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분들은 비가오면 인터넷이 느려진다,  어떤분은 번개가쳐도 일정하다

어떤분은 1만원 인터넷이다  어떤분은 요즘 인터넷 3만원 하지 않나요?" 등등  뭐 여러가지 말이 있습니다.

모두 맞습니다. 지금부터 그 이유를 빠르게 알려드리죠!. 시간없으면 파란글만 읽으셔도됨.


인터넷이 들어오는 경로와 제공받는(제공해주는) 네트워크의 종류가 고객별로 모두 다르며

고객이 받게되는 과정에 주거종류별로 설치된 증폭기와 분배기,  그리고 광케이블의 섬유밀집도에 따른 열저항값의 차이로

모두 천차 만별입니다. 그리고 이런 시설값에따라 그지역 인터넷 가격이 정해지거나,  주파수를 제어합니다.


쉬운예로 같은  3만원짜리 인터넷을 쓰는데도 불구하고  지방주거구는(구 케이블 다운80Mbps이하 업8Mbps정도) 광고시에는 다운100Mbps이하 업10Mbps를 보장한다고 광고하죠,


서울 특정신도시는 이와 반대로 같은 3만원을 줘도 (산일부,판교일부, 그리고 위례신도시전지역, 신도시 개발중인 상일~미사~풍산, 덕풍~검단산 전지역.) 
다운140Mbps이하 업40Mbps,  신 케이블이 이미 보급되어있고,  작년 7월경부터 벌써

4K (다운 340Mbps, 인터넷 네트워크 공사가 판교 일부와 일산 방송국 주변, 동탄이나 부산 해운대 근처에서 이미 공사중이며

기업건물에는 이미 일반 가정집과 네트워크 전송량과 송출량 모두 틀려요!.

                                                      


첫번째로 가장 많이쓰이는 케이블 인터넷 설치 장비에 대해 알아보죠.

복도식 아파트또한 이걸 쓴다고 보면 됩니답.

주로 단독주택, 빌라, 원룸, 건물에 들어가는 케이블 방식 인터넷 입니다.

해당 상품은 지방 케이블 방송국이나(방송과 함께 설치가 가능함) 에스케이, 엘지에서 설치가 가능하고 케이티는 케이블 선 대신 기존 국선 전화선로를 사용해서 ADSL, VDSL을 설치를 합니다.

 

케이블은 일반상품(다운20Mbps 이하 업5Mbps정도)과 광랜상품(다운100Mbps이하 업10Mbps정도)으로 공급이 되는 다운로드와 업로드가 비대칭으로 들어가는 상품입니다.  아파트가 아니신 분들은 파일 올리기와 다운로드 속도가 다르다고 보시면 됩니다.  부러우면 아파트 사시면 되는것.

 

이 상품은 현재 주택지역에 가장 많이 들어가는 상품으로 선로가 튼튼하고 분배하기가 쉬우며 장애시 원인을 찾기 쉽고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지만, 장마나 낙뢰에 장애 발생비율이 높고 매우 취약합니다. 분배방식이다 보니 선로상태나 사용자수에 따라 속도의 등락폭도 심한 편입니다. (거주지역 인터넷 사용자가 많아질 수록 속도가 내려감). 그 부족한 송츌표를 보고 통신사에서 송출량을 실시간 조절하지만  사용하고있는 당사자에겐 지금당장 버벅임과 핑증폭을 체감.

또한, 비대칭 상품이므로 온라인 게임시 속도장애로 렉발생 빈도가 잦은 상품이기도 합니다.

 

현재 2014년 FTTH 방식을 응용한 대칭형 주택광랜(광섬유선과 광전용모뎀을 사용)으로 큰 대도시부터 조금씩 바뀌어 가고는 있지만, 아직까지는 대부분이 이방식으로 설치가 되고 있습니다.


일반 주택은

1.고차전신주( 고속도로에서 보이는 도시로들어가는 큰 사다리형 전신주) 에서 집주변 전신주의 광케이블로 1차분배기로 분배후 다시 여러개 전신주로 나눠지는 분배기로 계속 나눠짐

2.집이 옥상식이면 옥상에서 2차분배하며 다시 집의 증폭기로분배, 빌라일경우 빌라건물 내부의 증폭기로 연결

3. 내부 증폭기를 거친 신호는 댁내 벽에 있는 중계탭으로 분배,  를 거치며 속도가 계속 낮아짐.


아파트인 경우

1. 바로 전신주에서 광케이블 증폭기 (7C케이블)로 연결이 되고 그곳에서 직통 분배를 통해 각호수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아파트도 케이블 종류가 모두 다르며  위례신도시의 비발디같은경우  이미 4k와 5세대 6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 설비가 되어있음.


그리고 가장 큰 문제인 통신사.


어느통신사가 좋다는건 사실상 말이 안되고 각 통신사별 지역마다 설치가능한 상품이 모두 달라요.


어디가 좋은지 알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전산을 조회해야되요,
예를들어

서울 성북구 어딘가를 조회했다?.

각 통신사별 ( LG / SK / KT )전산조회결과

 

LG U+는 FTTH대칭형광랜상품인 LDAU2000상품이 설치가능

SK브로드밴드는 비대칭형광랜상품광랜W상품이 설치가능

올레KT(쿡)은 FTTH대칭형광랜 상품이 설치가능한 주소지로 확인이 됩니다.

 

( 인터넷속도 및 품질은 1. 대칭형광랜 -> 2. 비대칭형광랜 -> 3. 일반상품입니다 )

 

 SK브로드밴드경우 동축케이블에 광랜 모뎀을 달아서

속도를 증폭시키는 방식의 비대칭형광랜으로써

평균 다운로드 60~80Mbps / 업로드 2~5Mbps정도의 속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지역환경에 따라서 속도나 안정성의 차이가 있을수 있습니다.

 

올레KT(쿡)와 LGU+의 FTTH대칭형광랜은 통시사별 옵션, FTTH라이트 / FTTH스폐셜로 나눠지며

FTTH라이트는 평균 다운로드 / 업로드 동일하게 40~50Mbps

FTTH스폐셜은 평균 다운로드 / 업로드 동일하게 80~90Mbps의 속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비대칭형광랜보다 속도만 빠른것이 아닌 핑도 안정적입니다. (비가오거나 번개가쳐도 영향없음)

 

대칭형광랜은 광케이블로 설치가 되기때문에 , 핑이 안정적이라서

주식 , 온라인게임 , 업로드를 위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분께 적합하며

 

비대칭형광랜은 다운로드 속도는 빠르지만 업로드 속도가 떨어지며

핑이 불안정하기때문에 웹서핑 또는 영화다운 , 저사양의 게임을 할경우

별문제없이 사용이 가능하다고 할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현재 비대칭을 쏴주는 케이블이 구식이라 다운속도조차 대칭에 밀리죠.

 

 각 통신사별 인터넷 + TV가입시에 요금

 

■ LG U+의 인터넷 + TV요금 ■

( 3년약정시 , 부가세10%포함 )

 

LG U+인터넷 + TV ( 보급형 ) = 29,700원

LG U+인터넷 + TV ( 라이트 ) = 31,900원

LG U+인터넷 + TV ( TV G ) = 34,540원

 

■ SK브로드밴드 인터넷 + TV요금 ■

( 3년약정시 , 부가세10%포함 )

 

SK다이렉트 + TV ( 실속형 ) = 31,900원

SK다이렉트 + TV ( 표준형 ) = 35,200원

SK다이렉트 + TV ( 고급형 SK유일 FTTH ) = 44,000원

 


 

■ 올레KT인터넷 + TV요금 ■

( 3년약정시 , 부가세10%포함 )

 

올레인터넷 + 쿡TV ( 선택형 ) = 31,900원

올레인터넷 + 쿡TV ( 실속형 ) = 34,100원

올레인터넷 + 쿡TV ( 기본형 ) = 37,400원

올레인터넷 + 쿡TV ( 고급형 ) = 4,2900원

 


올레인터넷 + 쿡 스카이라이프TV ( 이코노미 ) = 34,100원

올레인터넷 + 쿡 스카이라이프TV ( 스텐다드 ) = 37,400원

올레인터넷 + 쿡 스카이라이프TV ( 프리미엄 ) = 42,900원

 


결론,   인터넷속도 = 거주지가 신도시인가?, 통신사가 어딘가,?  그 통신사가 그지역에 어디까지 쏴주나?

 내가쓰는 인터넷의 상품이 얼마때의 상품인가? . (스마트폰 35요금제 쓰는사람 75쓰는사람 제공받는 데이터가 틀리듯 인터넷도 재각각이며  2G나 3G폰으로 LTE제공받지 못하듯  단독주택에서 광케이블을 안정적으로 못쓰는것도 비슷함.


자기주변에 어떤게 가장 좋은지 알고싶으면 동사무소나  아파트 관리소 가시면 각 통신사별로 얼마나 쏴주는지 확인 가능하고 그거보고 제일 많이 달고 많이쏴주는데로 거래하면 되는겁니다잉.


그리고 사람들이 LGLG 하는 이유는 LG랑 올레가 13년도 케이블 공사를 해서 수적으로 대칭광랜이 많아져 

지역적으로 품질이 올라서 그런겁니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