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14.3%를 차지하는 우리나라에서 노년층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달라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노부모의 부양 주체, 상속 등에 대한 생각이 변하고 있다. 일단 부모를 누가 모실 것인가부터 달라졌다. 13일 통계청 ‘한국의 사회동향 2018’에 따르면 부모 부양을 가족이 해야 한다는 응답은 26.7%로 10년 전인 2008년(40.7%)에 비해 14%포인트 낮아졌다. 노인 '스스로 해결'하겠다는 답변도 10년 새 11.9%에서 19.4%로 7.5%포인트나 늘었다. 





가족과 더불어 정부·사회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응답이 48.3%로 가장 높았다. 10년 전에 비해 4.7%포인트 높아졌다. 정경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연구위원은 “부모와 자녀가 동거해야 한다는 규범이 약화하면서 공적인 제도의 필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노인 독거 가구는 23.6%로 2008년보다 3.9%포인트 늘어난 반면 자녀 동거 가구는 23.7%로 3.9%포인트 줄었다. 가족과의 '동거'라는 고리가 약해지면서 선호하는 상속 방법도 변했다. 노인의 59.5%가 자녀 균등 배분을 선호했으며 자신(혹은 배우자)을 위해서 사용하겠다는 응답이 17.3%로 10년 전(9.2%)의 약 2배로 증가했다. 자기를 돌보는 자녀 혹은 맏이에게 많이 준다는 전통적인 관념이 희박해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