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그라핀입니다.


이번 글은 '군중제어'에 대한 기초정보와 함께

시즌4부터 담금질이 가능한 '행적:군중제어확률'과 '지속시간증가'에 대한 효율에 대해 다뤄보고자 합니다.


보통 게임상 용어로 군중제어는 짧게 Crowed control의약자인 CC 라고 짧게 줄여 부르기 때문에 

이하 CC로 명칭통일 하겠습니다.




군중제어 (CC) 란 무엇인가?
 

본론에 들어가기전에 CC가 무엇인지에 대해 먼저 알아봅시다.


CC는 상태이상의 한 종류로써 상태이상은 크게 디버프, 지속피해, CC로 나뉩니다.


1. 디버프는 강령의 가시박힌 철관이나, 원소의 감전사 패시브 등 적에게 발동시키면 각종 악영향을 주는 효과
2.
지속피해는 출혈, 연소, 중독과 같이 적에게 일정시간주기적인 피해를 주는 것이 특징

3. CC는 적의 행동에만 제약을 주는 효과


따라서 CC에는 적에게 데미지를 준다거나, 적의 공격력 또는 생명력을 약화한다거나 하는 기능은 없지만

디아블로에는 CC걸린대상에게 각종 부가효과를 주는 기술연계가 존재하기때문에 중요한 상태이상 중 하나입니다.

 

CC기절,멍해짐,빙결,이동불가와 같은 하드CC오한,감속과 같은 소프트CC로 나뉩니다.

각 종류별 CC는 효과가 유사하다고 해서 같은 취급을 받지 않고독립적인 취급을 합니다.

기절이 걸려 몬스터가 안움직인다고해서 이동불가효과 취급을 같이 받는것이아니라
기절 취급만 받습니다.

 

정예몬스터를 대상으로

하드CC에걸려있는 총 누적시간이 5가 되기 바로직전에 '저지불가' 상태가 되고

몬스터가 '저지불가' 상태일 때는 CC에 면역이 됩니다. (소프트CC 20초 후 저지불가. 모더짚님 정보도움 감사용~)



예시)

CC 2초를 걸고 끝난후, 즉시또는 약간의 텀이후 3초를 걸어도 CC가 끝날 때쯤 저지불가가뜸.

CC 2초를 걸고 끝난후, 약간의텀 이후 2초를 걸면 CC가 끝나도 저지불가가 안뜸

CC 3초와 3초를 동시에걸어도 저지불가가 안뜸

저지불가는 7초가량 유지된 후 풀리고, 이후 다시 CC를 걸수 있습니다.

 


우두머리 몬스터는 정예몬스터와 다르게, CC에 완전 면역입니다.

★우두머리는 '저지불가' 판정을 받지 않습니다 (착취자위상 적용x)


보스에게 CC를 사용하게되면

CC근원종류”, "지속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비틀거림 수치'가 표시되면서 

보스 체력바 밑에비틀거림 게이지가 차는데

비틀거림 게이지가 꽉 차면 약 7초간비틀거림(그로기) 상태가 됩니다.




그로기 상태는 모든종류의 CC가 걸린것으로 취급됩니다.


한번 그로기가 걸리고 나면, 이 후 그로기가 반복될때마다 수치가 20%씩감소합니다.


이해를 돕기위한 예를들어,

첫 그로기 게이지를 꽉 채우는데 100의 수치가 필요하다면,

두번째 그로기에 필요한 수치는 125, 세번째는 167, 네번째부터 그이후 쭉 1000의 수치가 필요합니다.

다르게 표현해 같은 전투방식으로 첫번째 그로기 거는데 10초가걸렸다면,
두번째 그로기 거는속도는 12.5, 세번쨰는 16.7, 네번째부터 100초가걸립니다.




보스전 그로기를 위한 CC 담금질 실험 및 결과

1. 그로기 실험할때 고려해야 할 점

훈련장 허수아비 상대로 그로기 실험을 해보실 때 뜨는 '그로기 수치'는 

대부분 실제 게이지 차는 크기와 동일한 비율을 표기해주지만 100% 신뢰할 순 없습니다.

몇몇 CC근원은 비틀거림 수치가 실제 게이지 차는 크기와는 다르게 제대로 표기되지 않습니다.




보시는것처럼 지속시간3초인 무한의복 기절의 그로기수치는 3.83으로 뜨지만,

실제 차오르는 게이지량은 지속시간3초인 서릿발 빙결의 22.95수치보다 더 큽니다.





이처럼 무한의복 기절과 같이 일부 CC는 실제 그로기 수치와표기수치가 다른 것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그로기 수치'를 온전히 믿는 것 보다, 실제 차오르는 게이지길이를 측정해보는 것이
다소 오차가 존재하더라도 실수가 없고 결과활용에 적합한 실험방법
입니다.

 





2. 행적 CC 담금질 효율 비교 실험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

그로기 수치를 참고하여 그로기 게이지를 실측해서 CC 담금질을 비교분석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행적:군중제어 담금질로 얻는 CC기들만 해당됩니다.

    CC의 종류가 같아도 근원이 스킬이나 위상이라면 그로기수치가 다를 수 있습니다.

 


※ 실험 과정은 첨부영상 참고바랍니다




12강은 했으나 행적CC옵션에 명품화돌파를 안한 아이템을 기준으로 

 CC의 확률과 그로기 수치그리고 실측한 게이지 길이를 표에 정리하였습니다.



실제 측정한 그로기 게이지 길이를 분석해봤을때,

게이지 길이를 이미지로 분석하는데 발생할수있는 오차를 감안하면

그로기 수치와 거의 동일한 배수로 작동함을 알수있습니다.

 

그로기 수치가 제일 낮은 감속을 1이라고 기준잡고 비교해보면,

이동불가와 멍해짐은 감속보다 3배 높고,기절과 빙결은 감속보다 4.5배 높습니다.

 

각 담금질 CC들의 발동확률까지 고려하여 그로기 효율 (그로기수치 x 그로기확률)을정리/비교해보면,

기절 = 빙결 > 이동불가 > 멍해짐 > 감속 순서로 그로기효율이 좋습니다.


 

참고로,

나락던전 고단 기록갱신을 목표로하고 충격타 위상을 사용하시는 분은 맵핑속도 향상 측면에서
보스 그로기가 좀 느리더라도 멍해짐 담금질도 고려해볼만 합니다.

타직업도 도적 부캐릭으로 멍해짐 제조법획득후 담금질하여 활용 가능한 것을

실험으로 확인하였습니다.

다만 멍해짐이 뜰 확률은 1/3이기 때문에 담금질초기화회수가여유롭지않다면 비추천드립니다.

 

 

3. CC 지속시간 증가 담금질은 '보스전'에 도움이 되는가?


다음은 CC 지속시간 실험 결과 입니다.



보시는것처럼 CC 지속시간이 증가된만큼 그로기 수치도 늘어납니다.

CC근원종류에 따라 지속시간증가%만큼 그대로 늘어나는것도 있고,

무한의복 기절처럼 뭔가 삐꾸같이 동작하는것도 있긴 하지만, 

어쨋든 지속시간%수치에 가깝게 늘어나므로 보스전 그로기에 도움이 됩니다. 


<지속시간 80%증가 옵션 사용 전후 게이지 크기 비교>

무한의복 기절 = 그로기 게이지 약 1.68배 증가

서릿발 빙결 = 그로기 게이지 약 1.8배 증가

 




'행적CC담금질'로 발동하는 CC도 지속시간 증가%만큼 거의 그대로 증가합니다.



 

지속시간 담금질 선택시 주의하실 점,

지속시간증가 담금질은 CC종류에따라 12강화 기준 그로기 수치를 대략 30%정도 증가시켜주지만

이득을 보시려면 본인 빌드의 CC기 구성과 발동조건을 잘 이해하고사용해야 합니다.

확정 CC 또는 확률이 매우높은 CC기의 사용빈도가 매우 높은 빌드는

지속시간 담금질이 보스 그로기에 이득일 수 있지만,

사용빈도가 적은 CC나 담금질 행적CC에 의존하는 빌드라면,

지속시간증가 담금질보다 행적CC확률 담금질이 보스 그로기용으로더 이득입니다.


대부분의 빌드는 지속시간증가 보다 행적CC확률 담금질이 더 큰 이득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참고로 얼음보주나 눈보라와 같이 오한을 누적시켜 빙결을 거는 메커니즘의 빌드들에게

보스 그로기용으로 빙결 지속시간증가 담금질은 효율적이지 못합니다.
오한을 누적시켜 빙결이 되는것과 빙결을 바로 거는 행위는 구분되기 때문입니다.

 



요약

1. 행적CC담금질 중빙결=기절>이동불가>멍해짐>감속 순으로 보스 그로기효율이 높다.

2. 모든직업이 도적 부캐로 멍해짐 담금질 활용 가능 (맵핑에서 충격타위상 뽕뽑기)
3.
지속시간 증가 담금질은 웬만한 빌드에서 행적CC담금질보다 효율이 좋지 않다
.

 






마치며

시즌 초반에 스펙업 하고싶은 마음이 굴뚝같은데 갑자기 군중제어에 대해 다루고싶어
이것저것 살을 붙여 준비하려다보니 내용이 너무 길어질거같고.. 
준비하면서도 시즌초반인데 빌드세팅보다 이걸 주제로 먼저 다루는게 맞나싶어
빨리 마무려하다보니 두서없고 정돈안된 글인거 같습니다..

모쪼록 어느 한부분이라도 도움이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첨부영상은 본문 글과 내용이 거의 같지만, 
글로는 설명드리기 어려운 내용이 영상에 설명되어있어 
시간이되신다면 영상에서 설명하는 내용도 들어보시면 도움되실것같습니다.



여러분들의 성공적인 담금질을 기원합니다.

 

그라핀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