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PBE서버에 등장한 신규 핵심특성의 파괴전차의 용기.

[신규파괴전차의 용기 (결의, 6단계-핵심 특성)
"강한 군중 제어기(hard CC)를 적 챔피언에게 적중한 이후 4초 동안 근처의 적 챔피언당 [10 + 레벨당 10 + 내 최대 체력의 7%]의 피해를 흡수하는 보호막을 얻습니다.(쿨다운 30초)"

"Gain a shield for 10+ 10 per level + 7% of your maximum health for each nearby enemy champion for 4 seconds after hitting an enemy champion with hard CC (30 second cooldown)"

효과는 위와 같음.


기본적으로 이 특성은 탑, 정글러, 서포터 위주 볼 수 있으며,


근접 서폿은 원거리 서폿 상대로의 라인전 상성, 와딩 도중 잘림 방지, 등의 목적으로 반드시 들게 될 특성... 이나 브라움의 패시브에 특성 효과가 있는지는 제보바람

(새로나온 아군의 데미지 12%를 대신 받는 아이템으로 인하여 결속은 더더욱 의미가 사라지고 있다.)


정글러의 경우에는 탱정글러가 찍을 특성은 이것밖에 없으며

엘리스와 같은 다이브 위주의 정글러가 자신의 스킬 적중률에 대한 확신이 있다면 찍을 수 있다.





일단 하드 CC가 일반스킬에 존재하는 탑 챔프를 고르면,

나르 노틸러스 다리우스
람머스 레넥톤 렝가
룰루 리븐 리산드라
마오카이 볼리베어 뽀삐
사이온 스웨인
신짜오 신지드 야스오
에코 이렐리아 자르반
자크 잭스 제이스
초가스 케넨
클레드 탐 켄치 트런들
판테온 헤카림

으로 나온다.



그런데, 케넨같은 챔프를 들고 이 특성을 들 수는 없으니, 탱커 or 세미탱이 가능한 챔프만 고르면,

(이렐리아는 보통 선진입시 슬로우가 걸리기 때문에 제외. 렝가는 리메이크 버전을 못만나봐서 제외.)

나르 노틸러스 다리우스
람머스 마오카이 볼리베어
뽀삐 사이온
신지드 에코 자크
잭스(세미탱) 초가스(세미탱) 클레드
탐켄치 트런들 헤카림
신짜오(탱템) 레넥톤 스웨인


이제 위의 챔프들을 하나하나 보면


Gnar(나르)(시너지 : 중)
나르의 하드 CC는 메가나르 상태의 W와 R이 있다.

보통 메가나르와는 라인전을 해주지 않기 때문에, 라인전에서는 전혀 효과를 볼 수 없으나,

메가나르일때만 특성을 터트릴 수 있다는 특징으로 인해 후반에는 의도치 않은 특성 낭비가 적다는 장점을 보여준다.

Nautilus(노틸러스)(시너지 : 중)

Q와 궁 적중시 특성이 발동한다.

아무래도 라인전에서의 Q쿨이 길다보니 우위를 점하고 있지 않을때는 특성이 애매해진다.

한타의 강제 이니시가 강한 챔피언이다보니, 한타에서의 활용도 만큼은 좋다.

Darius(다리우스)(시너지 : 상)

적을 당기면 특성이 발동한다.

강제로 딜교환을 하도록 하는 스킬이다 보니 쉴드와 시너지가 엄청나다.

E 자체가 빗나가기 힘든 스킬이기도 한것이 장점.

Rammus(람머스)(시너지 : 상)

구르기와 도발을 통해 특성이 터진다.

도발을 쓰면 적에게 맞을수밖에 없기 때문에 시너지는 괜찮다.

도발이 없으면 딜교가 거의 안되는 챔프인 람머스인지라, 시너지는 상급.

Renekton(레넥톤)(시너지 : 중상, 열광 추천)

레넥톤의 핵심스킬인 W에 특성이 터진다.

그러나 W이 유일한 CC고 E가 애매해서 후반에 아무리 단단해도 고기방패인 레넥은

분노상태면 한번에 6스택이 쌓이는 열광이나 들고 딜하는게 더 나을 수 있다.

Maokai(마오카이)(시너지 : 최상)

근접한 적을 Q로 밀치면 특성이 발동된다.

라인전에서 적이 근접해서 딜교할때 Q로 튕겨낼때 특성이 터진다.

수비적인 라인전을 해야 하는 마오카이에게 특성이 Q로 터진다는 점은 그야말로 꿀.

Volibear(볼리베어)(시너지 : 중)

딜교의 시작을 여는 Q에 의해 특성이 터진다.

근데 보통 볼베와의 라인전은 Q를 맞고나면 도망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라인전에서 효과를 보긴 힘들다

한타에서도 뚜벅거리다가 Q 못넘길때가 있어서 시너지가 마냥 좋지 못할 것.

Poppy(뽀삐)(시너지 : 중상)

W, E와 궁으로 특성이 터진다.

라인전에서는 E를 쓰면 적 미니언 한가운데로 박혀들어가고, 도주중에는 E를 쓰면 자살행위인 경우가 많아 애매할 수 있다.

다만, W으로 적 이동기를 막아서 발동하거나, 한타 이니시와 동시에 발동하거나 등 생각보다 좋은 상황들이 있다.

Sion(사이온)(시너지 : 중)

Q와 궁으로 특성이 터진다.

그러나, Q 궁은 모두 적중이 매우 힘들다.

Q효과를 보겠다고 탱커한테 Q쓰는 미친짓을 하진 말자.

Shen(쉔)(시너지 : 중상)

도발에 특성이 터진다.

도발을 맞추면 원래 좋고, 못맞추면 원래 망하는 챔프라 마냥 좋다고 하긴 애매하나

패시브와 함께, 도발 이후 들어오는 원딜의 극딜을 막아낼 수 있다.

Swain(스웨인)(시너지 : X)

속박은 하드 CC가 아니라고 한다..

Singed(신지드)(시너지 : ??)

챔프 자체가 워낙에 장인챔이다 보니 시너지 등급은 스킵.

E에 특성이 발동하기 때문에, E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인가가 관건이다.

Xin Zhao(신 짜오)(시너지 : 중)

Q 3타와 궁으로 발동된다.

E진입후 Q 3타 성공시 패시브가 발동하지만, 적이 마냥 띄워져 줄 가능성은 적다.

다만, 후반의 E-R로 이어지는 콤보로 방어/마저 증가와 쉴드를 동시에 받으면 이니시가 아름다울 것이다.

Ekko(에코)(시너지 : 하)

W으로 터진다.

W 자체의 스턴시간이 길기도 하며, W 자체 쉴드도 있고

무엇보다 W을 맞추는 난이도가 높아 시너지는 별로일 것이다.

Zac(자크)(시너지 : 상)

E와 R을 통해 터진다.

라인전에서 적이 걸은 딜교를 한번 튕겨내는 용도의 '0초 충전 E'와 궁합이 좋다.

한타에서는 R을 쓰고 갖다 대기만하면 터지기 때문에, 시너지가 좋다.

Jax(잭스)(시너지 : 상)

E를 통해 터진다.

E의 적중이 워낙 쉬운편이기 때문에, 터트리기 좋으며, 평타무시 -> 쉴드로 이어지는 콤보 자체가 엄청난 탱킹력을 보장해준다.

상황에 따라 궁을 조금 늦게 써도 되게 해주는 좋은 시너지.

다만, 리멬된 열광이 더 좋냐 이 특성이 더 좋냐는 나와봐야 암.

Cho'Gath(초가스)(시너지: 하)

Q를 통해 터진다.

상당히 맞추기 까다로운 CC기이므로 효과를 받는 난이도가 매우 높다.

Kled(클레드)(시너지 : 중, 열광추천)

Q를 맞추고 2초동안 거리를 유지할 경우 터지고, 궁에 넉백이 있어 궁에도 터진다.

다만 궁을 통한 넉백으로 쉴드를 받아도 궁 자체 쉴드가 있기 때문에 효과가 약간 떨어질 수 있으며,

챔프 자체가 열광과의 시너지가 좋기 때문에 열광을 쓰는것을 추천한다.

Tahm Kench(탐 켄치)(시너지 : 중하)

3타 이후의 Q,W을 통해 터진다.

3대를 떄려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매우 까다롭기도 하고,

Q로 스턴을 넣고 W으로 적을 먹는 라인전 딜 사이클 과정에서 CC시간이 3.5초라서

4초밖에 안되는 이 특성의 쉴드는 의미없이 사라질 가능성이 있어서 계륵

Trundle(트런들)(시너지 : 중)

적의 바로 아래에 기둥을 세울경우 터진다.

발동 조건은 쉬우나, 트런들의 한타방식은 기둥을 세우고 걸어가서 싸우는 것이기 때문에

쉴드가 다소 의미없을 가능성이 크다.

Hecarim(헤카림)(시너지 : 중상)

E와 R을 통해 패시브가 터진다.

E와 R을 사용했다는것 자체가 진입을 했단 뜻이기 때문에 시너지는 좋으나,

도주 도중에 E를 적에게 사용하는것이 자살행위이기 때문에, 헤카림의 약한 라인전에 보탬이 되지는 않을 것이다.




-결론

착취의 연속된 너프로인해 착취가 구려진 시점에서 위의 챔프들 중 시너지가 '중상' 이상이면 이 특성을 들 가능성이 높지만,

초반 라인전에 생각보다 도움이 되지 않는 챔프들이 많으니 주의해가면서 들으면 될 듯하다.

과연 이 특성으로 라인전 버티기와 한타의 탱킹력이 강력해진 마오카이가 부활할지가 관건이며

일단 중후반으로 들어서면 이 특성의 효과는 1티어라고 확신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