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편 - 만능 CPU 라이젠5 8600G (https://www.inven.co.kr/board/it/2630/16602)에서 라이젠5 8600G를 라이젠5 7600과 비교하면서 어느 정도의 성능인지 확인하고, 또한 내장 그래픽 AMD Radeon 760M으로 오픈월드 게임을 어느 정도로 원활하게 플레이가 가능한지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라이젠5 8600G를 다양한 메인보드에 실행해보고, 성능을 확인해보겠습니다.

취미삼아 하나씩 구매하고, 리뷰로 증정 받은 메인보드까지 총 5개를 보유중인데, ASRock B650M PG 라이트닝은 지난 리뷰에서 소개드렸고 제이씨현에서 대여 받은 BIOSTAR A620MS까지 5개의 메인보드로 벤치마크를 실행 보려고 합니다.




혼자서 조립과 테스트를 진행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것으로 예상되어, 오픈형 케이스로 진행을 했습니다.

다양하게 조립을 하다보면 시행착오가 있을거라 예상했지만, 10번이상의 조립으로 기대이상으로 긴 시간이 소용되었습니다. 테스트가 거의 끝나갈 즈음, 램 설정 EXPO1으로 부팅이 안되는 메인보드가 뒤늦게 발견되어 테스트를 원점으로 돌린적도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램은 기본상태 5200에서 테스트를 확인했습니다.

이틀 동안 꼬박 밤샘을 했는데, 작업용으로 사용하는 PC에서 기가바이트 X670 AORUS ELITE까지 분리하고 다시 설치하려니 시간적인 부분이 도저히 감당이 안되어 해당 메인보드는 제외하고 4개의 메인보드만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모든 제품은 실제 사용을 EXPO1을 설정하고 클럭 6000으로 변경해서 사용했던 제품이었는데, 바이오스 업데이트와 변경된 CPU가 원인인지 부팅이 안되는 부분이 마음에 걸리는데, 시간이 부족해서 다음에 그 원인을 찾아보도록 잠시 미뤘습니다.)



메인보드를 제외한 모든 부품은 동일하며, VRAM(비디오 메모리) 8GB 설정했습니다.

1편에서 사용한 써멀구리스(다크플래쉬 DP7)가 조금 남아서 써멀구리스를 변경했습니다.

변경된 CPU쿨러도 라이젠 8600G가 온도가 잘 잡히는걸 확인하고 위해서 변경해보았습니다.

1편 벤치결과와 이번 벤치결과 비교도 흥미로울 수 있는 참고 해주시길 바랍니다.

(동영상에는 바이오스에서 EXPO1 적용하만, 테스트 데이터에는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브랜드별 바이오스에서 EXPO설정하는데 가이드용이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테스트 환경을 최대한 동일하게 셋팅하려고 노력했지만, 써멀 구리스 도포, CPU 쿨러 조임 등 사람이 하는 일이라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혼자서 조립, 설정, 벤치테스트를 진행해서 밤낮 변화에 따른 주변 환경 온도가 달랐다는 점도 감안하고 봐주시기 바랍니다.


BIOSTAR A620MS 제이씨현

- 최근에 출시한 메인보드로 바이오스 업데이트 없이도 바로 사용 가능해서 VRAM 8GB설정만 했습니다. A620칩셋이라 PBO가 지원하지 않습니다. EXPO1을 설정후에도 실행 잘 되지만, 동일한 환경을 위해 Disable상태로 진행했습니다.





ASUS EX-B650M-V7 대원씨티에스

- 라이젠 8600G를 설치하고 부팅을 해도 화면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부팅에 실패했습니다. 바이오스 플래시백을 지원하지 않아서, 라이젠7 7700X 교체 조립 후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진행했습니다. B650 메인보드라 PBO를 지원하지만, 동일한 환경을 위해 Auto상태 그대로 두었으며, VRAM 8GB로 설정했습니다.

(USB는 FAT32로 포맷을 하고, 공식사이트에서 받은 바이오스 업데이트 파일을 옮긴 후, 업데이트를 진행했습니다.)







ASRock A620M Pro RS

- ASUS EX-B650M-V7 메인보드와 마찬가지, 라이젠 8600G를 설치하고 부팅을 해도 화면이 나오지 않아서,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진행했습니다. 바이오스 플래시백을 지원하는 메인보드이기 때문에 FAT32로 포멧후 바이오스 파일을 담은 USB를 바이오스 플래시백 포트에 장착 후 업데이트를 진행했습니다. A620보드지만 PBO를 지원하는 메인보드입니다. PBO는 동일한 환경을 위해 Auto상태 그대로 두었으며 VRAM 8GB를 설정으로 설정했습니다. 그리고 메인보드에서 M.2 첫 번째슬롯에 히트싱크를 지원하지만, 제거후 마이크로닉스 WARP SHIELD H 히트싱크를 설치했습니다.






MSI PRO B650M-A WIFI

- 역시나, 라이젠 8600G를 설치하고 부팅을 해도 화면이 나오지 않아서,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진행했습니다. ASRock A620M Pro RS와 동일하게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진행하면 되지만, 백패널에 바이오스 플래시백 포트를 표시한 곳이 없는 점이 다른데, 메인보드 24핀 메인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에서 USB를 여러 포트에 장착해보면 불이 들어오는 포트가 바이오스 플래시백 포트입니다. 동일하게 VRAM 8GB를 설정으로 설정했고, PBO는 동일한 환경을 위해 Auto상태 그대로 두었으며, 메인보드에서 M.2 슬롯에는 히트싱크를 지원하지만, 제거후 마이크로닉스 WARP SHIELD H 히트싱크를 설치했습니다.





CPU-Z 벤치테스트 결과 (오른쪽일수록 좋음)

두 번의 실행 점수 합계 기준, 최고 1340.7점와 최저 1363.3점 차이 1.68%)

ASUS EX-B650M-V7 < ASRock A620M PRO RS < MSI PRO B650M-A WIFI < BIOSTAR A620MS




Cinebench R23 벤치테스트 결과 (오른쪽일수록 좋음)

싱글 점수 (최고1793점 최저1756점 차이 2.1%)

BIOSTAR A620MS < ASUS EX-B650M-V7 < MSI PRO B650M-A WIFI < ASRock A620M PRO RS

멀티 점수 (최고와 최저 13261 차이 3.2%)

BIOSTAR A620MS < MSI PRO B650M-A WIFI < ASUS EX-B650M-V7 < ASRock A620M PRO RS



PCMAKR10 벤치테스트 결과 (오른쪽일수록 좋음)

최고 7436점와 최저 7330점 차이 1.45%)

BIOSTAR A620MS < MSI PRO B650M-A WIFI < ASUS EX-B650M-V7 < ASRock A620M PRO RS




3DMARK 파이어스트라이크 결과 (오른쪽일수록 좋음)

최고 6905점와 최저 6574점 차이 5.03%)

MSI PRO B650M-A WIFI < ASUS EX-B650M-V7 < BIOSTAR A620MS < ASRock A620M PRO RS



3DMARK 타임스파이 결과 (오른쪽일수록 좋음)

최고 2979점와 최저 2819점 차이 5.68%)

MSI PRO B650M-A WIFI < ASUS EX-B650M-V7 < BIOSTAR A620MS < ASRock A620M PRO RS




- BIOSTAR A620MS가 CPU-Z 프로그램에서 최저와 1.68%로 미세하게 차이이긴 하지만 최고의 점수를 얻었습니다. 하지만, Cinebench R23 프로그램에서는 싱글 멀티 점수가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PCMARK10는 3등, 3DMARK에서는 2등으로 준수한 결과를 얻었습니다. 최초 10만원 미만의 메인보드로 가격 최우선으로 가성비PC구성하기에 좋은거 같습니다.


- ASUS EX-B650M-V7은 CPU-Z에서 최저점수를 받았지만, 그 외 프로그램에서는  2위와 3위를 할 정도로 무난한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B650칩셋 메인보드이지만 13만대의 가격대로 저렴한 편에 속하며, PBO를 지원하고 작지만 방열판이 있어서 PBO설정 후 실행한다면 현재 측정된 값 보다 더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메인보드입니다.


- ASRock A620M Pro Rs는 CPU-Z를 제외하고 모든 프로그램에서 최고점을 받는 활약을 했습니다. A620칩셋 메인보드이지만, PBO를 지원하는 메인보드란게 인상적이며, 방열판도 잘 되어 있어서 더 좋은 성능을 기대해볼수 있습니다. 또한 화이트 시스템을 구성하시는 분들에게 좋은거 같습니다. A620 메인보드이지만 B650 메인보드 정도의 가격으로 판매되는데, 최근 15만원 이하의 B650 메인보드가 출시되고 있어서, 가격적인 면에서는 경쟁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 MSI PRO B650-A WIFI는 3DMARK에서 최저점을 받았지만, 나머지 프로그램에서는 2위와 3위를 할 정도로 무난한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CPU과부하가 일어나는 프로그램에서 특히 좋은 성능이 나왔는데, 좋은 방열판이 장착되어서 CPU 풀로드 상태에서 강세인거 같습니다. 리뷰 기준일 18만원에 판매되고 있는데, 무선(WiFi, 블루투스)을 지원하는 점을 고려하면 저렴한 편에 속하며, 깔끔한 데스크탑 환경을 원하시는 분들에게 좋은 선택이 될거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큰 가격 차이가 나지 않는 메인보드라면, 메인보드 마다 장단점이 있고, 절대적인 우위에 있는 좋은 제품은 없으며, 선호하는 브랜드와 디자인, 사용 목적에 맞는 균형있는 스펙 등을 고려해서 선택하는게 가장 중요한거 같습니다.

시간 관계상 많은 벤치마크를 확인하지 못했지만, 라이젠5 8600G를 탑재하고 어떤 메인보드를 사용하더라도 성능은 체감은 거의 느낄수 없을 정도로 미세한 차이였습니다.


라이젠의 인기 비결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메인보드 등급별 차이를 거의 두지 않고 자유도가 높으며, 소켓을 장기간 지원하여 CPU만 업그레이드하면 새 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는 점 때문에 꾸준히 인기가 올라가고 있는거 같습니다.

이전 세대 라이젠5 5600G를 실사용하면서 더 이상의 혁신은 앞으로 없을거라고 생각했었는데, 라이젠5 8600G는 또 한번 더 놀라게 할 만큼 만족스러운 제품입니다. 체험 기간이 끝나면 다시 보내줘야 하는데, 다시 보내주기 싫어집니다.

이번 리뷰가 CPU를 찾으시는 분, 이미 라이젠5 8600G는 결정했는데 메인보드는 어떤걸 선택할지 고민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구매링크
https://prod.danawa.com/info/?pcode=34336475

본 리뷰는 소정의 원고료를 지원받아 작성되었습니다.


#RYZEN #라이젠 #APU #8600G #내장그래픽 #B650 #A620 #X670 #플래시백 #AM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