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요약)

- 1코어 요우무/벼폭검
- 2코어 징수/폭갈
- 3코어 크라켄/고연포
- 4코어 고연포/도미닉/인피 
- 5코어 도미닉/인피/가엔

======================================================================

1코어 옵션
Q평평으로 짧게 딜교하는 상황이면 벼폭검이 가장 효율이 좋습니다.
그 외에 자주 1코어로 뽑히는 몰락과 요우무는 DPS가 거의 비슷합니다. 

- 무난하면 벼폭검 
- 로밍 위주/이속 옵션이 중요한 게임 또는 긴 라인전 대치가 불리한 상황에서 요우무
- 탱커 매치업일때 몰락 or 크라켄 가시면 되겠습니다.

탑 아크샨 장인 미궁은 몰왕이 현재체력비례 데미지이기 때문에 순간딜링은 더 잘 뽑을 수 있겠으나,
지속딜 측면까지 고려한다면 크라켄이 더 효율적이라 판단한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Q평평 이후 후속 평타까지 이어지는 짧은 교전 구도에서의 DPS 효율은 
벼폭검 > 몰락 > 요우무 > 징수 > 크라켄 순입니다. 

크라켄이 가장 후순위에 있어서 의외일텐데 지속딜이 어려운 상황 또는 
다른 코어템이 갖춰지지 않은 상황일 때 크라켄 DPS가 제법 덜 뽑힌다라고 인지하시면 되고,
활용 난이도가 높아서 부연설명이 많이 필요한 관계로 추후에 다시 다루겠습니다.

그 외 1코어 옵션으로는 스태틱, 폭갈이 있는데 폭갈은 너무 지표가 구데기라 패스하고 스태틱은 괜찮아요.
사실 Q 선마 9렙부터 라클의 신이 되는 아크샨인지라 개인적으로는 이해가 잘 안가는 선택지긴한데 
1코어 스태틱이 이전부터 아크샨 지표에 있어서 성적은 꾸준히 좋았어요. 
아크샨 베이비거나 라인전을 아예 수행할 생각이 없으면 좋은 것 같아요 (니코 애니비아 야스오 이렐리아)
물론 저는 안 갑니다.  
또 빌드를 2~4코어로 확장하면 픽률과 승률 모두 자취를 감추는 템이라는 점 미리 안내드립니다.


2코어 조합 옵션
요우무/벼폭검 + 징수
기본적으로 짧은 딜교환 구도는 벼폭검-징수가 가장 DPS가 높고 승률과 픽률도 준수합니다.
요우무-징수는 벼폭검-징수보다 에메+에서 2.4%, 다+에서 3.2%나 더 지표상 승률이 낮습니다. 
따라서 탱커가 많지않고 아크샨의 성장이 순탄한 상황이면 징수를 추천합니다.
(승률 57.98% / 픽률 19.92%)

선요우무 체제에서 2코어 후속 옵션
- 징수(55.76%, 20.35%), 벼폭검(61.8%, 2.13%), 기회(65%, 1.6%)
요우무는 폭갈, 크라켄, 몰락과 궁합이 좋지 않습니다. 따라서 방관 옵션을 가져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방관 빌드는 2코어까지는 정말 시너지가 좋지만 3코어부터는 효율이 급감하므로 
게임 템포가 빠르고 단시간에 게임이 결정나는 상황일 때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로 요우무-벼폭검이 벼폭검-요우무보다 픽률도 승률도 더 높은 상황인데, 
하위템 효율, 이속 옵션으로 인한 킬 캐치 능력 차이가 아마 그 원인이지 않나 싶습니다.

기회의 경우, 픽률이 낮아서 통계 신뢰도가 떨어지긴 하지만 지표가 정말 잘 뽑히고 있어서
성장이 잘 되고 있고 교전이 잦다면 실험삼아 가볼만한 상황인 것 같아요. 
다만 제가 직접 가본 빌드가 아니라 체감을 따로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 재미는 좋아보여요. 
또 벼폭검보다 요우무와 함께 할때 지표 승률이 더 좋습니다.

DPS 효율 Q평평 / Q평평+평평 
요우무 벼폭검 819 / 1137
요우무 징수 735~884 / 1101
요우무 크라켄 603 / 1006
벼폭검 징수 819~1000 / 1162~1286

선벼폭검 체제에서 2코어 후속 옵션
- 징수(59%, 16.4%), 폭갈 (57%, 14%)
징수는 DPS가 높고, 폭갈은 이속 시너지가 좋습니다. (내 이속 높이고 상대 이속은 낮추니까)
2방관 빌드로 뽕뽑고 게임 끝내기 어렵다고 판단된다면 폭갈로 노선을 조정할 수 있겠습니다. 
크라켄은 1, 2코에서 올리면 지표가 좋지 않으니 아무쪼록 자제 부탁드리겠습니다.

여담으로 이속 옵션 제공 아이템으로 요우무, 벼폭검, 세릴다, 폭갈, 몰락이 있는 상황에서 
슬로우 옵션이 붙은 벼폭검/몰락, 세릴다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해주세요. 


지속딜 시너지 조합
방관 빌드로 스타트를 끊으면 성장 추이가 좋지 않다고 판단될 때의 빌드 옵션입니다.
암살, 짧은 딜교환을 돕는 방관빌드는 시간이 지날수록 힘이 빠져서 물몸 딜러진을 건드리기가 빡셉니다. 
또 인파이팅 원딜인 아크샨의 특성상 지속딜 시너지 아이템이 많을수록 힘이 강해지기 때문에

단독으로 쓰이기보다 지속딜 상황+아이템 빌드일 때 성능이 좋은 크라켄을 베이스로 
부족한 딜과 이속 유틸 옵션을 인피/나보리, 벼폭검/몰락, 폭갈에서 메꾸고,  
부족한 생존력은 경계, 월식, 철갑궁에서 보충하면 DPS를 제대로 뽑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추가로 지속딜 + 마뎀 시너지 옵션을 섞어줄 수 있는데 마뎀 빌드는 올AD 조합 상황이거나, 
상대에 탱커/방템 둘둘이 많을 때 효율이 좋습니다.
마뎀 시너지 옵션에는 스태틱, 마최, 구인수, 경계, 폭갈, 고연포, 루난이 있습니다만 
이중 마최, 스태틱, 루난이 공통요소가 옅고 제공하는 옵션이 모호해서 좀 애매한 템인거 같아요. 
마최는 AP 많으면 갈만하고 스태틱은 라클이 불필요해서 빠지고 루난은 실전 데이터가 없어요.
추가로 약간 예능성이지만 신발까지 미궁식 마관신을 껴버리는 뇌절도 고려 가능합니다.


마치며
저는 방관빌드 쪽에서는 기회만 빼면 충분히 데이터를 많이 뽑은거 같아서 
방관 빌드는 기회만 갈거고 그외에 대부분 상황에서는 지속딜 DPS 마관 아크샨을 연구할 것 같아요. 
이쪽은 데이터가 거의 없어서 맨땅에 헤딩이 필요해요 ㅋㅋ..

방관 빌드가 초반 고점은 정말 높아서 초반이 강력한 아크샨과 시너지가 매우 뚜렷한데,
지속딜 빌드가 저점, 안정성이 더 높아서 나름 메리트가 있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