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걸 실시간 제보에 올려야 할지, 자유게시판에 올려야 할지..
팁과 노하우에 올려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만

우선 팁과 노하우에 올려봅니다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으면 이동시키거나 삭제하겠습니다)


RISE 패치 이후, 닥치고 추피푹찍이냐 아니냐에 관한 논란에 
어느정도 도움이 되고자 바치는 자료입니다




실험에 쓰인 두가지 종류의 스펙입니다

한쪽은 공 30.6k, 추가피해 2500이고
한쪽은 30.5k, 추가피해 3500입니다

둘다 방어구 12강씩이고, 둘의 차이는 11강과 13강의 차이입니다

여기에 개인적으로 연락해서 받은 스펙을 2개 추가
깡공 28k와 추피 5000
깡공 27k와 추피 5000

총 4가지 경우의 수를 비교했습니다


대상 전투는 [실패와 대가: 에스 시더] 전투이며

실험에 사용 된 스킬은 액티브: 할로우 샷

공통된 특징은 4개 상황 모두 공해제 800이고,
공속과 크리티컬 확률은 대미지 자체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비교 대상에서 제외합니다

즉 4개 스펙의 차이는 공상한 미달여부와 추가피해의 차이입니다


실험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4개의 스펙으로 에스 시더에서 할로우샷을 때려본다
2. 최고 수치를 엑셀 시트에 기입한다
3. 대미지를 비교한다



1. 4개의 스펙으로 에스 시더를 때려봤습니다
크리가 크리인지라 크리로 터진 대미지 자체는 표본이 좀 적습니다



2. 최고 수치를 엑셀 시트에 기입한다
3. 대미지를 비교한다

실험결과는 위와 같습니다


흔히 아는 추피 푹찍이라면 추가피해 5천 스펙의 대미지가 많이 나와야 하는 상황이지만

공 27k 추피 5000 > 공 30k 추피 2500
최대차이 : 대미지 약 1600

공 28k 추피 5000 < 공 30k 추피 3500
최대차이 : 대미지 약 1000

라는 비교값이 나옵니다



공상한이 미달인 상태에서 추가피해를 높아봐야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공상한 충족 상태에서 추피를 올리면 효율이 더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굉장히 많은 표본을 가지고 실험을 해서 보여드려야하는데
똑같이 공해제 800, 추가피해를 100단위씩 끊어서 드릴수가 없기 때문에
해당 자료만 올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