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게시글은 pc환경에 최적화되있으며

사용되는 이미지의 수와 크기들이 상당해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태클,지적 모두 환영합니다


(노래들으세염!)


글이 상당히 깁니다

글읽는분들이 지루하실거같아서 이미지도 많이 넣어봤습니다


서론

항상 찍은 이미지와 함께 게시글을 올리면 이미지 퀄리티에 질문이 많아

평소에도 이런글을 한번 써볼까 하는 생각이있었는데

한번 마음잡고 얕은지식으로 가이드를 써보게되었습니다


게시글은 두개로 나뉘어있으며  이글에선 기초적인 방법과 설명등을 담고있으며

 다음게시글에서는 이 방법을 심화한 방법들로 다루었습니다.


-목차-


서론

____

  1. 어떻게 하면 사양이 낮아도 스샷을 잘 찍을 수있는걸까?
  2. 이미지 확장자에 대한 품질변화
  3. 그래픽카드마다 품질 차이가 틀리다? 모니터 크기 차이?
  4. 퀄리티 상승을 위한 강제옵션? 인게임옵션조절?
  5. 찍어보자!

___심화___ (다음게시글로 이어집니다)

6.강제 안티얼라이싱이 이미지 퀄리티 상승에 도움이될까?

7.강제 안티얼라이싱 종류? csaa? fxaa? 도데체 뭐지? 그래픽카드 강제옵션?

8.빛 번짐 효과? hdr?

9.스크린샷 명소?명당?

10.포토샵보정 효과를 써야되는건가?

11.이미지 스케일링? 리사이징?

__

정리



1. 어떻게 하면 사양이 낮아도 스샷을 잘 찍을 수있는걸까?                                                   

첫 번째 이미지는 필자가 사용하는 사양과 두 번째 세 번째 이미지는 나온 결과물 중 하나입니다.

사양 부담 때분에 옵션을 극한으로 끌어올린 게 아니라 곳곳에 계단현상이 보이긴 하지만 전반적인 좋은 퀄리티를 보여줍니다.


마영전 사양만 봐도 그렇게 높은 사양을 요구하지도 않고 제가 알고있는 지식이맞다면

dx9~10까지만 지원하는 그래픽카드더라도 훌륭한 품질을 뽑아낼 수 있습니다.

물론 이미지퀄리티를 상승하기위해 vga자원은 최대한 사용하기 때문에 

자신의 사양이 낮다면 프레임은 포기하는게 좋습니다


과연 어떻게 하면 저런 그래픽이 나오지 하는 의문의 드시는 분들은 이 게시글을 정독해주시면 됩니다!


이제 자세한 가이드는 밑부터 go go!



2.이미지 확장자에 대한 품질변화
원본 크기로 보시려면 그림을 클릭하세요.

*프랩스에 내장된 캡처 기능을 사용했습니다

(600배율로 확대한 뒤 비교가 쉽게 격자 기능을 이용했습니다 포토샵600배줌한건비밀이렇게말하면멋있잖아요)

우리가 흔히 자주 인터넷에서 사용하게 되는 jpeg와 png 이미지의 퀄리티 비교입니다


jpeg확장자는 이미지를 열화 시키며 최대한 압축시키며 저장시키는 방식이라

퀄리티는 조금 아쉽긴 하지만 용량이 대폭으로 줄어드게 되는 방식이라

여러 웹사이트 에서 부담을 덜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방식중 하나죠

무손실 jpeg 방식도 있긴 하지만 많이 쓰이진 않습니다.


그에 반해 png는 무손실 압축방식을 채택하는 방식이라 끝내주는 퀄리티를 자랑합니다

심지어 투명층까지 표현이 가능해서 여러모로 많이 쓰이는 확장자입니다

jpg가 그냥커피면 png는..

원본 크기로 보시려면 그림을 클릭하세요.(오른쪽 이미지에 회색이 보이는건 천이 펄럭여서 그런거에요! 이미지 확장자에 문제가있는게아니라)


또 다른 이미지 확장자인 bmp,tga

두 확장자 모두 무손실 압축방식을 채택하여 좋은 퀄리티를 자랑합니다.

bmp는 이미지에 비해 용량은 상당히 높은편이지만 무손실 데이터 압축알고리즘덕에 zip같은 압축파일로 압축하면

상당한 효과를 볼수있다는 장점등이 있습니다.

근데 요즘은 대새가 png,jpeg라서 웹등에서는 많이 찾아보긴 힘들어요

tga는 거의 원본과 같은 무손실 압축방식이라 전문적인(ex.포토샵)작업등에 많이 쓰이는 포멧방식 중 하나입니다



______

마영전 인게임 프린트스크린으로 눌러서 사용하는 캡처방식은 jpeg방식을 채택했기 때문에

확대하거나 편집할때 약간 아쉬운점이 많아서

저는 왠만하면 대부분 png파일로 캡쳐를 하는편입니다.



그래서 다른확장자로 어떻게 캡처를 하냐구요?

다른 프로그램의 힘을 빌려야됩니다.


흔히 자주쓰이는 칼무리

(http://kalmuri.kilho.net/)

프랩스,반디캠,msi에프터버너 등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언급된 프로그램들은 웹서핑 하시다보면 쉽게 구할수있구요

프랩스,반디캠은 무료버전과 유료버전이 나뉘어있습니다.




3.그래픽카드마다 품질차이가 틀리다?


게임좀했다하시는 분들은 한번쯤은 드는 의문일겁니다.

그래픽카드 회사 계열마다 차이가 있는건 사실이지만

우리가 보는 품질차이는 거의없다고해야 무방합니다만은!!


마영전은 소스엔진기반이라

엔비디아와 경쟁사인 amd는 서로 아키텍쳐도 틀리고 하다보니

우리가 보는 몇몇 연산처리에선 아쉬운표현이 몇몇 있긴합니다.


(출처: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28&l=27345)

제가 예전에 쓰던 9800gt가 맛이가서 어쩔수없이 다른분의 이미지를 사용했습니다

위가 라데온 아래가 엔비디아입니다

스타킹과 타이즈


라데온 같은경우는 색감처리기능과 색조채도가 좀더 풍부한느낌이 많이 강하고

보다시피 투명한 재질표현에서 우위를 보입니다.

엔비디아 같은 경우는 자체적으로 밝은느낌이 들고 파티클 표현에서 

(마영전에서)좀더 진한 표현으로 처리를 해줍니다.

엔비디아나 라데온 그래픽카드라도 꼭 이런건 아니구요 제품별로 차이가 있을수있습니다


이렇게보면 라데온이 더 괜찮아 보이지만 라데온의 최대단점이..

몇몇 장판과 특수패턴에서 파티클 이펙트가 잘안보이는 단점이있습니다..

심지어 깊얼계들어가면 눈동자에 표현된 투명셰이더가 제대로 처리가안되서 하얗게떠서 초싸이언이됩니다

(!!)


그래도 이런 차이점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게임화면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런데도 똑같은 vga거나 심지어 더안좋은 vga사용자가 더 좋아보이는경우도 있을겁니다.

위에 서술한 이미지확장자와 해상도크기가 관건인데

해상도크기에 따라 이미지품질,즉 그래픽 품질(화소)이 월등하게 상승하게 됩니다.


간단히말해 모니터크기가 킹왕짱크면 되는겁니다


원본 크기로 보시려면 그림을 클릭하세요.


시중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해상도 품질 비교


*위키피디아 자료를 인용했습니다원본 크기로 보시려면 그림을 클릭하세요.

그나마 잘알려진 4k해상도의 크기


*위키피디아 자료를 인용했습니다

원본 크기로 보시려면 그림을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로 보시려면 그림을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로 보시려면 그림을 클릭하세요.

*위 사진만 엔비디아 시연 게시물에서 가져왔습니다

(4k를 지원하는 화질모니터는 상당히 고가의 물품이라 제가 사기엔 무리가 있더라구요 T^T)


각 해상도 이미지 퀄리티 비교입니다


해상도별 화소차이



보다시피 해상도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그래픽 품질은 확실히 늘어나는걸 보실수있습니다.


다만 해상도크기가 늘어나는 만큼 사용하는 하드웨어 자원은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현존하는 컴퓨터 부품으로도 아직까지는 uhd해상도가 많이 버겁기도 하구요


4k 이상 해상도가 좋은건맞지만 가면 갈수록 화질차이 구분은 어려워지구요

1920x1080 정도 모니터 해상도로도 충분한 퀄리티가 나옵니다.

자신 모니터 해상도가 높지 않더라도 왠만하면 최대해상도에서 하시는게 눈도 넓어지겠죠?


모니터 오버스캔같은 기능도 설명해드리고싶지만 

워낙 지원폭도 작은데다가 매우 불안정해서 이부분에선 제외했습니다



4.퀼리티 상승을 위한 강제옵션? 인게임옵션조절?


소스엔진은 워낙 개방적이다보니 컨픽,콘솔등을 이용해서 

텍스쳐 퀄리티 등을 강제로 올리는방법도 있긴했지만

마영전은 아무리 찾아서 적용해봐도 별차이가 없더라구요

최적화문제때문에 어느정도 텍스쳐 해상도를 낮춰서 나오는거같습니다.

원본 크기로 보시려면 그림을 클릭하세요.

(아우프리커 부들부들..)

절때로 텍스처옵션을 낮춘게 아닙니다


그래도 다행인건 인게임 옵션으로 만으로도 충분히 좋은 

그래픽이 나오기 때문에 별다른 그래픽 강제옵션 없이도

원활한 감상이 가능합니다.


자 그럼 이제 옵션을 조정해볼까요?

원본 크기로 보시려면 그림을 클릭하세요.

그냥죄다 밑으로설정해두시면됨


모델 설정

말 그대로 모델,폴리곤의 수를 늘려서 전반적인 그래픽퀄리티가 늘어납니다

다만 이옵션을 최대로 올려도 마영전이 멀리 있으면 자동으로 폴리곤수가 줄어들면서 최적화가되기때문에

어느정도 물체나 캐릭터가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모델 퀄리티가 줄어들긴하지만 쉽게 체감되지는 않습니다.


텍스쳐 설정

말그대로 텍스쳐(옷 무늬,캐릭터 얼굴색등..)

가장 중요한 요소중 하나인 퀄리티를 상승시키거나 하향시킵니다

당연히 최대로 설정해줍시다


셰이더 설정

간단히 말해서 옷의 질감표현,몸에 기름발랐는데 반사되는효과 등등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해줍니다

당연히 최대로 올려줍시다


이펙트설정

장판,파티클 이펙트(간단한 조명불빛등),특수 이펙트(코코볼) 등의 퀄리티를 상승시켜주고

낮음 옵션이 아니라면 일종 스킬 사용할떄 주변에 잔상효과나 먼지같은게 휘날립니다

다만 스킬로 사진을 찍거나 전투사진을 찍을때 여러모로 방해될수도 있는 옵션이므로

각자 취향에 따라 조절해줍시다

ex.원본 크기로 보시려면 그림을 클릭하세요.



광원효과

말 그대로 광원효과를 상승시켜줍니다

외에도 색품질 등의 상승을 볼수있습니다

최대로 올려주면 시즌2같은데서 빛샘효과도 볼수있어요!


이부분과 hdr효과를 다음 게시글에서 좀더 서술해두었습니다


그림자 효과

말이 필요한가요?

다만 아쉬운건 실시간 그림자가 아니라서 매번 똑같은 패턴의 그림자밖에 안보이는게 좀 아쉽긴합니다만은 그래도 좋습니다

이 부분은 gpu 연산보다 cpu 연산처리가 더 많기 때문에 cpu 성능이 낮다면 프레임은 더 더욱 낮아질겁니다

취향에 따라 조절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애니메이션 효과

천옷 깃발등이 펄럭이거나 흔들릴 (에이 알잖아요) 만한 요소들이 좀더 부드럽게,자연스럽게 움직입니다

왠만하면 켜두시는게 좋겠지요?


물리 효과

물체의 파편수,파괴될때 좀더 다이나믹하게,스무스하게 표현됩니다

간단하게 최대로올리시고 선착장가셔서 오크통을 부숴보시면 나무열매등이 나옵니다

낮음 으로 하면 그런거없구요

이 또한 cpu 자원을 주로 사용하기떄문에 사양을 많이 잡아먹는 옵션중 하나입니다

취향에 따라 조절해줍시다


안티 얼라이싱

폴리곤 이나 이미지에 각진부분, 계단현상을 숫자가 높아질수록 부드럽게 표현됩니다.

그래픽 카드자원을 상당히 많이 요구하지만 스크린샷을 찍을때는 거의 필수라고 볼수있죠

왠만하면 끝까지 올려둡시다.


강제 안티얼라이싱 등은 다음 게시글에서 서술하겠습니다


비등방성 필터링

멀리있는 물체나 각종 모델의 퀄리티를 상승 시킵니다.

이 옵션이 낮으면 주변바닥이 찱흙이 되는걸 보실수있습니다.

안티 얼라이싱과 비슷하게 사양을 많이 요구하지만 퀄리티 상승을 위해 필수로 올려야될 옵션입니다.

당연히 최대로 올려야죠!


세로 대역폭 대기

우리가 알고있는 수직동기화,v-sync가 맞습니다

사용하는 모니터 주파수에 맞춰서 프레임재생빈도를 맞춰줍니다

몇몇 환경에서는 심하게 화면이 깨지거나 지직거리는 경우에는 이옵션을 켜주시는게 좋구요

자신의 사양이 충분한데도 이상할정도로 렉이걸리거나 하는경우에는 끄거나 켜주시는게 좋습니다.


모션블러

화면이 움직이거나 캐릭터의 상황에따라 다이나믹하게 화면을 블러를 

이용해 좀더 강렬한 움직이는 효과를 보실수있습니다

취향에 따라 키거나 끄시면 됩니다.


비네트 효과

화면의 가장자리에 검은효과를넣어 중앙부분에 시선을 집중하게끔 약간의 착시효과를 일으켜

좀더 나은 그래픽으로 보이는 옵션입니다

취향에따라 끄거나 키시면 됩니다원본 크기로 보시려면 그림을 클릭하세요.


멀티코어 설정

예전 부터 잘나가던 cpu 들은 단일코어가아닌 2개이상의 코어를 구축해서 상당한 효과를 내는방식으로

연산 처리를 높이는방식의 방법으로 나온 cpu 들이 많이나왔습니다 지금도 많이쓰이구요


자신의 cpu가 듀얼코어 이상이라면 설정해두시는게 좋습니다

몇 년전만해도 마영전이 이옵션이 4개까지 조정이 가능했었는데 언제부턴가 안전모드로 밖에 설정이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이 옵션만큼은 번거롭게 만져줘야됩니다 ㅜㅜ


컨픽을 설정하는 방법도 있긴 하지만 

외부 프로그램의 손을 빌려봅시다.


인벤 자바스크립트 님이 만드신 "heroes settings"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28&l=27427


사용법은 게시글에 게시되어있습니다

최대가속만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다만 호스트 같은경우에는 아직까지 멀티 프로세스 기능이 지원되지않으니 참고하시기 바래요


자 이제 옵션부분은 모두 끝났으니 이제 스샷찍으러 가봅시다!





5.찍어보자!


위에서 서술한 이미지 확장자,외부 프로그램,설정이 모두 끝났다면 준비완료입니다


저는 1920x1080 해상도에서 프랩스를 이용하여 png 포멧 방식으로 캡쳐하구요

별 다른 강제옵션은 사용하지않습니다


이제 마음에드시는곳에가셔서 마음껏 셔터를 누르시면됩니다

짜잔!


제가 작성한 옵션으로만 캡쳐한 편집없는 원본사진들입니다

저장하시면 원본크기로 감상이 가능하구요


이래도 좀 무언가 부족하다! 더필요하다 싶으시면 다음에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이제 심화편으로 넘어갑니다!



심화편 다음게시글 링크: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28&l=29764


대부분의 자료출처는 위키백과,위키피디아에서 가져왔으며

왠만한 자료들은 다 제가 만들어서 재해석,설명을 했습니다

특정부분에서 도움을 빌린경우에는 출처 작성자분께 양해를 구하고 링크를 걸어뒀습니다


다른곳으로 가져가고싶거나 하신경우엔 수정없이 링크를 가져가시거나 편집없이 원문그대로 가져가시길 바랍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HEOAP에 의해 작성된 스크린샷 가이드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