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 썻던글은 삭제합니다 죄송합니다.)
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9HO6o

 

 

 

경고!

이 공략은 프리매치를 하는데 기본적으로 보탬이 되라고 있는거지

이 공략을 습관화한다면 쉬운 패턴으로 당할 수 있습니다.

랩4,50인분들께는 죄송하지만 공략을 알아도 스치면 사망이므로 열렙후 프리매치를 찾아주셧으면해요.

 

글쓰기에 앞서

안녕하세요 PVP 이제 1년차인 중견유저입니다.

그동안 프리매치에서 저랩분들을 많이 봐왔고 고렙이더라도 어떻게 하는지 몰라 손쉽게 죽는 분들을 위해 이글을 써봅니다. 남에게 민폐가 되기싫으신분들은 잘오셧습니다.

 

 

목차

1.프리매치란?

 

2.프리매치를 한다면 알아두어야 할것들(기초~심화)

-맵이해

-스태미나

-무적버프

-잡기

-띄우기

-파깃

 

3.프리매치에서 각 케릭터별로 기대되는 플레이

-카이

-리시타

-카록

-허크

-이비

-린

-벨라

-피오나

-아리샤(미완으로 추후 게재)

 

 

4.프매 팁과 유의점

 

 

1.프리매치란?

프리매치(데스매치)란 6vs6형태의 2선승제 섬멸전이며

한라운드당 10분입니다. 10분안에 섬멸하지 못하면 생존한 인원수에따라 승패가 나뉘어집니다.

프리매치 승리시 영광의 인장 3개

패배시 영광의 인장 1개가 보상으로 지급됩니다.

 

 

2.프리매치에 알아둘것들

1)맵이해

↑프리매치의 전면적인 지도(인벤닉 리마이사카님의 글에서 가져왔습니다. 문제시 삭제하겟습니다.)

지도를 보면 우리측 시작지점에서 좌측의 세로로 늘어진 직사각형 장애물이있는데 이장애물은 대각으로 2개가 있고 올라갈 수 있습니다. sp와 파깃은 2분마다 젠이 됩니다.

2)스태미나

PVP와 PVE에서의 스태미나 소모량은 다릅니다.

PVP에서 보정을 먹어 한번 회피시 스태미나 20이 소모되므로 항시 소모상태를 확인하며 플레이하는걸 추천합니다.

만약 관리를 못해 스태미나를 다써버리면

↑스태미나를 다써버린 상태(부득이 아레나에서 스샷을 찍었습니다만 프리매치에서는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헉헉대며 적에게 공격을 허용할 수 있게됩니다.

3)무적버프

무적버프는 PVE에서는 없는것으로 자신이 회피중에 피격을 당하면

↑무적버프를 받은 상태(부득이 아레나에서 스샷을 찍었습니다만 프리매치에서는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번쩍거리는 이펙트를 뿌리며 2초간 무적상태로 만들어줍니다. 이를 통해 역공을 가하던가 소모된 스태미나를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4)잡기

우선 잡기를 할 수 있는 케릭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피오나, 리시타, 카록, 벨라, 허크, 아리샤

잡기는 PVE에서 처럼 e키를 누르면 발동되며 상대를 잡아 스태미나가 모두 소모된 모션으로 만든후 공격을 가할수있게 합니다. 이비,린,활카이가 특히 취약합니다.

↑잡기를 당한후 공격당하는 모습(부득이 아레나에서 스샷을 찍었습니다만 프리매치에서는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5)띄우기

pvp에서 그나마 격투감을 느낄 수 있는게 띄우기후 공콤이 아닌가 싶습니다.(필자는 총카이라 그런걸 느껴본적이 없지만...) 대다수가 1타 스매시로 띄운후 공콤을 연결해 공격 할 수 있습니다. 아레나에서는 1:1이라 방해가 없지만 프리매치에선 6대6 대전이란걸 잘 아시고 주변 상황을 차단한 후 공콤을 안전하게 넣으시길 바랍니다.

↑띄우기에 걸리고 공콤을 넣는 모습(부득이 아레나에서 스샷을 찍었습니다만 프리매치에서는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케릭별 공콤은 공콤을 상세하게 적어두신 여신엘프님의 글 링크를 겁니다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28&query=view&p=1&my=&category=&sort=PID&orderby=&where=&name=nicname&subject=&content=&keyword=%BF%A9%BD%C5%BF%A4%C7%C1&sterm=&iskin=&mskin=&l=29945)

6)파깃

프리매치는 피깃과 파깃이 존재해 파티원들을 부활 시킬 수 있습니다.

파깃을 사용해 최대 부활시킬 수 있는 인원은 3명입니다.(초월의파괴자님 제보감사합니다)

피깃,파깃을 저지하는법은 무조건 적을 한대라도 공격을 적중시키면 저지가됩니다.

하지만 슬래싱 하이(이하 슬하)나 광폭화를 사용하고 파깃을 쓰면 피격당해도 파깃을 쓸 수 있습니다.

그밖에도 린의 백화난무,이비의 환각+터틀레그를 다수에게 적중시키면 파깃을 사용해 팀원들을 부활시킬 수 있습니다.

↑슬하파깃과 광폭파깃을 사용하는 모습(린과 이비는 스샷을 구하지못했습니다. 죄송합니다.)

 

 

 3.프리매치에서 기대되는 플레이

-총카이

총카이는 프리매치에서 가장 존재감이 부각되며 게임의 판도도 좌지우지 할 수 있는 케릭터입니다.

대게 시작지점 좌측에 젠되는 sp포션을 팀원들이 양보해줌으로 아토믹을 쏠 수 있게되는데요. 이때 sp포션은 서서마시든 걷든 달리든 무조건 1250sp가 다 회복됩니다. 우선 sp게이지를 체우면 상자(2번의 1번참조)에 올라가던가 빠르게 중앙언덕으로 가서 적이 모여있거나 상대 총카이가 보일경우 우선으로 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나서 중앙언덕을 중심으로 고저차를 이용한 할로우샷, 평타로 깃견제 해주시면 되구요(어느정도 리치가 있어 견제도 가능하고 행불저항이 뜬 적을 손쉽게 처리도 가능) 상자에 붙어서 할로우샷을 쏘면 상자위,반대쪽까지 대미지를 입힐 수 있으므로 플레이시 유의해두시면됩니다.

총카이는 평타를 딜링용으로 쓰시면 안되므로 결국 할로우샷,스핀스매시를 이용한 딜링이 필요합니다 이때문에 중근거리에서 파이트를 벌여야하는데 이때문에 스태미나 관리는 필수 입니다. 악세에 강인한,열망/방어구에 꾸준한을 바르는것도 한방법입니다.

↑고저차를 이용해 할로우샷을 더 길게 쏘는 모습

 

-활카이

활카이는 절대 앞에서 딜링을 하는 케릭터가 아님을 명심해두시고 임하셔야합니다.

우선 전체적인 맵을 어느정도 숙지하시고 상황에 맞게 딜링을 하셔야하는데 생존을 위해서는 공속이 어느정도 바쳐주면 근접계열에 기본보다 상당히 우월한 생존력을 보입니다. 공속 40중후반이면 5쓰러스트킥 스핀킥으로 무시무시한 딜꼽을 할 수 있죠. 우선 근접계열에게 살아남는 좋은방법중 하나가 박스를 이용한 박스플레이입니다. 상자에 올라갈때 무적인걸 이용해서 빙글빙글 도시거나 상자를 오르락내리락하는것도 큰도움이됩니다. 하지만 총카이등 범위공격이 가능한 케릭터에겐 피격당할 수 있으니 이점 숙지하셔야할것입니다. 활카이는 역시 전체적인 파이트에 맞게 개입해주는 플레이가 필요합니다. 적이 밀집해있는곳에선 밴딩샷이 도움이됩니다. 콤보를 끊는 것도 있지만 원거리 파깃이라던가 적의 깃부활중에 평속사론 닿지않는 거리를 저격해서 끊는 것도 가능하거든요. 게다가 sp소모도 적으니 자주쓰시는게 좋습니다. 또 박스뒤에서 버티는 적의 경우엔(특히 총카이가 심함) 활카이가 원거리 견제말곤 해줄게 없죠 그래서 애로우스톰으로 견제해주는게 좋습니다. 멀스같이 강력한 스킬은 일반상태인 적에겐 다운을 시키거나해서 대미지를 그렇게 줄 수가없습니다. 그래서 슬하파깃,광폭파깃중인 적에게 멀스를 아끼셧다가 꼽는것도 좋을것같습니다. 활카이는 평타가 바라보는 방향의 카이기준 오른쪽에서 화살이 나가므로 카이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근전을 펼치는게 제일 효율적입니다.

↑밴딩샷을 쏘며 적들을 와해시키는 모습

 

-리시타

창시타는 리버레이트를 이용한 끊임없는 추노링으로 플레이하는걸 추천합니다. 검시타는 창시만큼은 아니지만 최대한 생존과 견제를 병행하며 추노를 하다가 파깃에 집중합니다. 창시와 검시는 프매에서 상대 원딜(활카이,총카이등)한 명만이라도 완벽하게 틀어막으면 1인분 이상을 할 수 있습니다. 과도하게 파이트를 걸어서 카운터로 맞을바에 창시의 회피자체가 공격이되고 잡기도 있으니 생존위주의 추노로 적을 교란시키거나 귀찮게 만드는게 바람직한 플레이가 되죠. 검시타도 마찬 때때로 어그로도 끌어 팀의 숨통도 틔워주니 1석2조가 되는거겟죠? 프리매치에서 도망은 쫄보의 플레이가 절대아닙니다. 도망도 전략이고 2~3명 적의 어그로를 끌어 팀원이 파깃을 수월하게 쓰거나 딜링을 하게하는게 바로 전략이죠. 예를 들어 총카이를 마크한다고 하죠 총카이의 할로우샷 쿨타임은 6초 다시말해 할로우샷을 쓰고나면 도망치거나 스핀스매시로 버틸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럼 이때 스핀스매시 간간히 피해주고 잡기로 교란시켜주면 이것이야말로 창시의 플레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뉴비시타분들이 마크할 수 있는 난이도를 쉬움부터 정리하자면 저렙, 린과 아리샤, 피오나, 리시타 이후부터 숙련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비, 벨라, 카이, 카록으로 어려워지구요 마지막은 역시 제봉허크 되겠네요...

 

-카록

우선 블래스터 카록(이하 블카) 좋은 생존력에 띄우기,잡기가 되는 삼대장중 하나입니다. 블카를 플레이 하실때 총카이가 없으면 선sp포션으로 하고 힘의해방을 써줍니다. 그후 적이 뭉쳐있고 장애물에 없는곳에 빅뱅어택을 써주시면 꽤 짭짤한 대미지를 줄 수 있죠 그리고 견제가 필요한 상대에게(카이,리시타,피오나) 4타로 위협하면서 접근합니다 그후 1타를 연속으로 써주며 위빙계속 만들어주는식의 견제를 하다가 허크,기록이보면 맞다이보단 피하는게 좋습니다. 혹시나 띄우기가 들어가면 1타 3번에 버스터넣는 식으로 해주시면됩니다. 1타 4번은 끊기니 주의하시구요. 상대가 다운되면 연아탭으로 쫓아가서 잡기나 2타 기상타로 포션을 쭉쭉 빼주시면됩니다. 기둥 카록(이하 기록)은 기동성이 느려서 확트인 공간이 프리매치에선 기록이 힘을 그닥 발휘하진 못합니다. 기록은 가드그룹으로 분류되는데 적을 쫓는 플레이보단 sp포션이나 파깃사수를 하는게 좋습니다. 블록처럼 빠르게 치고 빠지는 게릴라를 할 수 없기에 이런 플레이가 좀더 안정적이고 팀에 이득이 가는거죠 1:1상황이 나오면 충흡으로 방어하시면서 웨일밤과 연계기인 워톰으로 필카위주의 플레이를 하시면 됩니다. 단 반복된 패턴보단 중간중간 구르기로 훅들어가서 잡기로 끊어주는것도 추천드리네요. 기둥던지기는 확실한 상황이 아니면 던지지않는게 좋습니다. 기록은 캐리가 아닌 듬직한 서포터가 걸맞습니다.

 

-허크

 허크는 좀 간단합니다. 총카이의 할로우샷등을 봉쇄로 버티다가 파깃,피깃을 쓰는적이나 무방비 상태의 적에게 중첩된 복수를 꽂는거죠 또한 빠른 기동성으로 주변의 sp나 파깃이 젠이되면 선점을하고 나중에 아군이 2명이상 죽으면 광폭화 파깃으로 부활시킬 수 있습니다. 봉쇄만 쓰는건 제봉으로 비매너에 해당되며 왠만하면 줄이는걸 추천합니다. 한계초월 남발은 절대 비추입니다. 스태미나 소모와 한계초월의 피소모가 보정을 먹어 대폭깎이므로 이점 유의 하시길 바랍니다.

 

-이비

이비는 타케에 비해 방어력이 낮아 마나 실드가 꼭필요하며 후반으로 가면갈수록 마실이 깨지는 순간 어그로를 많이 끌어 순삭 당할수도있기에 유의 하시고 플레이를 하셧으면합니다.

우선 탭비는 팀내에 힐러,서포터의 역할을 하며 특히 힐링펄로 인한 팀원들의 꾸준한 회복이 승패를 가를수있게 해줍니다. 그렇기에 항상 탭비는 추노의 대상에 속합니다. 그로 인해 생존이 우선시 되는데 팀원들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며 환각으로 적의 발을 잠깐 묶어 피해를 입힐 수 있죠. 라이트닝 웨이브나 아이스 스피어는 환각때 콤보용으로 들어가기에 반드시 캐스팅을 해두셔야합니다. 도주땐 상자위의 마인점프를 통한 빠른도주와 도주중에도 sp와 파깃을 계속 습득해 보조를 해야합니다. 잡기없는 카이도 1:1에선 무조건 불리하므로 항상 주의 또 주의를 요합니다. 낫비또한 생존을 하며 sp를 습득하면 중력역전이나 인세인 리퍼로 가뜩이나 스태소모가 많은 PVP내에서 빠른 스태회복을 도와주고 콩콩이로 계속 무적버프를 받으며 회피하다가 무방비인 적에게 블링크 문라이트로 들어가 1타또는 2타를 치며 견제형식으로 플레이합니다 스피릿 바인드로 영혼을 소환해 새크리파이스로 발을 묶는등의 플레이도 할 수 있습니다. 블러디 스레드등의 출혈로 적의 피를 서서히 깎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린

린은 빠른 기동, 쓸만한 회피, 띄우기를 할때 공콤을 이용한 파워풀한 딜링, 백화난무를 통한 파깃이 장점입니다. 떨어져 있는 적이나 무방비 상태의 적에게 돌풍으로 들어가 띄우던지 아니면 적의 시선을 끈 후 섬풍으로 다시 빠지는 식의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계속되는 게릴라로 파깃과 sp포션이 젠이 되길 기다렸다가 적측의 파깃과 sp를 스틸하는 플레이가 필요하구요. 아군이 2명이상 다운되면 sp포션을 마시고 백화난무를 쓴후 적의 어그로를 최소화한 후 구석에서 파깃을 쓰는 플레이가 바람직합니다.

 

-벨라

벨라는 견제와 기동성이 뛰어나 치고빠지는 견제나 슬하파깃으로 파티원들의 부활을 책임집니다.

검벨라의 경우 총카이의 할로우샷을 백래쉬로 튕겨낼 수 있습니다.활카의 멀스도 백래쉬로 튕겨낼수 있구요 적 총카이의 모션을 본후 백래쉬로 튕겨내거나 1차 장전때 회피로 들어간후 잡기 시도나 1타후 연계 타이푼으로 견제를 해줍니다. 최근까진 0타로 꿀을 빨았지만 패치로 인해 차징없인 띄울 수 없게되 타이밍이 중요합니다.

듀블벨라의 경우 근접해오는 적을 소노러스 필로 계속 저지하면서  파깃 준비하고 혹시나 체력이 달릴경우 뱀파이어의 키스로 버티며 도주하고 박스를 이용하는식의 플레이를 권장합니다.

 

-피오나

피오나는 뭐 /하하가 최강이긴하지만(죄송합니다 ㅋㅋ;) 위에서 설명한 기록처럼 sp나 파깃에 퍼가로 버티던가 계속 구르면서 어그로를 끕니다. 그러다가 파깃이 젠되면 습득하거나 거리가 좀 되면 방패 질주로 습득하는게 중요합니다. sp포션을 마시면 무방비인 적에게 방패 돌진으로 피해를 입히거나 슬하 파깃을 위해 방패 질주와 방패 돌진으로 적과의 거리를 빠르게 벌린뒤 파깃을 먹고 깃을 쓰거나 sp를 먹고 슬하파깃을 쓰시면됩니다. 오나의 어글링도 창시나 검시 못지않아 다수대 1로 버티기에 특화되있죠.

 

 

4.프매 팁과 유의점

1. 아티펙트를 1번창에 놓지말자.

↑프매 시작시 템창 4,5번은 게임중에 먹은 sp포션과 파깃

프리매치는 기본적으로 시작할때 큐미3개와 피깃 1개가 지급됩니다. 이템들은 무조건 1번,2번창에 지급되니

혹시나 자신이 아티펙트를 갖고있는데 1번창에 아티를 둔다면 큐미는 증.발 해버리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2. 2라운드 시작때 문에 비비지 말자.(★★★★★)

2라운드 시작때 문에 비비면 문이 쑥땅으로 들어갔다가 올라옵니다. 그러면 팀원들의 출발 시간이 늦어지겠죠. 이게 왜 문제가되느냐? 파깃,sp포션을 상대팀 허크에게 뺏길 확률이 매우 높아집니다. 그러면 우리팀은 템젠이 될때까지는 사리면서 플레이 해야할뿐더러 상대 허크의 광폭화에 쓸 sp를 줌으로 적에게 파깃 한번을 안전하게 쓸 수 있게 해주는거죠.

아예 문에서 좀 멀찍이 떨어져있거나 가만 있는게 좋습니다.

 

 

마치며...

실은 반이상은 써둿는데 글이 날아가 한차례 멘붕이 왔었습니다. 크흠!! 오타도 있을수있구요...

지금 프리매치의 현황은 이렇습니다. 아레나의 어뷰징도 하기싫고 그렇다고 양학은 싫으신분들이 프리매치를 더 많이 찾게되는데요. 주말엔 30명정도는 기본으로 모여주시고 프매가 활기를 띄는것같아 만족스럽습니다.

하지만 그럴수록 버그를 악용하는 유저들도 많아져서 마음이 아프네요...

아무튼 프리매치 재밌게 즐겨주셧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아자아자 파이팅!

 

도움주신분들.

학점대신얻은카이님, Vattz님, 공기파도님, 초원의파괴자님, 광란의흑형님, 스텝시퀀스님, 벨레이어님,도망가지마세요님(평가를 다시하게됨;;), 빙그르르번쩍님, 강화왕김파손님

그밖에도 도움주신분들께 감사의 말을 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