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템 3성의 가격에 대한 공식이 없는 듯하여 이 글을 작성합니다.
혹시 중복이라면 환기성이라고 생각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모든 계산은 제작 만숙련을 찍고 제작을 골드 벌이를 위해서만 한다는 가정하에 작성되었으므로
70제 제작템에 대해서만 얘기하며 3성을 도박 목적으로 노리는 경우도 제외하였습니다.

이런저런 계산식이 귀찮으시다면 마지막의 4. 정리만 보시면 됩니다.

1. 제작템의 기대가격 계산

제작템의 제작시 품질이 어떻게 나오는지에 대한 확률은 sonica 님의 팁을 참고하였습니다.

위의 팁글을 참고하면 아이템 제작시
1성은 5.70%, 2성은 78.84%, 3성은 15.27%, 4성은 0.19%의 확률로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아이템을 제작할 때의 기대 가격을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성 가격)*0.0570+(2성 가격)*0.7884+(3성 가격)*0.1527+(4성 가격)*0.0019=(기대 가격)

예를 들면 1성 가격이 100만, 2성 가격이 250만, 3성 가격이 450만, 4성 가격이 700만인 아이템을 제작할 경우
내가 만드는 아이템의 가격은 다음과 같이 계산이 됩니다.

100만*0.0570+250만*0.7884+450만*0.1527+700만*0.0019=272.845만=2,728,450골드

이 기대가격이 중요한 이유는 70제 제작템의 경우
기대가격보다 재료비가 비싸다면 만들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2. 제작템의 제조원가 계산

제조원가는 문자그대로 제작템에 들어가는 재료비의 총합입니다.
제작 탭에서 각 템에 마우스를 올리면 나오는 경매장 가격을 보는 것이 편리합니다.
다시 말해 제작원가는

각 재료템의 경매장 가격의 합이 됩니다.

물론 재료비는 상황에 따라 경매장가보다 더 낮아지거나 높아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제작원가는 타인이 별다른 노력없이 경매장에서 평균가에 물건을 구입했을때의 시세이기 때문에
내가 만드는데 얼마가 들었냐가 중요한게 아니라
내가 만든 템을 팔 때 각 재료의 값이 얼마인가로 계산해야만 합니다.
여러분이 제작재료를 한푼이라도 더 싼값에 사기 위해 매 초마다 재료를 검색하는 노력은 공짜가 아닙니다.

3. 70제 3성의 가격은 어떻게 정해야 하나?

70제 아이템은 가격이 거의 경매장에서 결정되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하여
제작시 기대가를 계산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기대가를 계산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전제가 들어갑니다.

1. 1성은 사실상 팔리지 않는 악성재고이므로 가격은 0이라 본다.
2-1. 2성은 가격이 원가보다 비쌀 경우 구매자가 직접 제작할 것이므로 원가를 넘지 못한다.
2-2. 3성을 목적으로 제작하는 사람들이 골드순환을 위해 2성을 경매장 평균가보다 다소 싸게 팔기 때문에
   수요가 많은 제작템은 경매장 평균가, 수요가 많지 않은 경우에는 경매장 최저가가 판매가격이다.
3. 3성이 나와도 나와 같이 골드 벌이를 목적으로 제작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수요가 극단적으로 많지 않다면 3성의 가격은 기대가가 원가와 같아지는 정도에서 결정된다.
4. 4성은 사실상 나오지 않으므로 기대가 계산에서 제외한다.

이 전제를 바탕으로 제작시 기대가격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성 가격)*0.7884+(3성 가격)*0.1527=(기대 가격)

여기서 전제 3을 바탕으로 보면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2성 가격)*0.7884+(3성 가격)*0.1527=(제작원가)

그러므로 3성의 템 가격은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

((제작원가)-(2성 가격)*0.7884)/0.1527=(3성 가격)

4. 정리

(3성 가격)=((재료템 경매장가의 총합)-(2성 가격)*0.7884)/0.1527

만약 3성의 경매장 가격이 위 계산으로 나온 가격보다 낮다면 해당 템을 제작해봐야 손해입니다.
만약 3성의 경매장 가격이 위 계산으로 나온 가격보다 높다면 해당 템을 제작해서 돈을 벌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