스펠이나 챔프가 너무 강하면 북미롤유저는 이런 표현을 씁니다. 예: Rengar is broken - 랭가 진짜 OP)

바이는 어떤 라인을 가더라도 brawler로 디자인됬어. 탑라인을 위해 밸런스됬었어. 하지만 보아하니 정글에서 제자리를 찾은거 같네.

 응 그녀의 궁은 카운터 하기가 힘들었고 적이 잘못된 결정을 했을때 더더욱 효과적이었어.
전체적인 키트에 대한 카운터 플레이가 존재할수있었을때 스펠하나가 "broken"인건 너무 크게 걱정하진 않았어.
또한 "broken" 스펠들은 많은 경우 그 챔프를 멋지고 특별하게 만들어주지. 케이틀린의 궁은 좋은 예야.
(케이틀린의 궁은)사정거리하고 데미지는 "broken"이지만 막는게 가능하고 다른 그녀의 키트의 약점이 보완해줘. 
쉔은 스펙트럼 반대쪽을 보여주지. 그의 궁은 "broken"이고 나머지 그의 키트는 더 심해지지.
체력을 쌓고, 맨날 스플릿푸쉬 그리고 갱킹당할때 대시로 벽을 넘기.



유저:바이의 문신의 아이디어는 어디서 나왔음?

Zeronis'의 컨셉 아트에서. 그녀는 그 6 (vi) 문신이 첫날부터 있었어. 상상력이 그 의미를 찾았지. 스토리가 있지만 말해줄순없어 ;3



유저: 왜 케이틀린이 호주 악센트를 가지고 있는데 최근에 추가된 필트오버 출신자는 자신만만한 미국억양임?

성우 오디션 볼때 다른 악센트를 찾아봤었어. 마지막엔 결국 최고의 성우를 골랐어. 그녀가 우연히 그런 억양일 뿐이야.
 난 바이의 악센트가 좋아. 이건 그녀들의 다른점을 보여주고 바이가 케이틀린을 놀릴수있는 또다른 방법을 주지.


------------------------------------------------------------------추가 2

유저: 바이는 탱키하면서 방어가 부실한 챔에게 큰데미지를 주는 게 의도대로 되고있는거임?
궁을 피할수있게 할생각없음?

난 솔직히 바이가 탱키하다고 생각하진 않아.
유저들은 그녀가 순수탱으로 템을 맞추고 적들을 죽이는거에 불평하지만
내가 게임을 보면 바이가 도마뱀장로, 브루탈, 솔라리를 가더라고.
실제로 탱키하게 템을 맞추고 125 공짜 방어력과 마법방어력을 주면서 널죽이는 신짜오랑 비교해봐.

후반에 그녀의 패시브가 너무 빨리 돌아오는게 가능성있고 시즌3 체력관련 변화에 너무 좋을수도 있음.
이건 초기에 나쁜 순간 방어기술로 디자인됬었어. 이건 저항력이 최고고 체력쌓는건 대세가 아니었을떄였지.
그래, 쉴드가 방어에 비례하도록 할수도 있어. 하지만 그럼 메이지가 그냥 원샷하겠지.
그녀는 큰 데미지를 줘야되지만, 그렇게 폭딜이어선 안되. 바이는 네 얼굴앞으로 오고 네가 처리해야되는 챔프야.
만약 안한다면 널 죽이겠지.

현재 우리는 궁지속시간 동안 CC가 들어갈수있도록 하는걸 테스팅하고 있어.
이건 궁을 멈추진 못하겠지만 끝난후 네 팀 한가운데서 스턴당하게 되겠지.



유저: 새 스킨 계획?

난 우리가 몇몇 스킨컨셉을 아이디어로 냈지만 실제로 만들고 있는지는 모르겠어

개인적으로 멋지다고 생각하는 스킨 (라이엇하곤 관계없음)
 - 탱크탑+복싱바지+글러브를 낀 클래식 박서 바이 
 - 몽크옷+ 손에 떠다니다가 그녀가 펀칭할때 딱딱해지는 돌을 가진 어스밴더 바이
 - 라이엇 전경 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