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얼마나 정석적이고 클래식한 플레이로 SKT를 성공적으로 공략했는지,

그리고 SKT는 얼마나 다양하고 숙련된 전략으로 그런 삼성에게서 새 역사를 써냈는지인듯.

이 특징은 원사이드하게 끝난 2,4 경기가 아닌 1,3경기에서 특히 두드러짐.

SKT를 매섭게 몰아붙인 삼성의 원동력은 오브젝트를 기반으로 한 정석적인 운영임.

1경기에서도 삼성은 꾸준히 용버프를 획득하여 초반에 무너지는듯 했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SKT에게 위협을 줬는데

이 특징이 두드러지는 3경기에선 SKT가 만골드차이로 유리한 상황에도 삼성이 용 4개를 먹었지만 

SKT는 용을 먹지 않은것으로 확인이 가능함

모두가 이미 무너졌다고 생각한 삼성에 룰러의 수퍼 플레이로 기회가 왔을때 

이 용들이 삼성 대역전극에 끼친 지대한 영향력은 말 할 필요도 없음.


그에 비해 SKT는 트렌드에 맞게 비교적 중요도가 떨어진 용을 대신하여

소규모 교전을 계속 계속 유도하여 상대를 위축들게 하고 스노우 볼을 만들고

그동안 자신들은 착실하게 성장하여 그 스노우 볼을 키우는 전략이었는데,

이 예시는 1경기 뱅기의 올라프임

더 정글의 올라프는 상대 정글을 내 정글인마냥 움직이며 끊임없이 교전을 유도하고 합류전을 시도했음

울프의 나미가 이 부분에 포인트였는데 이 소수교전에 빠른 합류를 함으로써 소수교전에서 이득을 톡톡히 봄

그리고 이 교전에서 얻은 이득은 듀크의 트런들이 묵묵히 스플릿을 하며 운영을 통해 계속해서 키워나갔는데

이것을 극대화시키려고 한 시도는 4경기의  블랭크의 자크임,

다이브에 강한 자크가 계속해서 다이브를 시도하며 교전을 열어 이득을 취하고

이때 얻은 이득을 듀크의 나르가 스플릿을 통해 스노우 볼을 굴리려고 했었음, 헌데 결과가 그렇게 좋지 않았지

삼성은 SKT가 준비해온 난전을 통한 스노우볼 굴리는 전략을 정석적인 오브젝트 기반을 한 운영 전략으로 극복해냄


여기서 SKT가 리얼 강팀이 될 수밖에 없는 부분이 나오는데,

5경기에서 삼성이 여태보여준 한 오브젝트 위주의 정석 플레이를 더 정글의 리신을 통해 거꾸로 자신들이 실행해버림.

SKT가 이득을 얻고 기회를 만들때마다 용을 챙기고 안정적으로 플레이하여

소규모 교전에서 승리하여 스노우 볼을 굴려야 할 삼성이 기회가 와도 취할 이득이 딱히 없는 상황을 만듬

이를 통해 후반으로 가면 갈수록 챔피언 특성차이로 인해 저절로 SKT가 이기는 그림이 되고

SKT가 빅토르의 강한 화력을 기반으로 게임을 승리했음.


개인적으로 요새 매 게임이 너무 획일화 됐다고 생각했음.

아무래도 선수들이 매번 플레이 하는 스타일이 다들 비슷비슷해지고,

비등비등한 게임이 한순간에 터지며 그대로 게임이 끝나서 그냥 롤은 개인기량차이구나 하고 생각했음

그런데 자신의 전략을 기반으로 자신의 한계까지 밀어붙인 삼성과

그 삼성이 시도한것조차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서 대업을 달성하는 SKT를 보면서

팀간의 컬러, 그리고 운영차이라는게 이런것일지도 모르겠다 라는 생각을 하게됐음

락스-스크전이 넘나 대단한 경기들이어서 그 이외에 그만한 경기가 앞으로 몇년안에는 가능할까 싶었는데

삼성이 그 이상의 경기력을 결승전이라는 무대에서 보여준 것 같아서 삼성팬으로써 넘나넘나 가슴이 벅차고 기쁨 

고생하신 삼성팀원분들 준우승 너무너무 축하드립니다. 고생 많으셨어요

그리고 우승하신 SKT 팀원분들, 팬분들 우승 축하드립니다. 고생 많으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