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실험은, 히드라 연소딜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 입니다
히드라 연소 데미지를 높이는 방법에 대한 실험이 아닙니다

"히드라 연소 데미지 증가 방법"을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 링크(연소술사님 글)를 참고해주세요.
----------------------------------------------------------------------------------------------------------------------------------

이 글을 보시고 난 후, 두번째 글도 함께 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래 링크)
이 글의 내용과 연결되는 내용입니다.

---------------------------------------------------------------------------------------------------------------------------------


안녕하세요.

히드라 연소딜 관련하여 현재까지의 정보와 제가 추가실험을 통해 습득한 정보를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히드라 실험해주신 leeech님, 또앙이님, 연소술사님 실험결과도 참고하였고 (실험감사드립니다),
제가 직접 보충실험한 결과와 취합하여 개략적인 결론과 앞으로 실험방향성을 제시해 보려고 합니다.
(실험할수록 패치될거같은 느낌이긴함 ;;;)

우선 히드라 연소데미지에 대해 알려진 정보 및
실험들을 통해 검증된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히드라 연소데미지는 캐릭터 "무기공격력" 과는 전혀 무관하다.
->실험결과 무기공격력 15와 무기공격력 2000의 히드라 연소데미지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2. 히드라 연소데미지는 대상 레벨이 높아질수록 큰폭으로 증가한다

3. 따라서 위 1번과 2번항목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눈보라의 얼음가시와 마찬가지로 내케릭터 무기데미지와 무관한 "독립데미지" 를 가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특이하게도 그 "독립데미지"는 얼음가시처럼 고정된 값이 아니라 적 레벨에 따라 달라진다.

->원문툴팁에 따르면 Hydra* also burns enemies* for an additional 12% of its** Base damage dealt over 6 seconds
여기서 its**가 가리키는건, 내케릭터 무기공격력 기반인 Hydra*가 아닌
내케릭터 무기공격력과 무관한 enemies* 를 지칭하는것으로 해석해야
(적 레벨 상승 = 적 공격력 상승) 을 만족하므로, 툴팁과 실험결과가 어느정도 아다리가 맞아진다.

Base damage는 한국어로 "기본공격력"으로 번역이 되어있지만,
누구의 "기본공격력"인지 아직 불분명하므로 본문에선 "독립데미지" 로 표현하였습니다.


그럼 실험한 결과들을 살펴봅시다.

실험 케릭터 스펙 

A. 데미지계산식을 역산하기 쉽게 하기위하여 합연산그룹을 0%로 세팅하였습니다.
히드라연소딜에 영향을 줄수있는 위상이나 문양, 스킬 등은 당연히 모두 제거하였습니다.
100단에서 실험을위해 100단몹을 밀어야되기때문에 냉피약간과 오한딜만 챙겨놨습니다.(눈보라로 어거지로 밈)

B. 무기는 평균데미지 15짜리 무기를 꼈습니다.

이렇게 세팅하고 히드라로 실험하게되면, 캐릭터 스펙에서 데미지계산식에 영향을 주는 곱연산그룹은
오직 "지능"에 의한 주스텟계수 하나뿐입니다.
(164.5%)




"독립데미지" 도출 방식 

글작성 편의를 위해 "독립데미지"를 이하 "UKN (unknown damage) 데미지"로 명명하겠습니다.

툴팁의 설명과 매칭시키면, 히드라(한마리)는 UKN 데미지의 12% 6초에 걸쳐 연소시킨다.
연소 6초는 12틱이므로,
UKN 데미지의 12% = 히드라(한마리)의 12틱데미지
UKN 데미지의 1% = 히드라(한마리)의 1틱데미지
위 공식이 성립합니다.

실험을 통해 히드라(한마리)의 1틱데미지를 도출하게된다면,
UKN 값을 알 수 있습니다.


몬스터 종류에 따라 연소데미지가 달라질까? 

95레벨의 같은던전을, 일반으로 돌고 악몽(41단)으로 돌면서 데미지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보았다.
(악몽던전만 히드라연소딜이 변한다고 알고있는분들도 있는것같아서)

위 그림과같이 일반던전과 악몽던전의 차이는 없다. (필드도 마찬가지)
또한 일반몹, 정예몹, 보스몹 모두 비슷한 틱데미지를 볼 수 있다. (스샷에는없지만 구조물도 마찬가지)


같은세팅 같은방법으로 152레벨(98단)에서 실험해보았다.

위 그림과같이 152단에서도 몬스터의 종류와 상관없이 비슷한 틱데미지를 볼 수 있다.


이 결과를 통해 추측할 수 있는 정보는 다음과 같다.
- UKN몬스터 체력에 의존하는것은 아님
- UKN몬스터 최종데미지에 의존하는것은 아님 (몬스터 "기본공격력" 과는 다른의미)
- UKN몬스터 레벨에 의존하는것으로 보임


실험을 통해 얻은 1틱데미지를 이용하여 UKN 값 도출 

실험에서 얻은 1틱데미지는 히드라(한마리)의 1틱데미지 가 아니다.
히드라 4마리가 6초동안 타격하여 "누적"된 1틱데미지 이다.
따라서 실험 결과값을 히드라(한마리)의 1틱데미지로 바꾸어 주어야한다.

실험에 사용된 히드라는,  6초동안 히드라 한묶음(4마리)이 약 5회 타격한다.
따라서 실험에서 얻은 1틱데미지는, 6초동안 총 20회 타격이 누적된 1틱데미지 이므로
히드라(한마리)의 1틱데미지 
"실험에서 얻은 1틱데미지 ÷ 20회 타격" 로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95레벨 몬스터 대상 실험으로 얻은 1틱데미지는 대략 900이며
히드라(한마리)의 1틱데미지로 환산하면, 900 ÷ 20 = 45

여기서 히드라(한마리) 1틱데미지45는 실험케릭터의 지능계수가 연산된 값이므로,
지능계수를 제거해주면, 
45 ÷ 164.5% = 약 27.36
(만약 실험케릭터스펙에 합연산그룹 이나 곱연산위상에 의한 히드라 증뎀이 존재한다면 여기서 제거해주어야한다)

서론의 UKN 공식에 대입하면,
UKN(95레벨) 1% = 27.36
UKN(95레벨) 100% = 2736
95레벨 적을 상대로 할때 UKN 값은 2736이다.

152레벨 상대로 같은방법으로 계산해보면,
15300 ÷ 20 = 765
765 ÷ 164.5% = 약 465
UKN(152레벨) 1% = 465
UKN(152레벨) 100% = 46500
152레벨 적을 상대로 할때 UKN  46500이다.


실험을 통해 얻은 결론 

95레벨(악던 41단) 몬스터 대상으로,   UKN 값은 2736이다.
152레벨(악던 98단) 몬스터 대상으로,  UKN 값은 46500이다. (95레벨 대비 17배 증가)

이 실험을 통해 위와같이 특정 몬스터 레벨의 UKN 값은 알 수 있으나,
UKN정확한 성분은 알 수가 없다.

-------------------------------------------------------------------------------------------------------------------------
"UKN 성분"에 대한 가설을 세워보았다. (수치는 실험결과값을 그대로 인용)

가설 <1>. UKN 은 몬스터의 "기본공격력" 이다.
152레벨 몬스터의 "기본공격력"(UKN)은 46500. 
몬스터 종류별로 고유 스킬계수(%)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할때,
- 약한몹의 스킬계수는 10% = 몬스터 최종데미지 4650 = 유저 최종피감이 90%일때, 유저 체감 데미지 465
- 강한몹의 스킬계수는 60% = 몬스터 최종데미지 27900 = 유저 최종피감이 90%일때, 유저 체감 데미지 2790
이런식으로 유저가 체감하기에 몬스터종류에 따라 데미지가 다르지만,
몬스터레벨에 따라 고정된 "기본공격력"을 가진다는 가설이다.

가설 <2>. UKN"몬스터레벨"에 의존한 함수이다.
이 가설은 툴팁설명과 완전 다른 해석이지만, 블리자드라면 가능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몬스터를 대상으로 한 가설 <1>의 검증은 매우 어렵기때문에
(몬스터종류별 스킬계수를 도출하기 매우 어려움, 노가다실험 필요)
사실상 가설 <2>가 정론이 될 경우가 유저입장에서 오히려 속편하다.
다양한 몬스터레벨별 실험데이터의 기울기만 계산하면 되기때문.

엄밀히 따지면 몬스터의"기본공격력"도, "몬스터레벨"에 의존한 함수 이므로, 
가설 <1>가설 <2>에 포함되는 개념이긴 하다. ( 가설 <2> 가설<1>
----------------------------------------------------------------------------------------------------------------------------

실험을 통해 도출된 UKN값에서 예측 할 수 있다싶이, 
똑같은 스펙의 캐릭터로 악던 1단 ~ 100단 구간에서 1틱 데미지 데이터를 수집한다면,
UKN의 정확한 성분을 도출 해 낼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개인적인 추측으로, 아마 방어도(x)↔피해감소율(y) 그래프와 비슷하게
몬스터레벨(x)UKN(y) 그래프가 나올것으로 추측된다.



추가의견이나 잘못된부분 지적 감사히 받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