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버 초보입니다.

오버에 대해서 이것저것 하다보니 gplops값이 궁금해졌습니다.

 

제가 45배수로 power limit 1 value값을 120으로 주니 PRIME에서 6시간 통과해도 45배수로 잡히던데

linx돌릴때는 CPU-Z에서 39배수로 잡히더군요.

 

그래서 전에 생각났던 것이 power limit 1 value 값을 올려보았더니 CPU-Z에서 45배수로 잡힙니다.

 

 

여기서 질문입니다.

 

1. 위에서 power limit 1 value값을 120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프라임으로 돌릴때는CPU-Z에서 45배수(4.5@)으로 표시가 되던것이 왜 링스로 돌리면 39배로 되는지요?

프로그램을 돌리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45배로 나오며, 프라임을 돌려도 45배입니다. 

그런데 링스에선  power limit 1 value값을 140으로 줘야만  CPU-Z상에  45배수 클럭으로 표시가 되네요.

 

2. 그렇다면 프라임에서 45배가 되더라도 링스에서 45배가 되지 않는다면 실제 게임상에서 낮은 클럭으로 하게 되는 건지요?

링스를 돌릴때 power limit 1 value값을 120일때는 39배수, gplops값은 90대초반이던 것이

power limit 1 value값을 140을 주니 45배수, gplops값은 120대 초반으로 바뀌더군요.

즉, 실제 게임에서 체감하려면(프레임 향상이나 뭐 순간적인 렉이 없다든지 그런것...)

프라임을 돌릴때의 CPU-Z값(power limit 1 value값을 120)의 클럭이 4.5@로 표시가 되더라도

링스를 돌릴때의 CPU-Z값(power limit 1 value값을 140)의 클럭이 4.5@로 표시가 되어야 하는 건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