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부터 롤 시작하면서 만렙(30)아이디만 4개 찍으며 아이디당 일반게임 200게임씩 총 800 게임정도 했는디요  1-15 아이디 레벨당 신규유저는 간혹 보이는 반면에 15 -18레벨 정도( 최종 특성 찍기 전 단계) 부터 거의 다 부케끼리 게임 하는걸 보면서 이 타이밍 부터 신규 유저가 흥미를 잃는다는걸 체감상 느낍니다 (사실 내가 이 타이밍이 노잼). 저도 1년전 인벤에 들어와서 눈팅했지만 입문유저들을 위한 글이 턱없이 부족해서 롤 생 기초만 신규 유저 타겟으로 써봅니당..




1] 기초 상식

롤에서는 우리 넥서스에서 상대 넥서스를 깨러 가는 방향이 총 3가지가 있습니다. 그리고 암묵적으로 1가지가있습니다.
3가지 길에서는 상대진영 미니언과 우리 진영 미니언이 대치를 하며 여기서 우리 혹은 상대 미니언이 한마리씩만 차이가 생기더라도 미니언끼리 1t(t는 시간)의 격차가 생기게되어 대치 지점이 점점 미니언이 적은 진영으로 밀립니다.
그래서 보통 세 라인(길)을 윗 순서대로 탑,미드,바텀이라고 명시하고
탑은 1명 미드도 1명 바텀은 2명의 유저들이 역할을 맡습니다.

1-1 탑

앞서 설명 드리지 않은 암묵적인 한 개의 포지션은 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몹들을 먹으며 성장하는 '정글러' 입니다.
솔로, 즉 한명의 유저가 책임지는 라인은 탑과 미드가 있습니다.
탑 라인이 2의 길이라면 미드라인은 대략 1.414의 길이로 포탑과 포탑사이의 길이도 이와 비례합니다.
미니언의 막타를 먹게 되면 자신에게 약간의 골드가 들어오게 되며 상대를 처치할 시에도 조금 더 많은 골드가 들어오게됩니다.
탑라인과 바텀라인은 라인 길이 때문에 미니언이 오는 시간이 길어져서 미드라인보다 정해진 시간 내에 맞닥드리는 미니언 수가 적어 골드 수급이 적게 됩니다.
위의 이유, 포탑 사이 거리가 멀어서 정글러가 도중 개입할시 상대에게 데미지를 입힐 시간이 많아져 탑라인은 정글이 개입할 시 가장 많이 이득을 잃고 취하기 쉬운 라인입니다.
결국 챔피언 같은 경우에는 탱탱한 챔피언을 가서 초반 라인전 단계의 손실을 적게 볼 수 있고 후반 한타(일정 시간이 지난 후 5:5의 싸움) 때 상대 딜러진의 스킬을 빼며 제어기(cc)를 넣고 상대진영 붕괴나 딜러진을 먼저 빠르게 물 수있는 이니시에이터를 선호하게 됩니다.
만약 본인이 스킬 사용 부담이 덜 하고 잘 죽지 않은 챔피언, 이니시를 걸어서 먼저 한타를 유도 하는 챔피언, 상대 딜러진에게 cc기로 딜로스를 유발시켜 우리팀 딜러진이 편하게 딜을 넣을 수 있도록 하는 챔피언을 원할 경우 탑라인을 선택하는게 좋습니다.
하지만 cs 미니언 막타를 때리는데 자신이 없거나 상대 정글러 혹은 아군 정글러 개입 파악을 못 할 시에는 탑라인을 선택하는건 좋지못하며 탑라인도 제이스같이 라인전 때 이득을 봐야하며 딜이 쎈 챔피언이 존재 하지만 탱챔피언을 선택할 경우 흥미가 개인차에 따라 다소 떨어질 수 있으며
탑 라인에서 뛸 때 효율 적인 챔피언 워낙 많아 초반 게임할 시 같이 라인전에 맞서며 챔피언 성능을 분석할 수 있지만, 그런 이점에 반대로 전혀 모르는 챔피언과 맞서 상대 파악이 안되 어이없게 죽는 경우도 여럿 발생합니다.

추천 챔피언: 뽀삐 판테온


1-2 정글

라인에서 상대 미니언이 죽을 때 경험치가 들어오지만 n분의 1 형식 분배로 우리팀 아군이 많을시 받는 경험치가 떨어지며 이 때문에 팀 내 유저 중 한명은 정글러의 포지션을 맡습니다.
미드라인 보다 경험치나 골드 수급이 떨어질 수 있지만 라이너들보다 정글몹을 잡는 중간중간에 블루,레드 몹 같은 일정시간 버프를 부여하는 몹을 잡아 챔피언 성능이 잠시 강해지며 이를 이용해 다른 라인에 개입하여 상대 챔피언을 죽인다던지, 포탑을 민다던지 해서 이득을 챙길 수 있습니다.
정글 포지션같은 경우 딱히 우리 미니언이 상대 미니언을 때려서 cs를 놓친다던지, 상대 라이너와 같이 라인전을 하지 않아 심리적으로 부담이 덜합니다.
하지만  상대 정글러의 갱(정글러가 라인전 도중 참여)과 카정(우리진영에 가까운 정글몹 사냥해 경험치 손실과 골드 손실을 유도하는 행위)을 무시할 수 없으며 정글같은 경우는 정글몹을 먹기위해 최소 동선으로 빠르게 움직여야 하며 용과 바론 바위게를 먼저 먹기 위해 일정 시간대에는 어쩔 수 없이 만나 소규모 싸움을 벌여야 한다는점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정글러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게임을 보는 능력이 좋아야하며, 챔피언을 다루는 파일럿의 손이 타며 보통은 기동력이 좋고 딜이 강력해 소규모 싸움이나 갱 카정에 유리한 '육식정글러' , 자체 회복이나 보호막 혹은 탱탱하며 군중 제어기가 있는 '초식정글러'로 유저들 사이에서는 나뉘고 있으며
입문자분들은 보통 cs에 자신이 없으며 소규모 싸움에 감이 있으신 분들이 정글러를 많이 선택하며, 컨트롤이 되시는 분들은 성장,육식형 정글러를 많이 하지만 입문자분들에게는 크게 추천드리지는 않습니다.

추천 챔피언: 아무무 신 짜오





1-3 미드

솔로 라인 중 미니언이 오가는 시간이 가장 짧아 cs수급을 많이 할 수 있으며 포탑 사이 거리가 짧아 갱 회피가 쉬움과 동시에 양 옆으로 부쉬가 있어 갱 루트가 다른 라인 보다 다채로워서 반응하기 쉽지 않아 상대 정글러의 동선도 수시로 파악해주어야하며 초반 정글끼리 소규모 싸움이 일어났을 때의 위치가 일반적으로 미드가 가까워 잦게 소규모 싸움에 합류합니다.
이 때문에 상대 미니언을 먼저 죽여서 경험치와 골드를 미리 수급하며 소규모 싸움 합류 하는 것이 이득인지라 '라인 클리어'능력이 좋은 챔피언을 우선시 합니다.
또한 팀내에서 성장속도와 골드 수급이 좋아 이것은 동시간대에 가장 템이 잘나오고 쎄다는 걸 말해주는데
라인클리어를 하고 다음 상대 미니언이 오는시간에 다른 라인에 개입(로밍)합니다.
미니언끼리 만나는 시간이 빨라 cs수급이 좋아야하며 이와 동시에 좋은 딜링을 기반으로 상대에게 딜을 퍼붓거나 수시로 상대 정글 동선 파악과 동시에 소규모 싸움을 해줘야해 사실상 팀내에서 피지컬이 제일 좋은 유저가 미드 라인을 섭니다.
입문자분들은 딜 넣는 방법을 배우기에는 가장 좋은 라인이지만 미드의 실력차는 제일 먼저 팀의 승패와 연관 지어져서 피지컬에 자신 없으신분들은 추천드리지않습니다.
챔피언은 라인클리어를 위해 주로 ap(마법;주문력)의 광역딜 스킬을 보유한 스킬딜 위주의 챔피언을 많이 선택하며 광역딜링이 좋으면 ad(공격력) 챔피언도 갑니다.

추천 챔피언: 애니, 모르가나




1-4 바텀 라인



바텀 라인은 용(드래곤) 때문에 정글러들 끼리 초반 소규모 싸움이 필연적으로 일어나며 이를 수적으로 우세를 위해 초반 영향력이 덜한 탱킹 위주의 챔피언을 탑라인으로 보내고 원거리 ad위주의 챔피언을 선택해 플레이해 cs수급과 바텀 라인의 딜러 역할을 맡는 원딜(지속 딜링이 미드라인의 ap챔피언들보다 좋으며 타워포탑 철거와 바론,용사냥에도 우위)과  원딜의 후반 지속 딜링을 위해 원딜이 갱에 당하거나 상대 원딜에게 cc를 깔고 보좌하기위한 '서포터' 포지션이있습니다.

원딜 같은 경우에는 핵심아이템 2개가 뽑히기 전까진 생존을 우선시 해야하며 만약 반대로 원딜이 이전까지 잘커서 핵심아이템2개가 나오는 시간을 당겼다면 그 판은 원딜 게임이 될 정도로 잠재력 높은 포지션입니다.
이때문에 바텀라인은 원딜에게 cs를 몰아주게 되며 상대팀 미드 정글 바텀 라인의 유저들은 끊임없이 우리팀 원딜을 노리게 됩니다.
원딜은 보통 평타위주의 챔피언이 많으며 탱킹이 전혀되지않습니다. 미드와 마찬가지로 컨트롤에 자신이 있거나 딜 넣는 연습을 할 때 입문자들에게 추천합니다

추천 챔피언: 애쉬 이즈리얼


서폿 포지션 같은경우에는 기본적으로 후반 캐리력이 높은 원딜들을 지키거나 상대 원딜을 물거나 하는식의 라인전을 진행하게 되며 cs 부담이 없어서 입문자들에게 추천하는 포지션입니다.
주로 cc기 혹은 치유 및 보호막 스킬이 있는 챔피언을 많이 선택하게됩니다.
특이점이라면 초반 cs 수급이 없어 다른 라이너들 보다 골드 수급이 적지만 이걸 골드 수급 아이템으로 대신하며,
기본적으로 시야석을 구매해 상대 정글의 주 동선이나 라인전 시 부쉬에 시야를 밝혀주어 상대 갱을 사전 방지하거나 그 전에 즉각 상대 정글 동선을 미니맵을 통해 우리팀 아군과 공유해 카정과 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역으로 우리팀 정글러의 카정과 갱을 수월하게 해줄 수 있습니다.
정글러와 같이 맵을 보고 게임 흐름을 이해하는 능력이 중요시 되며 입문자들에게는 딜링 위주의 서포터든 보조 위주든 탱킹 위주든 여러가지를 배울 수 있어서 추천하는 포지션입니다.

추천 챔피언: 소라카 모르가나 블리츠크랭크





2] 30레벨 까지의 과정


3렙 때 일반 게임을 할 수 있으며 그전에는 봇ai전을 하게되지만 천천히 여럿 챔피언 해가시면서 스킬과 포지션을 간략하게 익히시고 '중급 봇전 10킬 이상' 찍으시면 일반 게임해도 크게 피지컬 부분에선 뒤쳐지진 않으실겁니다.
그렇게 5렙 정도가 되면 마법공학상자가 지급이 되며 애쉬, 가렌 챔피언 파편과 로빈훗 애쉬or 핏빛 가렌 스킨 파편 주황 정수 800개와 랜덤 975rp 스킨 파편 하나와 와드 스킨 파편 한개가 지급됩니다. 이 때 장기적으로 볼 때 상점에서 1700ip 의 챔피언파편을 사서 가렌 애쉬와 재조합하면 거의 3150ip 이상의 온전한 챔피언이 나와 이득이지만 아닐 경우도 있으므로 참고만 해두시고, 만약 하기 싫으시다면
자신을 발랐던(압도했던) 챔피언 위주로 구매를 하시면서 싼 챔피언과 난이도가 낮은 챔피언 위주로 구매를 하셔서 게임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1-10까지는 레벨업에 따라 스펠(소환사 주문)이 풀리게 되는데 라인별로 탑(텔레포트 점멸) 미드 (? 점멸) 정글(강타 점멸) 원딜( 회복 점멸) 서폿( 탈진 점멸) 을 보통 들게 되며 10렙전까진 강타가 들어 오지않아 정글 없이 탑라인에 2명이서 플레이하게 됩니다.
이후 12렙 부터 '특성'관리를 해주시며 보통은 사용하는 챔피언 따라 정석적으로 고정된 특성을 찍지만 약간 자유롭게 선택되며 op.gg 같은 사이트에 통계가 나와있습니다.
18렙에 핵심 특성을 찍게 되며 챔피언의 스킬셋과 역할에 따라 고정 되어있고 20렙이 되면 보통 '룬' 이란걸 맞추게되 챔피언에만 들어갔던 ip가 룬 살 돈 까지 추가되 모자라게 되지만 20 이후부터 챔피언 대신 룬사는데 투자하시면 됩니다.

사실상 30렙 찍기 까지 일반겜 200판 평균 30분치면 100시간 정도 걸리지만 이게 싫으시면 경험치부스터를 rp들이며 사용해서 빠르게 레벨업 하실 수 있지만 입문자분들에게는 추천하지않습니다.
만렙이 되고 난 후 보유 챔피언이 16개 이상이어야만 랭크게임을 진행할 수 있으며 pc방에서는 만렙만 되시면 제한없이 랭크 게임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앞서 드린 말처럼 신규유저를 위한 글이 없는 것 같아서 글 올립니다 즐 롤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