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1월 19일 태초 패치이후에 무역이 상당부분 바뀐것은 알고 계실겁니다. 패치 후 기존 무역과 바뀐점중에서 중요한 부분은
1) 각대륙에 퍼져있던 교역상이 3개로 줄어들음(원대륙은 1개)
2) 기존에 일반짐, 숙성등으로 진행되던 대륙무역이 교역소에서 생산되는 교역품으로 대체됨.
3) 교역품을 타대륙에 팔면 골드를, 그 타대륙에서 건너온 교역품을 각대륙 안쪽의 흑탄 거래상에 팔면 흑탄을 줌
4) 기존의 시간이 지나면 시세가 회복되던 방법에서 교역소에 판매된 무역품의 재고량에 따라서 시세가 결정됨.
위의 4가지 정도로 압축 할 수가 있습니다.

자 하나하나 따지고 들어가면

 

1) 교역소는 각대륙에 퍼져있던게 대륙마다 3개씩으로 줄어들었습니다.
누이아 대륙 - 솔즈리드 반도, 두 왕관, 십자별 평원
하리하라 대륙 - 동틀녘 반도, 노래의 땅, 이니스테르
원대륙 - 빛나는 해안
이 말은 즉 각대륙곳곳의 금화교역상에 판매하던 기존의 무역방식이 사라지고 동대륙은 3곳의 교역소에 누이아또한 누이아대륙의 3곳의 교역소에 특산품을 팔아야된다는 애기입니다.

 

2) 기존에 일반짐, 숙성등짐으로 가능하던 대륙무역이 교역품으로 대체
자, 대륙무역을 설명하기전에 교역품이란게 무엇인지 설명을 드리면요.

교역품이라는 등짐을 일종의 아이템이라고 보시면 이해하시기 편하실겁니다. 이말은 즉, 특산품은 교역품을 만들기 위한 하위의 재료템이고 교역품은 특산품들을 모아서 만든 일종의 상위템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위의 사진을 보시면 "누이아 일반 교역품"은 초승달지역의 일반특산품 2개 이즈나 왕가지역 특산품 1개 안델프 공화국 지역 특산품 2개 마리아노플 지역 특산품 2개를 모아야지 만들 수 가 있습니다.( 모든 교역소가 위와같은 재료 구성비율은 아닙니다 . 예를 들어보면 a,b,c,d 지역이 있는데 교역소가 a 지역에 있다 그러면 a 지역의 일반특산품은 1개만 필요하고 나머지 지역은 2개가 필요합니다)

자 위의 등짐들이 전부다 있다. (뭐 드래곤볼이기는 한데...참 드래곤볼 좋아해요? 제작자들...퉤엣)
그러면 아래의 사진과같이 교역품의 가격이 적혀있는 곳옆에 주머니모양의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 아래의 스샷은 누이아 대륙에 판매된 하리하란대륙 특산품을 사는 스샷입니다 양해좀부탁드릴게요)


자아~ 이렇게 하리하란 교역품을 사서~ 바다를 건너고~ 적대랑 눈 마주치면 눈내리깔고 지나가시고~ 적대가 손을 들면 하이파이브를 뙇하면서!~
누이아대륙의 솔즈리드 반도, 시차일드 부두, 두왕관에 있는 교역소에 있는 상인들에게 가서~ 교역품 판매처에게 팔면 골드가 지급이 됩니다. 참고) 패치가 되서 기존에 22시간후에 5%의 대금이 붙는것이 8시간후 2%의 대금으로 패치가 되었습니다.

 

(교역품 거래인증서는 생활점수로 살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3) 이거는 간단해요 흔히말하는 돌리고 돌리고? 음...
이거는 사진이 부족해서 그냥 글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패치전에는 일반짐, 상단 비료, 혹은 숙성등짐을 타대륙의 물품교역상에게 판매하면 흑탄이 들어오는 방식이였는데 패치가 되고나서 이 방식이 변화되었습니다 .
어떤식으로 변화가 되었냐 하면은... 위에서 설명드린 교역품(하리하란 교역품)을 누이안 대륙의 교역소에 판매를 하게되면

 

요렇게 누이아 대륙 교역품아래에 하리하란 교역품이 뜹니다. 이 교역품을 다시 구매해서~  누이안 대륙의 흑탄교역상이 있는 그위오니드, 태초의 요람, 지옥 늪지대에 있는 요렇게 생긴

 

흑탄 거래상에게 거래를 해주면~ 교역품은 사라지고 흑탄이 배송이됩니다.( 하리하란 교역품 기준으로 흑탄은 22개예요 이 수치는 지늪 그위 태초의 요람어느곳을 가도 22개입니다.)

 

4) 기존에는 특산품 시세회복이 1시간당 5%정도로 자동회복이 되었으나, 패치후에는 교역소에 팔린 특산품의 "재고량"에 따라 시세가 달라집니다. 그애기는 무엇이냐, 내가 a라는 등짐을 평소에 자주판매하는 패티쉬가 있는 게이라고 칩시다.   그런데! 교역소에 a라는 등짐이 너무많이 팔리고 그 등짐이 교역품으로 안바뀌고 결국에는 재고량이 많이 쌓여있다!?! 이렇게 되면 그 시세는 그등짐을 교역품으로 바꾸지않는이상 영.원.히 회복이 안됩니다 .
결론은 내륙무역 등짐의 시세를 회복하고 싶으면 교역소에 쌓인 등짐들을 이용하여서 더 상위의 등짐인 교역품을 만들어서 타대륙에 판매함으로써 하위재료인 특산품을 소모시켜야 합니다. 그래야만 시세가 회복이 됩니다.
(실험해본결과 특산품을 교역소에 판매할시 4개의 등짐당 1%정도의 시세가 떨어졌습니다, 또한 교역품을 2개정도 만들시 시세가 1퍼정도 회복되었습니다)


 

참고사항)- 교역소 주의는 누이로 취급되니 참고하십시오
-이니-> 솔즈랑, 이니-> 시차, 두왕관은 교역품의 가격이 같습니다 ( 결론은 거리에 따른 판매가격의 증가가 없습니다. 이는 두왕관에서 그위의 흑탄거래상이 22개를 줬고 지늪과 태초의 요람의 흑탄거래상도 22개를 준것으로 보아 교역품을 흑탄으로 바꾸는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것 같습니다.교역소에 따라서는 약간의 시세차이가 있는것으로 보임,)

- 순항선을 이용하면 안전하게 무역이 가능합니다( 가격은 3골정도이고 대기시간이 깁니다.)       

- 원대륙 교역소는 교역품 100개를 납품해야 활성화됩니다.

http://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641&l=12384 << 강유나 님이 올리신 원대륙 교역소 관련된 글입니다.

 - 내륙 교역으로 얻을수 있는 흑탄은 이전과 같이 시간당 5퍼센트의 시세회복이 적용됨

 - 교역소 주위의 평화지대는 누이여신과  다르게 스킬등은 사용할수있음(우편함이나 창고는 꺼내면 사라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