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레나 길드의 아케미나입니다.

관리자 인증 1인저지 공략 글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걸 왜 또 올리나 싶겠지만

인벤닉 루이카시님의 공략글에 추가로 설명해놓는게 좋겠다고 여기기도 하였고

제가 13년도 10월부터 바크1호 전투에서 1인저지'만' 줄창 해오면서 느낀점들이 있으며

또한 그것들을 공유를 하고자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첫번째

바크 1호 전투에 참여하는 모든 인원들을 위한 부탁이자 팁입니다.

1.둔화를 찍은 다크나이트분들은 변신을 자제해주셨으면 합니다.

   바크의 원형톱니가 둔화의 영향을 받을 경우

   피오나의 1인저지던 파티순&역순 창 저지이던 원형톱니의 공격 대부분이 범퍼를 가리는 형식이므로

   바크 1호의 이동 저지에 애로사항이 꽃필겁니다.


2.수리팔이 다 뜯긴 이후로는 별로 일어나지는 않는 일입니다만

   바크 1호에서 내린 후 한쪽으로 우르르 몰려서 달려가는 현상이 자주 보입니다(전투 초반 수리팔 부파중)

   가능하면 이동속도가 빠른 분들은 미니맵을 보면서 파티원들이 별로 향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주셨으면 합니다.



첫째, 바크 1호 전투 내의 모든 유저들을 위한 것들은 저로썬 이게 전부입니다.

이 아래로는 피오나 유저들을 위한 간략한 팁, 그리고 1인저지 팁이므로 해당사항 없으신분은 안보셔도 무관합니다.





두번째


바크 1호 전투를 하는 피오나 유저분들을 위한 팁입니다.

일단 영상부터 보도록 합시다


 


바크 1호에서 내리자마자 방패질주를 사용하는 분들이 보여서 따로 넣는 팁입니다.

위의 영상처럼 할 경우 피오나도 창을 소모하지 않고 두개의 레버를 커버할수 있게 됩니다.(솔직히 카이가 있으면...)

다만 조심해야할점이 있습니다.


피오나의 방패 질주 또한 슬래싱하이와 웨어울프의 발톱의 효과인 행동속도 상승의 효과를 받습니다.

리시타의 글라이딩 퓨리와 마찬가지로 행동을 취하는 속도와 이동거리는 반비례하므로

현재 자신이 슬래싱 하이 또는 웨어울프의 발톱 효과를 받고 있는 경우에는

절대로 따라하시면 안됩니다. 진짜 죽어요 혼자도 아니고 파티원 전원이


아주아주 짧은 피오나만을 위한 팁 되겠습니다.

이제 이 아래로는 피오나의 바크 1인저지 글이 되므로

관심이 없으신분은 머리만 아플터이니 뒤로가기 누르시는게 좋습니다.






세번째

말주변도 겁나 없는 제가 이 공략글을 쓰게 되는 이유입니다.

바크 1호 1인 이동저지 되겠습니다.

일단 글쓴이의 스펙이며 검오나로밖에 설명할수 없는 이유입니다.


아마 1인저지를 한다고 해도 40제 노강 해머같은거 들고 갔다간 뺨맞을거에요(저같아도 때릴겁니다)




1인저지를 하기 위한 전제조건입니다.(절대적인건 아닙니다만)

방패강타, 방패돌진, 각종 스매시, 스매시 마스터리 등등의

전투 스킬이 대부분 만랭일것


그것이 힘들다 하시는분들에 한해서 최소한의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카운터류 스킬 마스터, 방패강타&돌진 마스터

크리티컬 마스터리 마스터입니다.(크리티컬시 다운치가 두배로 계산됩니다)


그 조건이 안되더라도 1인저지를 해보고 싶다! 라고 하시는 분들은

포기하세요...진짜 정신건강에 엄청 해로울거에요.

기본적으로 1인저지는 심(장비)신이 여유로우신분들이 하시는게 좋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하겠습니다




1인저지는 무엇인가?

글자 그대로의 의미입니다

혼자서 하는 저지이죠



1인저지를 왜 하느냐?

이건 1인저지를 하는 분들에 따라 다를겁니다만

저는 '심심해서' 합니다(다른분들은 그분들만의 이유가 있겠지요)

컨텐츠가 워낙 없는 게임이다보니

이것저것 다 해보다보니

슬슬 전투의 긴장감이 떨어집니다만.

1인저지를 하는 동안은 나름 재미를 느낍니다.



1인저지를 하므로써 얻는 장점

명확합니다, 클리어 타임의 감소입니다.

창 팟순이던 창 역순이던 개인이 지닌 창은 7개이니

결국은 2명이 멀뚱멀뚱 내려와서 범퍼나 쳐다보는 상황이 연출 됩니다.

1인저지를 하면 쭉 혼자서 있게 되니 창 던지는 파티보다야 빠르겠지요



단점

1인저지 하는 피오나 유저에게만 해당되는 사항입니다.

일단 부담이 될수가 있습니다.

자신이 실수할 경우 바크가 이동을 해버리니

딜 로스가 발생하는것이지요

둘째로는 파티원 전체에 해당될수 있는 점입니다만

1인저지를 하는 피오나의 딜량이 상당히 높은 경우는

1인저지를 하느라고 범퍼에 있는게

그냥 창 저지를 하는것보다 딜량이 적어질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바크 이동 저지의 조건

바크 1호의 이동준비후 약 9초간의 시간이 있습니다.

그 시간이 지나기 전에


1. 바크1호의 범퍼에 총합 350 이상의 다운치를 누적시킨다.

   (네... 루이카시님의 공략글에도 누누히 설명하던 그겁니다. 그러므로 특별히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겠습니다.)



2. 이동 준비중일때 다른 부품들(기계팔, 원형톱날, 굴삭드릴, 대형드릴)이 파괴된다.



2번이 도대체 무슨 소리냐?

영상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

 

보시다시피 전 해피블로섬(노크리 기준 다 쳐봐야 다운치 80도 안됩니다)만 넣었는데 이동이 저지 되었습니다.

2번 수리팔이 떨어져나감과 동시에 이동이 저지 되었는데



이 경우가 가능한 이유로는

1번의 경우는 부파모션 1회 요구 다운치 350을 부파부위인 범퍼에 꽃아넣는 것이며

이 경우 부파까지 필요한 요구 횟수는 무제한에 까가울 것으로 추정됩니다.

비슷한 예로써 라이노토스 앞발 부파 요구 수치 9999회가 있습니다. 3층에서 낙하를 시키기 위한 부파모션이지요

그리고 2번의 경우는 부파부위(원형톱니,대형드릴, 굴삭드릴, x번 기계팔)의 체력을 모조리 까서

부파모션 1회의 부파를 성공한 경우입니다.

그리고 1번과 2번 두 경우 모두 부파모션으로

바크의 이동준비가 캔슬되어 이동저지가 됩니다. 라는것이 저의 추측입니다.

이런거 1:1 문의 같은걸로 물어봐야 답장 안오겠죠...

확신을 시켜드리지 못한점 죄송합니다.





이동저지의 조건에 대해서는 여기까지 설명하기로 하고

이제는 바크 1호의 각 패턴에 대응하는 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루이카시님 공략에서는 카운터를 치라고 했지 어떻게 치라는 설명이 없기도 했으니

어렵게 느끼신 분들이 있는것 같아서 각 패턴별 대응법으로써 설명 드리겠습니다.





시작~바크 1호의 첫번째 이동


저지 하지 마세요

이거 저지하면 욕먹는거 말고 아무것도 없어요

그러므로 영상도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처음 이동 후 굴삭드릴&원형톱니


자 일단 영상부터 봅시다.

 





여기는 어쩔수 없이 한사이클 전체를 영상으로 보여드린점 죄송합니다.

굴삭드릴 3패턴, 원형톱니 5패턴을 조합해서 하나하나 올리자면 영상이 15개(미...미친!)라는 숫자가 되어서

상당한 스압이 될것 같아 글로써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1초 굴삭드릴 찍기 후 폭발

간단합니다. 굴삭드릴이 땅을 내려찍고 그 뒤 폭발을 일으키는겁니다만

땅을 찍은 굴삭드릴의 회전이 멈추면 폭발을 일으킵니다.

그 타이밍을 숙지하시고 대처하시면 됩니다. 



14초 원형톱니 수평회전 느림

이 패턴이 나올 경우 바크 1호 범퍼의 중앙으로 가셔야 합니다.

그 후 가드를 한 다음 카운터를 넣는데

카운터를 넣을때 지연입력을 해서 최대한 느리게 카운터를 넣어야만 합니다.


(수정)깜빡하고 놓친걸 인벤닉 일리에니아님 덕분에 적게 되었군요

현재 이 영상의 제 공속은 37입니다.

그보다 느리신분은 좀더 수월하겠지만

그보다 빠르신분은 좀더 어려울것 같습니다.


일단 지연입력에 관한 간단한 영상입니다.

 

그림같은걸로 간단하게 설명하고 싶지만 능력이 모자라는 관계로...


위의 영상에서는 뱀부 스플리터 - 페탈 블로우로 이어지는 스매시입니다


지연입력을 하지 않고 5회, 지연입력을 이용해서 5회정도 스매시를 넣은것입니다만


척 봐도 속도의 차이가 느껴지시지요?


위의 영상을 토대로 설명드리겠습니다.


--------   <<< 이것을 스매시 명령이 입력 가능한 시간이라고 치겠습니다.



처음 5회의 경우에는 


뱀부 스플리터 -(입력)------- 페탈 블로우


입력이 가능한 시간의 최대한 앞쪽으로 당겨서 입력한겁니다


특수한 경우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서의 스매시 입력을 이렇게 해야겠지요



그 다음 5회의 경우는


뱀부 스플리터 -------(입력)- 페탈 블로우


이렇게 입력을 하여서 페탈 블로우가 나가기까지의 시간을 최대한 지연시킨겁니다


중간에 저도 한번 타이밍이 어긋나서 페탈 블로우를 못넣었는데


뱀부 스플리터 -------- (입력)


이렇게 되어서 캐릭터가 페탈 블로우를 넣질 못하고 멀뚱거린겁니다.





왜 굳이 이런식으로 입력을 해서 카운터를 넣느냐? 라고 생각하실 분들도 있겠지만


이렇게까지 해서라도 카운터를 지연시켜 넣으면 원형톱니의 수평회전 패턴시 카운터 후속타 뿐이지만


범퍼에 직접 타격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이걸 하고 안하고의 차이는 이동저지의 성공률이 달라질테니깐요



18초 굴삭드릴 단타 찍기

네 제일 더러운 패턴입니다.

보통의 경우는 굴삭드릴이 땅을 찍기 전 그림자가 비쳐보입니다만

간혹 그림자가 보이지도 않는데 내려찍기를 시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이면 가드 아니면 운에 맡기세요

이건 가드가 어렵지 카운터는 별 문제가 되질 않습니다.

보통은 범퍼에 들러붙어야 하므로 아무렇게나 쳐도 범퍼에 카운터가 들어갑니다.



23초 원형톱니 45도 회전 빠름

원형톱니가 범퍼의 측면에서 시동 걸다가 순식간에 베기를 시전하는 패턴입니다.

꼭 범퍼의 정면(중앙에 붙으시면 아예 피격이 안되므로 유의)에 들러붙어서

가드를 하시고 카운터를 치시면 됩니다.

원형톱니가 올때 원형톱니와 겹쳐지는 위치에 설 경우 뒤로 밀려나니 꼭 범퍼에 들러붙으셔야 합니다.



27초 원형톱니 45도 회전 느림

원형톱니가 범퍼의 측면에서부터 회전하면서 바로 옵니다.

다만 속도는 느리며

대응법은 위의 빠른 속도 회전과 동일합니다



30초 굴삭드릴 우측->좌측 땅 갈아엎기

플레이어 시점 우측에 드릴을 꽃아넣고 드릴을 회전시키면서 좌측으로 오는 패턴입니다.

원형톱니 패턴이나 진배없으니 범퍼에 들러붙은 뒤 카운터를 쳐주시면 됩니다.




50초 원형톱니 좌우 번갈아 휘두르기

원형톱니가 빠른 속도로 

플레이어 시점에서 우측에서 한번 좌측에서 한번 휘두릅니다.

이것 또한 그냥 가드하고 카운터를 날리면 됩니다만

휘두르는건 2회지만 타격 횟수는 1회입니다.

우측 공격을 먼저 피격 당한 경우 좌측 공격에는 피격당하지 않으므로 주의합시다.




57초 원형톱니 수평회전 빠름

수평회전을 한 상태로 범퍼 측면에서 대기를 하다가 한순간에 범퍼 중앙까지 덮쳐오는 패턴입니다.

아까 진득하게 설명했던 수평회전 느린속도와 똑같이 대응하시면 됩니다.







이제는 대형드릴&원형톱니일때의 대응법입니다.

참 다행히도 대형드릴은 거의 무시해도 될 수준이므로

원형톱니 5가지 패턴을 위주로써 각 패턴별 영상을 곁들여 설명하겠습니다.


1. 원형 톱니 좌우 휘두르기

 


앞에 달린게 굴삭이던 대형드릴이던 달라질게 없습니다.

언제 어떻게 가드와 카운터를 쓰라고 설명할것도 없는 아주 간단한 패턴이지요

그냥 가드 하시고 카운터를 날리시면 됩니다.




2. 원형톱니 45도 회전(빠름&느림)

 



 




대응법은 둘 다 같습니다.


그래서 영상도 연달아 올렸구요


굴삭드릴이 정면에 있을때와는 달리


조금만 멀어져도 원형톱니에 의해 뒤로 밀려나는 경우가 잦으므로


최대한 대형드릴쪽 범퍼에 들러붙은 뒤 공격을 막고 카운터를 치셔야 합니다.






3. 원형톱니 수평 회전(빠름)


 


패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준비모션이 보이면 범퍼의 측면방향으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원형톱니의 공격을 막고


범퍼의 측면에 카운터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저도 14년도 들어서야 이걸 알게 되었습니다


이것 덕분에 요즘은 창도 거의 안쓰고 1인저지를 하게 됩니다.(물론 전혀 안쓰는건 무리입니다)





4. 원형톱니 수평 회전(느림)


 



영상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뭔 짓거리를 해도 카운터로는 범퍼에 타격이 안됩니다.


영상에선 운이 좋아서 마침 미사일을 날려 줍니다만

(범퍼에서 조금만 멀어져도 쓰니 어느정도 유도는 됩니다)


창이랑 방패돌진은 이때 써야 합니다.





일단 여기까지가 기초적인 1인저지에 필요한 각 패턴별 대응법입니다.


기승전카운터죠 뭐...






그럼 이제 카운터를 날릴수가 없게 되면 어찌 하느냐??


 


바크 1호의 이동 준비는 바크 1호의 체력이 반줄씩 까질때마다 나옵니다.


그러므로 바크 1호의 체력을 보다가 반줄이 까질때쯤부터 평타를 시작하고


아마란스 킥을 넣은 뒤(다운치 50) - 방패강타(146) - 나머지 8회정도(20*8=160) 대시스매시를 넣으면 됩니다.


전부 노크리 기준입니다만


솔직히 크리 f랭 같은게 아닌이상 저중에 일부분은 크리가 뜰겁니다


그럼 영상처럼 꽤 수월하게 저지가 되구요






그리고 피오나 게시판에서 보았던 글이 있는데


창 없이 1인저지는 어찌 하는지 묻는분들이 계셨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가능합니다.




 


대시스매시 헤비캔을 이용하시면 창이 없이도 1인저지가 됩니다만


이것만큼은 쉽다고는 말 못하겠습니다.


그리고 크리가 낮으신분들에게는 추천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크리 없이 하면 무려 11번을 넣어야 하는 하드코어 플레이가 됩니다.


저 영상을 찍을 당시의 제 크리가 106으로 크리확률 47퍼지만 9번이나 갈겨댔군요

(강화운만 없는게 아니라니 젠장할...)





그리고 대시스매시 헤비캔에 관한것은 


서진아씨님의 대시스매시 헤비캔 팁이 있으니 그것을 참고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링크 -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28&query=view&p=1&my=&category=&sort=PID&orderby=&where=&name=&subject=&content=&keyword=&sterm=&iskin=&mskin=&l=29936


덕분에 분량이 줄었습니다. 감사합니다...헤헿






이것으로써 피오나 1인저지에 대한 공략글을 끝마치며


여기까지 긴 글 읽어주신분들 모두 수고 많으셨습니다.


혹여나 질문이라던가 있으시면 인벤닉 아케미나 또는 게임닉 아케미나로


쪽지, 귓, 우편 등등 다 받습니다.






P.S 

이 글을 보고서 1인저지를 해보고자 시도하시는 분들에게 드리고 싶은 말씀이 있습니다.


익숙해지면 어느정도는 괜찮다고 말하고 싶습니다만


가능하면 시작은 공제방에서부터 시작해주셔야 할것 같습니다


영상을 수집하던중 일어난 일입니다만


저도 14년도 들어서 처음으로 1인저지 하다 죽은게 노공제 헬팟일때였습니다


젠장할...바크가 이동준비를 안해.JPG

총 영상 20분짜리로 촬영이 된 전투인데


근 10여분을 처음 굴삭드릴&원형톱니에서 보냈습니다.


최소한 공제방에서는 이런 일은 그다지 일어나지 않으니


아직 1인저지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공제방에서부터 서서히 경험을 쌓으시면 될것 같습니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