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i (생선년)

희대의 쌍년 나미다. 유틸이면 유틸, 딜로가면 딜 오지게 쌘 편에 속하는 서포터다.
공수 전환이 빠르고 잔나와 맞붙으면 손가락 싸움이 될 수밖에 없는 스킬 셋을 들고있다.
q 에어본 / w 힐 / e 공버프 / r 진영파괴, 에어본 - 나미
q 에어본 / w 슬로우 / e 쉴드 / r 진영파괴, 힐 - 잔나

이 생선을 어떻게 회 치는지 알려주겠다.
일단 손가락 싸움이긴 하지만 나미의 플레이 방식에 따라서 잔나의 플레이도 달라져야한다.

나미가 가드 올리면 잔나도 같이 가드 올리면 된다. 하지만 나미가 잔나보다 더욱 답답할 것이다. 잔나는 만년 라인전 곶통받다가 원딜이 씨에스라도 주워먹게하면서 버스타는 서폿이지만 나미는 그게 아니기 때문이다. 결국 나미는 자신의 몸에 e를 걸고 올텐데 그때를 노려서 같이 맞딜교를 해주면 된다. 
누구하나 피가 빠지면 킬이 나니까..
스킬 활용은 나미의 q에 원딜이 맞거나 딜교환이 불리해서 빼야할 때 qq를 날리고 그 이외에는 아끼는 것이 좋다. w는 적 원딜에게 박아서 빼게 만들어야 나미와 정상적인 딜교환이 가능하다.

Lux (데 마 시 아 !)

데, 데맛띠아!!!!
얘는 짤짤이면 짤짤이 딜이면 딜, 모두 잘 나오는 서포터다.
그렇다고 e를 너무 남발해서는 안된다. 이게 핵심 포인트다. 잔나가 쉴드를 쓰면 쓸수록 럭스는 더욱 기고만장해진다.
q나 e가 빗나가는 그 순간 qq로 빠르게 띄우고 열심히 쳐주자. 라인전에서 쫄 필요가 없다.
럭스레기는 이름값 하기 때문에 그렇게 어렵지가 않다. 하지만 q를 맞았을 땐 바로 원딜, 서폿 qq각을 보거나 
원딜에게 박는 것이 좋다. 딜로스를 뽑아내야 잔나가 죽을 확률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Leona (햇빛계집)

엄마 나 얘 싫어..
그냥 싫다. 근데 서폿 op 삼대장에 이름을 당당히 올린만큼 픽률도 높고 강한 서포터이다.
2렙 선으로 가져오는게 중요하다. 먼저 찍히면 eq로 빠르게 들어올거고 그걸로 인해 디나잉을 당하게 된다.
뭐, 레오나는 잔나로 상대할 때 딴거 필요 없고 햇빛 페시브만 조심하면 된다.
어차피 e로 들어오면 잔나도 qq로 쳐버리면 되니까. 하지만 스킬 하나 씹었다고 가까이 붙어서 딜교하는건 금물이다.
햇빛 + 적 원딜 평타 한대면 아군피 100~150쑥빠진다. 결국 카이팅밖에 답이 없는데 이 친구는 w 안켰을때 적정거리 유지하고 w 계속 날려서 못들어오게 만드는게 가장 이상적이다.
레오나를 상대할 때는 원딜의 뒤에 포지셔닝을 하는 것이 좋다.
라인전에서 못큰 레오나는 한타때 무능력하게 녹기 때문에 그것만 잘해도 이긴샘이나 다름없다.

Nidalee (창년)

리메이크 되고 두번 만나본 창년이다. 
쿠커폼으로 변하면 잔나가 상대하기 더욱 좋은 상태가 된다. 막 다짜고짜 창만 날려대면 잔나의 쉴드로는 어림도 없는 어마어마한 딜이 들어왔는데 너프 이후로는 맞아줄만 하다. 1:1 상황을 피하고 2:2 상황에서 녹이도록 해야한다. 단, 6렙전부터 기동력이 좋기 때문에 과도한 추격은 금지한다.

LeBlanc (애미리스 폭딜러)

내가 주로 쓰는 르포터다. 
순간적으로 어마어마한 폭딜을 넣고 그걸 스노우볼로 굴려대는 더러운 챔프다. 잔나의 쉴드는 휴지마냥 찢기게 되기 때문에 그걸 미연에 방지해야한다. 르블랑의 콤보는 q ww 가 주를 이룬다. q가 날라옴과 동시에 나도 q를 쓸 준비를 해야한다. 르블랑이 처음 w를 날라오는 그 자리에 q를 써놓고 ww로 튀면 바로 q날려주자. 
르블랑의 단점은 몸이 너무 약하다는 것인데.. 그 약점을 찔러 빠르게 녹여주면 딜교환 하러 오기 껄끄러워진다.

Morgana (예비OP)

오늘도 안녕하셨어요 ?
그냥 서로 인사하면서 파밍하면 된다. 장판을 쓰면 그 위에서 쉴드걸고 춤춰주자. 단 6렙이후에 (서리 + q + r ) 콤보로 기어들어왔을 때 블렉쉴드가 빠졌나 안빠졌나 체크해주어야 한다. 잔나의 r이나 q w 는 딜 포기, 상태이상만 주는데 그걸 다 카운터 칠 수 있는 쉴드가 있으면 피하지도 못하고 당해야 하기 때문이다.

Lulu (로리)

이 요망한 요들년. 진짜 만나면 뺨때기 존나때려주고 싶다.
로리한 몸매에 스킬들까지 깜찍한 이름을 달고있지만 존나아프고 짜증나는 것들 뿐이다.
최대한 원딜을 보호해주어야 한다. 폴리모프 걸렸을때 qq로 상대의 딜로스를 유발시켜야 손해를 안본다.
쉴드를 너무 남발해선 안될 상대중 하나다. 어차피 로리년은 마나소모가 크기 때문에 몇번 맞아주면 알아서 자멸한다.
2:2 싸움은 원딜 상성상 우위를 점하지 않는 이상 절때로 해선 안된다.

Sona (가슴이 시켜요)

옛날의 영광은 사라지고 " 가슴 너프대신 파워코드 너프좀" 을 외치는 소고인이다.
결국 남은건 가슴밖에 없다. 옛날엔 q한방에 쉴드는 모두 사라지고 파워코드가 꽂히면 원딜의 피가 사라지는 마법이 일어났지만 지금은 아니다. 소나 q가 3렙 찍히기 전까진 잔나 쉴드를 못뚫는다. 걍 q쓰러 들어오면 qq로 짜르고 계속 후려놓자. 그러면 바텀은 어색한 평화협정이 만들어지는데 그때 적 원딜을 쉴드치고 계속 후려줘야 한다.
그러면 라인전은 쉽게 가져올 수 있다.

Blitzcrank (노란 깡통)

ㅋ ㅄ깡통이다. q빠지면 라인유지력이 종범되는 종특을 가지고 있다.
q로 잔나를 땡긴다고 해도 e 맞기전에 빠져나올 수 있다. 끌려가자마자 qq 날리고 적 원딜 후리기에 들어가자.
그럼 오줌마려운 똥개마냥 안절부절 못하고 w e를 날리러 올텐데 적당히 카이팅 하면서 원딜만 패주면 
갱 호응할 때 빼고는 다신 못들어온다. 걍 존나때려주자. 약자는 밟아줘야 재맛

Braum (포로덕후)

닥벤♥

Soraka (예비고인)

패왕소리 듣다가 너프먹고 다시 관짝으로 들어갔음 누가 쓸지는 모르겠지만 혹시나 해서 적어놓는다.
주도검을 들고왔다면 라인전은 내가 우위에 점한다. 1렙 q에 q선마기 때문에 힐량이 개 쥐똥만큼 들어온다.
거기다가 이속도 존나게 느려서 뚜벅이다. q너프까지 먹어서 딜도 사라졌기 때문에 그냥 쥐어패주자.
쉴드걸고 때리면 쟨 맞고 1렙찍힌 힐을 자신에게 쓸꺼다.
하지만 닥파밍모드 + 메자이 + 로밍궁은 어떻게 막지 못한다. 갱콜해서 메자이 떨어트리는 것 밖에 답이 없다.
라인 유지력은 소라카 따라오는게 없다.

Thresh (쓰레기 + 트레쉬)

쓰레기왓쪄염 뿌우'ㅅ'
ㅇㅇ 얘 쌤. 근데 잔나한텐 안됨. 초반에 평타치러 나갔다가 인중 쳐 맞지말고 가만히 있자.
스킬을 하나 씹고 들어가기 때문에 쓰레쉬가 상당히 힘이 빠질 수 밖에 없다. 끌리면 그냥 qq로 치고 빠져나오고 그것도 아니면 그냥 파밍구도로 가면 됨. 어차피 쓰레쉬는 e페시브나 궁으로 인해 잔나보단 쌔기 때문에 걍 버티기로 들어가면 쓰레쉬 애만 탐. 렌턴갱만 조심하면 됨. 방어룬 들고오는 쓰레쉬는 2:2에서 이길 수 있음. 원딜만 죤나패셈.
그럼 쓰레쉬는 1+1임.

Alistar (젖소)

얘는 난이도가 하늘과 땅차이임. 잘하는 애면 지옥을 보고 못하는 애면 그냥 가지고 놀 수 있음.
대놓고 w 쓴다고 걸어오면 원딜의 뒤에 포지션잡고 qq 쳐낼 준비 해야함. w 날라오는 도중에 qq 맞으면 우주관광표 끊어줄 수 있음. 달나라에서 떡매로 떡치고 있는 리븐 구경시켜주고 내려옴.
하지만 wq를 온전히 맞았을 땐 상대 원딜을 띄움으로 써 딜로스를 유발시키고 신속하게 빠져야함. wq 맞으면 딜교가 성립이 안되기 때문에 그냥 빼는게 답임.

Annie (로리 2)

존나 로리년들은 하나같이 잔나카운터임.
폭딜이 어마어마하고 방룬들면 해볼만 하던 라인전도 말리기 때문에 그냥 다른거 픽하는거 추천.
"ㅠㅠ 내가 선픽인데.. 잔나 픽하자마자 애니나옴.." ㅇㅋ, 그럼 상대법을 알려줌.
원딜이 스턴 맞으면 후속타 못때리게 qq 날리셈. 그럼 qw 연계하려던거 공중에다가 w쏨. w 거리 안나와서 흩뿌리고 딜 안들어옴.
그거 노려야함. 안그러면 노답됨. 6렙 이후에는 그냥 갱콜하도록!

Zyra (식물)

환경 미화원 자이라다. 존나쌔다. e맞는 순간 골로간다. 그냥 고대주화 올리고 타워 뒤에서 가드만 올려라.
갱왔을 때 자이라부터 노려라. 뚜벅이에다가 이속도 느려서 죽이기 쉽다.
그럼 자이라 징인이, 자이라 페시브장인 됨ㅋ

Taric (게이)

아군이 e 맞으면 빠르게 쉴드 걸어주고 타릭한테 w 걸어서 w나 평타를 못쓰게 해야함.
그리고 잔나 q는 원딜을 향해 날릴 준비를 해야함. 그럼 서로 맞파밍임. 
다시한번 말하지만 잔나는 원딜 씨에스 잘먹이는게 목표임. 그것만 잘해도 절반은 먹고 들어감.

Karma (싸엘라 싸 티리비)

향로와 잘맞는 카르마임. 얘 짤짤이를 무조껀 쉴드로 막을 생각하지 말고 r q 들어오는 것만 막아주자.
짤짤이가 쉴드보다 빠르다. 마나소모는 줄이고 녹일 생각을 하는게 좋다. 마관, 주문력 룬 들고 w 선마하는 것도 좋은 선택이다.

Fiddlesticks (수수깡)

음 얘는 뭐랄까.. 난이도가 있는 챔프같으면서도 쉽다.
초반에 까마귀와 공포로 원딜을 한없이 괴롭히는데 그렇게 되면 라인은 밀리게 된다.
그러면 초반 정글러를 개입시킬 수 있게 되는데 약간 깔짝거려주면 공포 + w 로 쪽쪽 빤다. 그럼 qq 로 띄워서 드레인 끊어주고 w 박아주면 300원으로 변한다. 6렙때 오줌쌀 듯 부르르르 떨고있으면 r이나 q로 슬쩍 밀어주자.
그럼 다음 궁타이밍때 까지 질일이 사라진다. 패는대로 피달고 공성미니언한테 w 쓰기 바쁠꺼다.
그것도 끊으면 패드립먹으니 주의할 것. 즉, 얘를 상대할 땐 부쉬와드가 생명이란거임.

Zilean (노인공경)

ap 주도검 들고온다. 100%. 유틸로가면 개똥이기 때문에 질리언은 선택권없이 주도검에 ap룬이다.
원딜 머리나 잔나 머리에 3 2 1 뜨면 3쯤에 쉴드 올려놔주자. 그럼 터질때까지 쉴드 안풀린다.
그리고 씹힘. 1에 쉴드를 걸면 안될게, 잔나 쉴드 쿨도 생각해야 하기 때문임.
되감기 쓰면서 들어오는건 잔나가 어떻게 못막아줌. 
6렙 이후에 기회가 된다면 상대 몸에 노란 나미 e가 돌고 있으면 죽이지 말고 도망 못가게 막기만 해라.
다시 되살아나면 반피다.

또한 질리언의 페시브는 (아군 경험치 + 8%)가 달려있다. 선2렙을 뺏기면 라인전이 힘들어지는 잔나가 주의해야 한다. 맞 파밍시 선 6렙을 찍히면 R로 되살아나거나 이동속도 5.5저하 + 되감기 콤보로 탈진보다 더 한 애미리스한 스킬이 들어온다. 조심하도록 하자.




만점 - 별 5개
[잔나와 잘 맞는 원딜일 수록 별이 높음. 즉, 챔프가 구린거와는 상관 없음]

Graves ★ (고인) 

무덤성님이다. 잔나와 평타 위주의 딜러들은 대채로 잘 맞는다.
근데 이 성님은 누킹까지 된다. 잔나 쉴드 + 누킹하면 어마어마한 딜이 뽑히기 때문에
잔나 e를 맞을 때 말고 때릴 때 쓰는 것을 추천한다.
몰락그브가면 그냥 얘한테 쉴드 걸지마라. 방관그브라면 쉴드 잘 쳐주자.

Draven ★ (아이스크림 제조기)

내 사 랑 드 레 이 븐! 
하지만 드레이븐은 잔나 싫어한다. "잔나와 드븐은 참 잘맞지요??" 얜 다 잘맞음ㅋ
딜교할 타이밍에 e 걸어주자. 그럼 폭딜이 나온다. 드레이븐이 e 던져서 맞추면 바로 qq로 띄워주자.
그럼 바로 킬나온다. 얜 그냥 듀오해보면 안다. 

Lucian ★ (신 패왕)

새로 패왕소리 듣는 루시안이다. 하지만 평타가 느려 잔나의 e 페시브를 모두 뽑아낼 수 없다.
"루시안 페시브에 좋을 것 같은뎀 'ㅅ' ?" ㅋ;;; 아냐. 그게 아니라고..
선 트포를 올리고 있는 루시안은 잔나와 정말 안맞는다. 차라리 나미하는게 더 좋음.
선 블써나 마바라기 올린다면 괜찮음.

Miss Fortune ★ (고인 2)

잔나의 q와 미포의 궁이 만나면 엄청난 시너지가 나온다. 근데 궁이 ap 계수로 바뀌고 똥됐다고 한다.
이 챔프 역시 투코어 전까지 잔나와 상성이 별로다.
그냥 '할 만 하지만 애써 고르기엔 애매한' 정도가 되겠다. 주로 q 날라갈때나 w 쓸때 쉴드를 걸어주는 것이 좋다.

Varus ★ (고통덕후)

이 친구는 목소리가 좋아 서게에 물고빨고 하는 여성팬을 보유하고 있다.
스킬로 스텍을 쌓아 터트리면 딜이 쩐다. 그 때 쉴드를 걸어주자. 역시 평타기반 딜도 잘 나온다.
뚜벅이기 때문에 탈진을 들어서 무는 애를 확실하게 커트해줘야 한다. 안그러면 원딜이 끔살당하는 대참사가 일어난다.

Vayne ★ (벌레)

얘는 라인전 호구라 맞는거 쉴드만 쳐줘야 한다. 잔나와 함께 봇을 가면 라인전은 일단 지고 시작한다.
갱 호응할때도 베인한테 눈을 때서는 안된다.
언제 어디서 녹아버릴지 모르기 때문에 항시 돌봐줘야 하는 딸이다. 한타 때 베인을 살리는 데 온 힘을 쏟아부어야만 1인분 하는 아이다. 

Ashe ★ (유부녀)

시즌 2때 잔나, 애쉬 조합이 op라고 불렸었다. 지금은 너프로 걸레가 된 애쉬랑 굳이 라인에 서지 않아도 된다.
애쉬도 잔나를 기피하고 잔나 또한 애쉬를 싫어한다. 뚜벅이에다가 딜 ㅈ또 안나오기 때문에 성장을 잘 시켜야 한다.
손도 많이 가는주제에 슬로우말고 하는게 없다그래도 애쉬 w와 잔나 e가 만나면 딜이 잘 나오기 때문에 베인보단 좋다. 

Ezreal ★ (미소년)

개같은 이즈리얼은 초반에 q를 파밍에 쓴다. 그래서 라인전을 물말아먹고 타워랑 씨에스 경쟁하게 됨.
그게 아니더라도 이즈하고 잔나하고는 존나 안맞는다.
라인을 풀려면 잔나가 나서서 원딜의 피를 빼 놔야 하는데 그것도 안되면 걍 타워 뒤에 숨어서 이즈가 먹는 씨에스에 달라붙은 찌꺼기 +1G를 받아먹으면 된다.

Jinx ★ (광년)

잔나와 징크스는 대채로 잘 맞는다. 생선대가리 폼 + 잔나쉴드면 초반 2렙도 빠르고 견제 또한 강려크하다.
그리고 타워 부실때도 공격력걸린 쉴드를 주면 빠른속도로 부심. 뚜벅이기 때문에 잘 돌봐줘야 한다.
잔나의 qq와 징크스의 e 연계로 라인전을 풀어나가거나 갱호응을 하도록 하자.

Caitlyn(케이틀린) ★ (시몬스 침대)

흔들리지 않는 편안한 라인전을 가져갈 수 있다. 사거리가 엄청나게 길고 q의 댐지도 좋기 때문에 견제할때 쉴드를 걸어주자. 즉, 적 원딜이 한대치고 나서 쉴드를 걸어주면 딜교환을 이길 수 있다. 특히 케이틀린이 r을 쓸때나 q를 쓸 때 걸어주는 것도 좋다. 

Twitch ★ (쥐새끼) 

최근 트위치의 모습이 변해 매뚜기같이 생겼다. 얘도 잔나와 라인전 가면 꽤나 쌔다는 평을 받고 있다.
하지만 트위치 특유의 암살플레이하고는 잘 맞지 않기 때문 굳이 잔나와 라인가기엔 좀 그런 챔프다. 
얘 나오면 짤짤이 챔프나 육식성 서폿 챔프를 드는 것이 좋다.

Quinn ★ (nOdaP)

DO닫지.
사거리 짧아서 쳐맞기만 하고 중반까지도 딜이 애자다. 
6렙 이후에 2:2 교전에서 불리하면 잔나 빠르게 포기하고 r 쓰고 튐. 걍 얘는 노답이다.

음.. 퀸에 대해 이야기가 많은데 "라인전에선 퀸이 좋은데 한타에서는 힘이 빠져요"
가 대부분이다. 내가 못하는 퀸만 만나서 그런지 모르겠다.
근데 잔나와 라인 서면 제 힘을 못끌어내는 듯 해서 별점을 낮게 준 것임.

Corki  (고인 3)

얘도 딱히 좋은 점은 없다. 잔나 꺼내지마라 안맞는다.

Tristana ★ ~  (로리)

트타는 스킬 선마에 따라서 잔나와 잘 맞는지 안맞는지 알 수 있다.
w 선마 트타는 잔나와 아주~~~안맞는데 q선마는 대체로 할 만하다.
트타와의 호흡은 초반에 평 e 평 쓸때 쉴드 걸어주는 것이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으하하핳" 소리와 함께 손이 파랗게 물들면 쉴드를 걸어주자. 그럼 딜교환에서 승리를 가져올 수 있다.

Kog ★ (꼬그꼬그)

꼬그모는 애석하게도 잔나하고 잘 안맞는다. 툭툭 맞으면 터지는건 고사하고 얘하고 라인전 가면 속만 터진다.
얘는 후반까지 성장시키지 않으면 그전에 자멸하는 친구다. 단, 충분히 성장 했다면 이만큼 든든한 애도 없다.
탱커가 알아서 사라지는 마법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Sivir ★ (명품빽 마니아)

이 누나는 잔나와 잘 맞는다. 라인 밀고 당기기가 자유로우며 q와 잔나의 쉴드가 만나면 모친출타한 딜이 나온다. 거기다 뚜벅이긴 하지만 시비르 r과 잔나의 스킬 유틸성과 아주 잘 맞는다. 생존도 어느정도 되고 딜도 강해서 듀오할때 원딜이 자주 꺼낸다.

Urgot(우르곳)★ (전우협)

우르곳은 참 좋지요^^ 그렇죠 전우협 여러분?
잔나와 참 잘 맞게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



본문으로 들어가기 전 나의 편의를 위해 음슴체를 쓰겠음.

나는 플레기에서 갓 다야 찍은 손고자 서포터임.

팀랭할 때는 오더 담당이고.. 내가 주로 사용하는 방법들을 간략하게 적어봤음.

내가 두리뭉술하게 경험으로 가지고 있던 걸 글로 쓰는거라 다소 부족한 점이 있을거임.

그 점들은 양해 부탁드림..

 

이건 내 말이 진리다. 라고 쓰는 것이 아닌 내가 이런 운영을 즐겨쓰고 느낀 장, 단점들임.

수정할 부분 피드백 받음.

 

참고로 난 서포터이기 때문에 서폿 입장에서의 느낌이 약간 남아있음.

 

 

1. 리쉬

 

리쉬는 1분 55초에 버프가 나오면 정글이 먹기 수월하게 다른 아군이 몇 대 쳐주고 라인으로 복귀하는 것을 의미.

티어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리쉬는 짜게 들어옴 (정글 챔프에 따라 다르지만).

이유는 바텀 듀오가 라인 미니언 1마리의 경험치를 못먹고 시작할 확률이 높기 때문.

선 2렙은 모든 상성을 뒤집을 만큼 킬, 스펠을 뺄 찬스이기 때문이다.

스킬이 1개인 것과 2개인 것의 차이지만 2:2 싸움에서는 엄청난 차이임.

 

블루 선 리쉬 - 1:55 ~ 2:01 까지 리쉬해주면 경험치를 놓치지 않음.

레드 선 리쉬 - 1:55 ~ 1:59 동선이 더 길기 때문에 원딜이 스킬1방 평타2방 쳐주고 가야함. (삼거리 아래로 가기 때문에 길다.)

 

 

2. 1렙 싸움, 선 2렙.

 

1렙 싸움은 초반 딜교를 함으로 써 선2레벨을 안정적으로 가져갈 수 있음. 단, 라인이 망가질 위험이 있음.

특히 논타겟 스킬을 가진 서폿, 원딜들이라면 딜교한답치고 라인을 확 밀어 적에게 당기고 먹을 찬스를 줌.

타겟팅 형 스킬을 가진 서폿이 행하면 라인이 망가지지 않은 체 딜교를 할 수 있음.

이런 경우엔 선 2렙보다 1렙싸움에 치중하는 것이 좋음.

라인이 망가지지 않았을 경우 [프리징 - 디나이] 로 아군 3렙 적군 1렙으로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임.

 

선 2렙 찍기는 [미니언 1웨이브 근거리 미니언 3] 먼저 먹음으로 써 선 2렙 킬각, 스펠을 뺄 각도를 만듬.

하지만 무작정 밀다가는 위에 적어논 것 처럼 라인이 밀어지고 적과 나란히 성장할 기회를 부여함.

초반에 밀면서 볼 이득은 매우 한정적임. 도란1포션인 원딜이나 돈탬 3포 (대부분 체력) 임.

타워안에 넣고 씨에스 먹는 원딜, 서폿을 견제하는 것이 밀기의 주 목적인데 마나가 적고 대미지도 적은 초반에 하면 효과적이지가 않음.

성공한다면 선 2렙 찍기는 적에게 굉장히 위협적인 운영이 될 것임. 초반 스펠빼고 시작하면 소극적으로 플레이가 변하고 라인에서 중간 이상 나오질 못하니까.

 

 

3. 풀링 (당기기)

 

많은 유저들이 착각하는게 있는데 '미는 것과 당기는 것은 다르다.' 잘 알아둬라.

상대가 미는건데 나는 당기고 있다고 생각하면 그건 진짜 바보다.

원딜이 타워와 씨에스 경쟁을 한다. 씨에스가 타워에 안맞게 하려고 맞으면서 다음 웨이브를 기다린다.

이건 풀링이 아니고 일방적으로 운영 당하고 있는 것이다.

고통받다가 "오예! 라인빠짐! 씨에스 먹어야지!" 하고 달려나갔다간 상대 짤짤이 맞고 씨에스는 타워에 다 버리고 집으로 향해야만 할 지도 모른다. 상대가 타워 뒤쪽에서 다이브 칠 각도를 노리고 있던가.

아군 정글라가 바텀을 아얘 건들지도 않는다. 상대방이 딜교에서 지고 반피 이하가 되어있다. 라고 할때

밑에서 설명할 프리징과 같이 사용하면 좋다.

 

풀링의 장점 - 이득을 최대화 시키기. 프리징 하기 좋은 상태. 상대 말려죽이기

 

풀링의 단점 - 갱 호응할 경우 씨에스 손해. 너무 뭉쳐있을 경우 딜교환을 질 수도 있음.

 

 

4. 프리징 (얼리기)

 

라인을 얼리기 좋은 위치는 때에 따라 다르겠지만 [풀링 + 프리징 = 하드 디나이] 구도를 갈 때엔 우리 쪽 바텀 부쉬 시작하는 위치에서 약간 뒤다. 포탑 안맞을 사거리에서 굳히는게 좋다는 소리다.

얼릴때 [적의 원거리 미니언 3마리] 는 잡지 않는다. 그러면 적의 미니언은 그 자리에서 쌓여간다. 유지해주면 미니언 그 수만큼 딱 유지된다.

[프리징은 2웨이브하고 리셋 2웨이브하고 리셋] 이게 가장 이상적이다. 너무 쌓여도 문제이기 때문

조금 더 심화적으로 들어가면 중앙에서 프리징 할 때다. 이 때는 조금 위협적으로 플레이 할 때다. 아군이 정글러한테 고통받고 있을 때 하면 좋다. 와드를 박아두고 중앙 프리징을 시전하면 정글은 바텀으로 오게 된다.

이유는 중앙선에서 먹을 경우 갱 가도 딸 만한 거리이기 때문. 어그로 끌 때 쓴다는 소리다.

만약 적 정글이 보였다면 라인을 쭉 밀고 뒤로 살짝만 뺀다. 적이 갱 호응을 할때 볼 손해는 이러하다.

 

갱 호응시 - [경험치 + cs 골드 + 라인이 다시 리셋되거나 밀리는 라인 형성]

갱 미호응 - [정글의 동선낭비 + 정글러를 따거나 집보냄 + 갱호응 안하네 바텀 안감 슈발]

 

프리징 장점 - 적을 말려죽임. 초반에 행할 경우 [봇듀 리쉬 > 다음버프 > 카정&미드&탑] 갈 뻔한 동선인 2~3분간 적 바텀에게 경험치도 내주지 않음. 아군 정글이 바텀에 오지 않아도 됨.

 

프리징 단점 - 말리고 있을 땐 사용 불가. 어설프게 하면 역으로 빅 웨이브를 내줌. 갱호응 불가.

 

 

푸쉬 (밀기)

 

짤짤이 챔프가 쓰기 좋음. 원딜로 치면 이즈. 서폿으로써는 소나와 같은 챔피언. 단, 마나관리는 잘 해야 함.

푸쉬는 다른 라인 운영기술과는 달리 라인 계속 미는게 끝임.

그리고 한가지 행할 점이 있음. 상대가 타워하고 씨에스 경쟁하면 그 때 나도 한대 후린다. 쉽지?

이렇게 해서 상대의 마나나 스펠, 혹은 정글러를 불러 다이브 킬각까지 만들 수 있음.

라인 주도권을 손 쉽게 쥘 수 있다. 초반에 선 2렙을 먹고 행하면 좀 더 수월하다.

라인 주도권을 잡았다면 풀링하든 프리징하든 상대는 뭘 하든 갑갑해진다.

여기서 중요한 건 자신의 짤짤이에 너무 취하지 말아라. 적 정글의 동선을 놓치는 순간 킬각이다. 갱 당하는 순간 역으로 운영할 기회를 넘겨주게 된다.

 

이 푸쉬는 적 바텀듀오를 집 보내고 라인을 쭉 민 뒤 리셋되었을 때

[근거리 미니언 빼고 다 사살] 하라. 너가 집갔다가 돌아오면 빅웨이브 굴러와있다.

약 (28초? 30초? 그쯤일껄)

탱크미니언 때 밀겠다면 [근1/원1] [원2] = 탱크미니언 1 이렇게 계산하면 된다.

이게 빅 웨이브 굴리는 법이다.

 

 

1 3 1 운영

 

롤챔스 보면 많이 나오는 운영중에 하나이다.

그리고 저 티어에서 1 3 1 한다고 까불다가 3명이 강제한타 당하고 2명이 집으로 귀환타며 "아 나없는데 왜 싸움?" 다들 한 번씩 경험해 봤을꺼다.

1 3 1 의 정의는 대강 이러하다.

3명에서 적팀 5명이 미드를 못밀게 대치만 한다. 그리고 2명은 각각 라인을 밀어주며 스플릿 운영을 해준다. 대충 밀어놓고 귀환하거나 강제 이니시를 걸렸을 땐 그냥 타워밀 수 있는 찬스이다.

 

1 3 1 장점 - 양 날개인 탑, 봇의 라인을 쭉 민 상태에서 한타가 가능. 말려죽이기. 바론먹혔을 때 시간 벌기용으로 많이 사용.

 

1 3 1 단점 - 오브젝트 싸움에 약하다. 탑이 쉔이라면 바텀은 라인관리가 빠른 미드나 원딜이 갈텐데 뚜벅이들이라 5명에서 바론을 갈 경우 동선이 너무 멀기 때문이다. 시간이 너무 오래걸리는 운영이다. 1 3 1 중 1이 짤려버리면 답이 사라진다.

 

 

스플릿

 

쉽게 말해 빽도의 진화버전이다. 라인을 계속 밀어줌으로 써 "니들 타워 나간다." 라고 경고해준다.

 

Q. 빽도란 다른 점은 뭔데?

 

A. 위에 적어놨다시피 빽도의 진화버전이다. 타워를 밀면 좋지만 한타가 열릴 쯤에 아군에게 합류함으로 써 [미는 라인 한타]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합류하기 좋은 쉔, 기동성이 뛰어난 제드( 스플릿하다가 오는 한 명 1:1로 잘라먹을 수 있기 때문에 위협적인) 나 텔이 많이 사용되는 것이다.

대치가 오래되면 타워는 공짜다. 뒤로 빠지는 적을 3명에서 집가는 한명 한명 짤라먹을 수 있다.

 

 

4 1 운영

 

오브젝트를 깎기 위한 운영이다. 1 3 1 운영이 적 말려죽이기, 한타 위주였다면 4 1 운영은 원하는 오브젝트 싸움에 유리한 고지를 점 할 수 있다.

옵젝 견제와 위협을 동시에 하기 때문이다.

[그 오브젝트와 가장 먼 라인을 쭉 밀고 먹을 준비하자] 가 기본 베이스이지만

바론이나 용이 나갈 위험이 있을 때 4 1 운영을 하는 것이 좋다.

 

Ex) 미드 4 탑 1 - 미드는 쭉쭉 밀어주며 대치/ 탑 빅웨이브 굴리고 바론

Ex) 미드 4 탑 1 - 탑을 민 뒤 미드에 합류. 한타 졌을 시 추가 피해를 최소화 함.

 

4 1 장점 - 오브젝트 관리가 편함. 피해의 최소화. 안정적이고 이상적인 운영법. 손쉽게 가능.

 

4 1 단점 - 1이 짤리면 답x. 4 4 한타가 벌어졌을때 올라가있는 1명이 특출나게 성장력이 좋았다. 하는데 합류하지 못했을 경우 4 4 싸움 질 위험이 크다. 방치된 라인과 동선이 너무 멀기 때문에 1 3 1 / 4 1 을 번갈아서 해야하는 수고로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