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에 문양 53에 24단을 끝으로 조용히 시즌을 마무리한 상태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문양 50을 목표로 도살장을 등반하는 분들이 많고 많은 분들이 24단을 클리어 하고계시고
문양 50을 목표한김에 24단을 노리고 계신 유저분들을 위해 충분히 가능하다고 시즌 마지막 공략을 남깁니다.
사실 이미 나올만한 정보는 다 나온 상태라 참고 형식으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 외에도 25단을 위해 문양 100을 넘기기 위해 도살장과 사투를 벌이고계신 유저분들도 계신것 같습니다.
시즌2가 끝나기 전에 국내 25단 클리어도 꼭 보고싶긴 하네요.
열렬히 응원하겠습니다.

세부 아이템, 위상등을 확인하고싶으시면 지난 글들을 참고해주세요.

정복자 보드
잔여 8p 유동
딜 보강 - > 최대분노, 광폭화 관련 (고단에서 딜을 보강 할 때 적절)
유지력 보강 - > 최대체력, 출혈 피해감소 (저단에서 안정성이 중요할 때 적절)
밸런스 - > 반반



추방목 유지력 메커니즘 첫 번째

일단 24단에서는 싫든 좋든 추방목이 필요하기 때문에 추방목 베이스로 안내드리겠습니다.
맵핑 과정에서 추방목 + 티볼트 조합으로 빠르게 게이지를 채울수 있습니다.
추방목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시는게 몸빵인데, 샤코 + 궤멸자 + 한아비 조합에
방어구에서 피해감소를 잘 챙겼다면, 신발 부상피감 + 흡혈귀 탄력 + 흡혈귀 불멸 시너지로
이게 되나 싶을 정도로 24단에서도 충분히 버텨집니다.
25단에서도 동일합니다.

오히려 소심하게 플레이하면 사망 확률이 높아집니다. 절대 쫄지 마세요.
또 맵핑 과정에서는 물약이 잘 나오기 때문에 물약도 아끼지 말고 플레이 하시면 더 수월합니다.

추방목 유지력 메커니즘 두 번째

야만용사는 정복자에서 취약한 적에게 받는 피해감소, 출혈 적에게 받는 피해감소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해당 보드에 힘 문양 용시 마법노드 보너스 125%로 인해 2% 피해감소 노드가 4.5%로 증폭되어
정복자만으로 스탯창에서 최대 19.9%라는 높은 피해감소 수치를 얻을 수 있습니다.
최소경로만 챙겨도 각각 10%가량의 피해감소를 얻습니다.

그리고 철갑못까지 필수적으로 찍어주는게 좋습니다.
피 추적자의 경우 모이지 않고 멀리서 공격만 하는 경우도 자주 있기 때문에 소용돌이만으론 상시 출혈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철갑못을 활용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피 추적자 전투가 시작되면 가장 먼저 해야 하는것은,
첫 함성 사이클에 버티면서 상시 출혈, 취약 상태로 만들어 피해감소를 얻는것입니다.
그 이후엔 유지력만으로 티볼트+추방 조합으로도 충분히 버텨집니다.

이를 위해서 도전의 외침이나 전장의 함성이 준비되어 있는게 좋습니다.
스킬에 광폭화시 피해감소 12%, 울화 문양에 광폭화시 정예에게 받는 피해 감소 10%가 있기 때문에
최소한 두 함성중 하나는 사용이 가능한 상태여야 피 추적자가 소환 된 직후 폭사 확률이 줄어듭니다.
또 함성 사용시 몹이 살짝 놀라면서 공격모션이 취소되기 때문에 함성을 한 번에 사용하는것보단 나눠서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또 셀리그가 없어서 피 추적자에서 불안한 분들도 계실텐데,
유난히 강한 피 추적자 조합이 불안하다면 추방목 고정에 착취자 상의 + 불복 하의로 스왑하시면 변수 없이 버틸 수 있습니다.
전설바지+전설 상의 조합이면 추방목을 껴도 물약이 여유롭게 남습니다.
몸빵도 강해지고 착취자 위상이 티볼트가 빠진 데미지를 어느정도 보완해줘 밸런스가 좋은 조합입니다.


방어구 조합 

이전에 고단에서 효율적인 세 가지 방어구 조합에 대해 올렸었는데,
불복 상의 + 무쇠피 하의는 오버탱이라 효율이 적어 두 가지만 아셔도 괜찮습니다.

1. 추방 + 티볼트 + 불복상의 
맵핑 특화 극딜, 자신 있다면 피 추적자까지 그대로 사용 가능

2. 추방 + 불복하의 + 착취자 상의
안정감 up + 티볼트로 빠진 데미지도 조금은 보완 가능, 피 추적자에서 조합시 안정적

3. 추방 + 불복하의 + 착취자 상의 + 티볼트 스왑 버그 활용
착취자 상의까지 챙기고 티볼트 뎀증까지 유지하기 때문에 이론상 가장 강하면서 안정적이기까지 합니다.
피 추적자 소환 전에 집결의함성(저지불가) -> 착취자 상의+불복 하의로 스왑 후
피하기 사용으로 저지불가 유지 -> 피 추적자 소환 후 공격으로 쿨감신 활용해서 저지불가 유지하면서 싸우면 됩니다.
어차피 탈태 3렙이면 탈태로 한 번에 휠선망 5번은 여유롭게 쓰면서 저지불가 유지됩니다.
24단까지 굳이 필요는 없는데 25단에선 효율이 나올겁니다.

스킬 포인트 활용

딜이 부족한 상황이고 변수를 줄이고 싶다면 공격력을 1%라도 챙겨야합니다.
3함성중 집결의 함성, 도전의 외침은 포인트를 투자하지 않고 샤코로 얻은 깡통스킬로 사용해도 효율이 아주 좋습니다.
남은 4p를 데미지 증가 관련 패시브에 투자해도 좋습니다.
전장의 함성도 광폭화 기제로 2p만 투자해도 충분합니다.

또 원소위상 물리데미지 증가 타이밍에 맞춰 전장의함성, 광전사의 진노를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그래도 너무 아끼면 똥 되니까 적당히 맞출수 있는 타이밍에 바로바로 사용해주시면 딜 효율이 좋습니다.

흡혈귀

탈태 - 탄력 - 걸신 - 약육강식 - 불멸

탈태 - 탄력 - 걸신 - 약육강식 - 지배

지배가 치명적인 버그가 있지만 이제 죽는 이유는 알기때문에
쿨감신을 사용한다면 상시 저지불가가 가능해서 여전히 쓸만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24단에서 피해저항 오라를 가진 몹이 덜 나오는게 가장 좋겠지만,
자주 나오는 경우 지배의 처형 효과가 상당히 좋기 때문에 기절 뎀증과 더불어 맵핑에 상당히 도움이 되는 흡혈귀 문양입니다.

극확 옵션 논쟁

분노 소모감소를 챙기지 않으면 휠 선망 반복시 분노소모가 100을 초과하여서 상시 극대화가 적용되어야 합니다.
근데 실상은 휠 선망을 빠르게 반복하다보면 어찌된 연유인지 100초과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솟격 기준 휠은 원래 초당 분노 50소모인데 휠을 캐스팅 하자마자 버튼을 떼면 18? 36? 정도의 분노가 소모됩니다.
36 판정이 많은 편이긴 하지만 18소모가 한 번 걸리면 선망이 확정 극대화 효과를 받지 못합니다.

그래서 실제로 플레이를 해보면 제압이 그냥 파랑딜로 날아가버리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그 딜로스가 정말 어마어마 합니다.

셀리그는 피격시 분노소모효과를 받기에 괜찮지만
어차피 추방목을 사용해야한다면 때문에 여전히 극확을 챙기는걸 추천드립니다.

스냅샷 버그 모음 

1. 원소의 위상

2. 가속하는 위상

3. 티볼트
- 티볼트 착용상태로 저지불가 진입 -> 전설바지 착용 -> 저지불가가 꺼지기 전에 계속 저지불가 유지

현재 활용 가능한 스냅샷 버그들입니다.
결론적으로 원소의 위상스왑만 사용해도 24단까지 충분합니다.
뭐 아무것도 안써도 되긴 합니다.

티볼트 스왑버그는 발견하고도 사실 귀찮아서 쓰진 않았는데,
참고로 탈태가 3이면 상시 저지불가 유지 자체가 어렵지는 않습니다.
25단 중국인 클리어 당시 티볼트 스왑버그를 활용했다는 카더라를 듣긴 했습니다.
이 버그를 활용해서 착취자 상의에 불복 하의를 조합하면 안정감에 더해서 딜뻥 효율도 어마어마하긴 할겁니다.

가속하는 위상 스냅샷 버그 활용시 걸신을 빼버려서 걸신 버그를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근데 굳이 검달이나 무분을 빼고 가속위상이 자리를 차지하는게 크게 효과적인가 싶긴 합니다.

원소 위상 스냅샷 
1. 지르 입장 전 원소위상 양손철퇴 착용 + 한손 철퇴등 잔여 부위에 원소위상 착용(힘의 전서도 무관)
2. 입장후 원래 사용하던 양손철퇴로 스왑

가속, 원소 스냅샷 같이 사용하기 
1. 지르 입장 전 가속위상 부위 (반지등) 해제상태로, 원소위상 양손철퇴 착용
2. 입장후 가속위상 양손철퇴로 스왑 -> 가속위상 반지 착용 -> 원래 사용하던 양손철퇴로 스왑

저단 파밍

저단 파밍은 정복자에서 체력관련, 피해감소 관련 노드 투자해주시고 구하기 쉬운 길리언 비약 먹고 도시면 수월합니다.
정말 무지성으로 돌고 싶으시면 착취자 상의 + 불복 하의 조합하시면 됩니다.
문양 50이후로 14단 정도면 몹이 저지불가 되기전에 죽어서 착취자 대신 휘감는 소용돌이 상의에 유령방랑자 신발 조합도 스피드 파밍에 괜찮습니다.

고단 뚫기

아무래도 탱보다 딜이 모자란 경우가 많이 생기기 때문에
그래서 죽을 확률이 높아져도 방어기제를 좀 줄이고 정복자와 스킬에서 딜 관련 패시브를 찍어주시고,
이 체감이 상당히 큰데 풍부한 자원의 비약 + 전쟁의 합창 + 방어도 올려주는 향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무한한 분노, 검의 달인

무한한 분노를 상시로 얻기 어려운 상황이 많다고 생각하시면 양손에 대지격퇴자를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저는 진노 대신 세력권을 사용하고 몹팩 주변에서 돌려깎는 방식으로 플레이 해서 무분의 효율이 떨어져
양손 대지 격퇴자에 아예 무분을 빼고 검의달인을 사용했습니다.
저단에선 반지에 담대를 사용해도 효율이 좋습니다.

운 - 맵, 몹, 정예 속성, 피해저항 오라

입구 바로 근처에 정예팩이 나오면 좋습니다.

사막 동굴 얼음동굴 맵 - 무난하고 좋은 맵이라고 생각합니다.
통로의 넓이도 적당해서 몹몰이도 잘 되고 좋습니다.
보스전에서 무난하게 모입니다.

넓은 맵 - 몹몰이에 좋긴 한데 몹빨도 같이 받아야합니다.
회피형 정예가 많이 나오면 몹이 너무 퍼질수도 있습니다.
보스전에서도 조금 복불복입니다.

사각형 맵 - 각형 방과 통로가 이어지는 맵인데 입구가 좁아서 몹몰이가 잘 안됩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별로라고 생각하는 맵입니다.
물론 다른 요소에서 운이 좋으면 다 커버됩니다.

피의 결속 면역몹 - 그냥 초기화 하세요.

정예 - 흡혈몹은 안나오는게 가장 좋습니다.
나오면 막타 칠때까지 패지 마시고 다음 정예팩까지 데리고 다녀서 죽으면 좋고 아니면 말고 마인드로 다니시면 좋습니다.

피해저항 오라 - 최대한 정예팩과 안겹치길 기도합니다.
시야 안에는 있는데 피해저항 오라까지는 미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그로 끌지 않게 조심하면서 정예팩에 딜 넣으면 좋습니다.

마무리

남은 시즌과 2023년 잘 마무리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