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이 글을 쓰는 목적은 밸런스가 조금이라도 나아지기를 바라는 선량한 롤 유저의 마음으로 작성했습니다. 결코 분란을 만들기 위해서가 아닙니다.
 

 존댓말로 쓰면 지루할 것 같아서 반말로 작성했으니 이 점도 양해 부탁드립니다.

 

-----------------------------------------------------------

 

 요즘 게시판을 살펴보면 원딜러의 암흑기다 정글러, 암살자들이 너무 강하다.’ 라는 식의 게시글이 상당히 많이 보임

 

 

 필자도 몇몇 원딜들이 예전보다 게임에 미치는 영향력이 줄었다는 점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공감하지만 결코 원딜이 쓰레기가 됐다거나 캐리력이 크게 떨어진 것은 절대 아니라고 생각함

 

 그렇다면 왜 끊임없이 불평불만이 나올까? 그 이유는 신 챔프들의 유틸성 강화에 의한 원딜의 플레이 난이도 상향에 있다고 생각함


 무슨 말인가 하면 현 메타에 탈론, 렝가, 카직스, 카밀, 르블랑 등 대체적으로 리메이크나 최근 출신 된 챔피언들은 유틸성이 굉장히 뛰어남, 웃긴 점은 라이엇은 암살자 패치를 할 때 리스크를 동반하는 암살, 상대방이 대처할 수 있는 암살 등을 말하면서도 제대로 지키질 못함.


 예를 들어 카밀을 볼까? 군중 제어 스킬은 물론이고 뛰어난 이동기 궁의 유틸성까지 보유하고 있음, 요즘 핫한 탈론? 벽을 넘어서 빠른 로밍은 물론이고 진입 후 탈출까지 용이해짐. 렝가? 카직스? 더 말하지 않더라도 이 챔프들의 유틸성이 상향 됐다는 점에서는 이견이 없을 거임,


 게다가 밤의 끝자락, 요우무, 드락사르 등의 템은 방관 상향의 데미지 증가와 더불어 유틸성까지 더욱 강화시켜주는 결과를 초래함, 가끔 여기서 원딜러들도 저 템을 사면 되잖아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지금 수장된 원딜들은 평타 기반의 챔프들로 공격력, 공속, 치명타를 고루 갖춰 평타 강화에 신경 써야지 제 몫을 할 수 있는 챔프들임


 애초에 바텀에 원딜과 서폿이 같이 갔던 이유는 원딜이 약해서라기보다는 평타 기반인 원딜은 레벨링보다 코어 개수에 따라 딜이 결정되기 때문임 즉 안정적인 cs수급이 목표였던 거지.


 결과적으로 원딜이 약해졌다기 보다는 다른 챔프들이 원딜을 공략하기가 쉬어졌고 평타를 통한 지속적인 딜링을 넣는 원딜들은 그만큼 신경 쓸게 많아진 거다.


 그렇다면 이 점을 어떻게 해결해야하냐?

 그건 라이엇이 얼마 전 시행한 몰왕검 상향처럼 평타기반 챔피언들이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들의 상향, 추가 혹은 유틸성이 지나치게 뛰어난 챔프들의 딜을 낮추고 쿨타임을 늘리는 등의 리스크를 줘야한다고 생각한다.

 

 

여기까지 긴 글 읽어줘서 고맙다. 칼럼이니 지극히 공격적인 비방은 삼가주길 바란다.

--------------------------------------------------

 

 

여담으로 나는 다음번에는 리스크에 대한 칼럼을 쓰려고 한다.

이게 굉장히 중요하다가 생각하기 때문이다.

지금 초식 정글러들이 쓰이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 초반 정글링의 어려움 뿐만 아니라 주도권 싸움, 2:2 싸움에서 손해를 볼 수 밖에 없는 구조와 엄청난 궁 의존도에 있다. 강력한 cc를 보유함에도 리스크가 너무 크기 때문에 쓰이지 않는 것이다. 반면에 요즘 나오는 챔프들은? 위에서 언급했던 내용처럼 리스크가 적다.

 

여기까지가 맛보기용이다. 호응 좋으면 다음 칼럼도 작성해볼게…….

참고로 필자는 마스터 티어다. 자랑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