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기지 설치를 반대해온 강정마을에 또 다시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수도권 전투경찰 수백 명이 배치되면서 4.3사건 당시 제주도에 배치된 토벌대로 표현되는 분위기다.

4.3 당시 피해를 입은 강정마을 주민들은 4.3악몽이 되살아나는 것 아니냐며 '육지경찰‘ 철수를 호소했다.

이는 이미 경기지방경찰청 소속 전투경찰 대원 수백 명과 시위진압용 물대포, 살수차까지 강정마을에 배치된다는 소식을 접했기 때문이다.

강정 마을주민들은 43.사건 당시 육지부 군인과 경찰에 의해 몸서리치는 피해를 입었던 생각을 되살리며 "평화롭게 살고 싶다"고 간절히 호소했다.

4.3사건 당시 아버지를 잃은 강성보씨는 "제발 평화롭게 살게 해 달라"며 간절히 호소했다.

강정마을 주민인 강씨(65)는 "4.3당시 아버지가 영문도 모른 채 목포형무소로 간 뒤 행방불명됐다. 사진 한 장 남아있지 않아 반세기 넘게 이름 석 자 밖에 모르고 살아왔다"며 4.3의 아픈 상처를 되살렸다.

강씨는 "아무리 국책사업이라지만 합법적으로 추진해야 되지 않느냐"며 "4.3의 상처가 아직 아물지 않았는데 강정마을이 국가권력에 의해 유린된다면 씻을 수 없는 역사를 남기게 될 것"이라며 경찰 병력 철수를 호소했다.

특히 "4.3당시 너무 억울하게 당하고 또 당하면……."이라며 말을 잇지 못했다.

15일 수도권 경찰이 숙소로 사용하고 있는 서귀포시 한 호텔 입구에서 강정마을회와 군사기지 반대 범대위는 기자회견을 통해 수도권 경찰을 4.3당시 토벌대로 비유하며 철수를 촉구했다.

이 자리에서 강동균 마을회장은 "63년 전 4,3사건 당시 제주도민을 빨갱이로 몰아 학살을 자행했던 상황과 무엇이 다르냐"며 "보수언론과 보수정당의 인사는 강정주민과 시민운동가를 빨갱이로 몰고 있다"고 지적했다.

강 회장은 "제주 역사의 아픈 기억을 화해와 상생으로 승화해 평화의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제주의 꿈은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며 "우리들은 정부와 해군의 폭력적인 행위에 대해 의연히 맞서겠다"고 말했다.

전투경찰은 오는 18일까지 제주에 머물면서 강정지역 주민과 시민단체 소속 활동가들의 해군기지 예정지내 강제 철거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투입된 병력은 3개 중대 3~400여명에 살수차와 물대포 등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경찰 측은 강정마을 배치를 위해 제주도에 투입된 병력규모에 대해 비밀이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알려줄 수 없다고 말했다.

이미 마을 곳곳에서는 경찰과 주민 사이에 크고 작은 시비가 오가면서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시민단체는 강경한 입장을, 종교계는 미사와 기도회를 준비하고 있어 경찰의 강제 철거 작전이 실행될 경우 충돌이 불가피해 보인다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1887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