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픽밴부터
밴의 중요도부터 시작하자면

현재 msi에서는 원딜>정글>미드=탑>서폿
예외적으로 프나틱의 Yellowstar선수를 저격한 노틸, 애니 밴이 있었으나
그것은 skt내에서 Yellowstar선수가 공격적인(이니시에이팅이 가능한) 서포터를 제외하면
나머지 서포터챔피언에 대한 빈틈이 나올 것으로 예상한 결과일 수도 있음. 

원딜은 칼리스타가 아주 중점적으로 밴이 될거라고 예상됨. 
양쪽 팀 원딜러들이 자신있어하는 밴이며 캐리력도 좋고 라인전도 강력함.

결국 칼리스타를 중점으로 픽밴이 이루어 질 수 밖에없는데 짧게 요약하면
칼리가 풀렸을때의 대처방안임. 
먼저 SKT는 마오카이와 우르곳 + 노틸러스나 애니로 대응할거라고 생각됨. 
EDG의 경우에도 거의 비슷하지만 마오카이를 쓸지는 모르겠고 원딜은 징크스를 할 가능성도 있음

칼리가 밴됬을때 양상은
먼저 칼리만 밴되는 경우에는 양팀모두 우르곳 선픽을 하는것을 자주 볼수 있었음 
상대가 우르곳이면 시비르를 가져가는 모습도 많이 나옴. 
뱅은 이즈리얼과 코르키, 루시안을 꺼냈었고
데프트는 중국리그내에서 징크스를 굉장히 애용하는 모습을 보여줌

그외 가끔 칼리 우르곳 징크스를 모조리 밴하는 경우도 msi에서 심심치 않게보였는데
두 팀에서 과연 그런 선택을 할지는 미지수임
여기에는 2가지 이유가 있는데
일단 첫번째로는 양 팀의 원딜러가 이 셋말고도 챔프풀이 넓다는점임.
이 이유 때문에 아예 원딜밴이 안 이루어질수 도 있다고 봄
특히 EDG에서 원딜밴을 안할 수도 있음
이게 두번째 이유와 연결되는데
두번째 이유는 다른 라인 밴이 훨씬 효율적일 수 있다는 것임
클리어러브도 알고 인벤러들도 알다시피 뱅기의 챔프폭은 사실 한정적임
이때문에 렉사이 누누를 밴할 가능성이 높고
아마 시범삼아 첫번째나 두번째에 정글밴을 안할 수도 있음 
클리어러브가 자신이 정글러로서 우위에 있다고 생각해서 뭘주든 상관없다 생각하고
풀었는데 그 경기를 이긴다면 SKT는 상대적으로 밴픽에서 고전하게 될 듯
그렇게되면 탑과 미드 밴인데 
탑은 마오카이를 주는게 굉장히 껄끄러워할거 같음 마린의 마오카이는 롤챔스에서도 증명된 필승카드고
미드의 경우 아지르, 카시가 밴될 확률이 높아보임 룰루도 주목해야됨. 
EDG가 룰루를 기반으로한 뱅윤발 전략에 대처할 자신감과 실력이되는지 중요함 이게 힘들다 싶으면
룰루를 아예 고정밴으로 할 수도 있다고 봄. 룰루 하나로 SKT의 전략 하나를 막으므로 매우 이득임

SKT의 경우 반대로 르블랑을 밴할수도 있다고봄. 
SKT가 준결승에서 르블랑이 풀렸음에도 선픽을 가져가지 않는 모습을 볼 수 있었음
이게 만약 준비된 밴픽전략이라면 우리는 페블랑을 한경기정도 볼 수도 있을듯
만약 그게아니라면 폰에게 르블랑 주는거를 매우 싫어할듯 
그외에 세주아니나 그라가스를 밴 할 확률도 높고 칼리스타에 쓰레쉬 밴이 나올수도있음
쓰레쉬는 메이코선수가 매우 잘다루며 울프가 준결승에서 쓰레쉬 상태가 많이 안좋아서
가져올수도 없으니 밴할 가능성이 있음. 상대 탑을 저격한 밴은 헤카림을 하거나 안할듯 
마린은 예선에서 상대탑에게 별다른 부담감을 안느꼈고 그게 이어질듯 함. 
그렇다고 미드밴을 하자니 폰이 챔프폭이 너무 넓어서 의미가 있을까 싶음 

2줄요약하자면
SKT의 밴은 르블랑, 칼리, 세주아니, 그라가스, 쓰레쉬, 노틸 
EDG의 밴은 렉사이, 누누, 칼리, 룰루, 마오카이, 아지르, 카시오페아 
로 예상됨

여기까진 당연한 얘기들이였고 

이제부터 경기 양상에 대해서 예상해보면
먼저 SKT의 여러가지 전략이 있지만 공통적인 전략은 항상 같음

1. 미드라인의 우위를 가진 라인푸시
이는 페이커가 등판했을때 주로 나오는 부분이나 이지훈의 아지르도 비슷하게 플레이가능함
이것으로 얻는 SKT의 장점은 적의 초점을 미드로 맞추므로인해서 다른라인이 비교적으로 편하게 플레이 가능하며
(특히 탑) 주도권을 바탕으로한 정글에서의 시야 우위, 소규모 국지전에서의 빠른 합류를 들 수 있음 
단점으로는 미드가 갱킹에 취약해진다는 것임

만약 적 정글이 탑이나 바텀을 판다면 미드를 그냥 압도적으로 몰아부치며 cs차이를 통한 성장차이를 벌려서
캐리를 해내는 식의 전략임 실제로 이런경우 때문에 역전이 나온경기도 많았음. 
다만 이건 미드라이너의 역량에 완전히 기댄 팀전략이므로 폰을 상대로 가능할지 의문이 들긴함.

2. 정글러가 탑에 거의 갱을 가지 않음
이게 1과 맞물리는 전략인데 미드를 하드푸시하므로 적정글이 탑에 갈 여유를 제한함 또는 탑을 가면 
뱅기는 거의 탑쪽에 머무를 일이 없으므로 미드 주도권을 가진 미드라이너와 용을 가는 경우가 많음
만약 탑에서 갱킹으로 잡힌다고해도 용을 얻으므로 운영상 이득을 가져갈수있음
다만 이 전략에 단점이 msi에서 많이 드러났는데 탑이 지속적인 갱킹으로 완전히 주도권이 넘어가면
마린의 캐리력이 매우 약해짐과 동시에 라인관리도 힘들어지며 한타도 어려워짐 
심지어 그 이후로부터는 적의 정글도 탑을 갈 필요가 없어지므로 이후의 용을 얻기도 힘들어짐

이게 SKT가 보인 공통적인 전략이며 어떤 조합을 가더라도 비슷한 운영을 보였음. 
다만 라인 스왑시에만 이 전략이 많이 변화되긴함. 

SKT가 이 전략을 들고 온다면 EDG의 대처방안은 다음과 같음
1. 탑을 공략한다.
마린이 갱을 당하는 장면을 그동안 msi내내 많이 봤을거임. 이건 갱을 성공한다는 하에 꽤나 
유효한 전략임. 다만 실패할 경우 SKT에게 용을 공짜로 준다는 큰 리스크가 있긴함. 
그리고 롤챔스 결승에서 본바로는 심지어 마린이 갱을 당하고도 라인을 강하게 리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경우가 있음 이게 나르와 마오카이를 잡았을때임. 따라서 EDG는 마오카이를 밴하고 
나르를 이렐리아로 카운터칠 생각도 하고있을듯
럼블의 경우 갱으로인해 한번 당하면 이후에 복구가 쉽지않고 이 경우 미드라이너가 탑에서 파밍하고
원딜이 미드로 마린이 바텀으로 가는 식으로 돌리는 모습을 보여주었음.

2. 미드를 공략한다.
이건 상식적으로 미드를 공략하는게 교과서적인 답변임. 만약 갱을 성공한다면
용을 가져갈수도 있고 미드 1차타워만해도 어마어마한 이득임. 다만 상대가 페이커나 이지훈이라는 것이고
항상 주변엔 뱅기가 있을수 있다는게 문제임. 
페이커+이지훈을 상대로 킬을 따낸다는건 쉽지않음. 심지어 그렇게해서 성공한다고 해도
미친듯한 복구력을 지닌 두명이라 게임이 어떻게 될지 쉽게 예측이 불가능함. 

3. 바텀을 공략한다.
이 경우가 가장 게임을 터트릴 수 있는 전략임. 다만 리스크도 그만큼 굉장히 큼
실제로 프나틱이 SKT의 바텀을 여러번 공략하므로써 초반에 꽤나 좋은 시작을 한 경기가 많음
반대로 실패 했을때는 거의 졌음. 
하지만 개인적은 의견으론 EDG의 클리어러브와 바텀라인이 자신감을 많이 가지고 있으므로
아마 경기 양상은 이 패턴이 될거라고봄. 
바텀갱으로 시작해서 소규모, 대규모 한타가 펑펑 터질거고 이 교전에서 이득을 본 
팀이 게임을 가져갈 확률이 높음.

라인별 양상은
먼저 탑은 마린의 우위를 주고 싶음. 비록 오늘 경기력이 마오카이를 제외하곤 썩좋지 못했지만
예선전에서의 모습도 있고, 정글 개입이 많지 않다는 가정하에는 마린이 어느것을 가져가든 우위를 가져갈듯

미드는 정말 모르겠으나 폰이 최근 라인을 찍어누르는 픽을 많이 하지는 않는 것같음. 따라서 
SKT에서 미드를 먼저 푸시하면서 미드 주도권을 가져갈거라고 예상되긴함
하지만 폰이 cs 차이가 벌어지면서 압도적으로 밀릴 것 같지는 않음.

바텀은 EDG의 손을 들어주고 싶음. 물론 최근 뱅의 캐리력과 라인전 모두가 정점을 찍은건 맞긴함
다만 울프의 컨디션이 오늘 매우 좋지 않았고, 반면 EDG의 바텀은 매우 상태가 좋고 
1일차나 2일차나 3일차 내내 고른 경기력을 보여주었음. 

EDG는 이걸 통해서 바텀의 우위를 통한 정글역갱이나 오브젝트 컨트롤, 서포터의 로밍
같은 운영을 할 거라고 예상됨. 

승패 예상은
솔직히 60%정도는 EDG라고 생각하나
만약에 감춰둔 패가 페이커의 르블랑이라던가 뱅기의 새로운 정글챔으라면
3:1이나 3:0의 경기가 나와도 이상할건 없다고 생각함.
뱅기가 만약에 누누, 렉사이 밴을 먹고 무력한 모습을 보여준다면
SKT가 승리하긴 힘들것임

물론 뱅기가 양손을 쓴다면 얘기는 다름
뱅기가 양손을 쓴다는 가정하에
3:0은 확실하며 클리어러브는 4버프 컨트롤을 당한뒤 롤계를 은퇴하게 될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