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서론이 길다 싶으면 스크롤 쭉 내리면 아래쪽에 결론이 있습니다.


오늘 새벽에....젠지와 BLG의 0:3 경기를 직접보진 않았지만,
다른거 하면서 보다가 결과를 듣고 잠이 안와서 젠지의 역대 국제전 결과를 적었습니다.
https://www.inven.co.kr/board/lol/4625/3630719
이 링크에는 젠지의 국제전 상세한 결과가 적혀져 있으니 젠지만 보려면 여기서 보시면 되겠고, 
문득 저걸 적다가 LPL과 LCK의 역대 전적 결과는 어떻게 될까? 를 확인해보고 싶어서 
일일히 나무위키 켜고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인벤 기록실에도 팀 전적 등이 있습니다만, LCK랑 LPL의 상대전적은 나오지 않아서 제가 직접 적습니다.

적기에 앞서서, 기준을 좀 정해보려고 합니다.
1. 왜 2015년도부터인가?
-> 1기업 1팀체제이며, LCk가 리그제로 전환된 때라서 그렇습니다.
절대로 그 시절의 강팀들을 폄하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추가적인 이유가 좀 더 있는데 2번에서 다루겠습니다.
 
2. 왜 저 대회(롤드컵, MSI, 리라)들만 인정하는가? IEM이랑 아시안게임, WCG무시함?
 -> 나무위키에서 '한국 팀이 참가한 기타 대회' 라는 틀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https://namu.wiki/w/%ED%8B%80:LoL%20e%EC%8A%A4%ED%8F%AC%EC%B8%A0%20%EA%B8%B0%ED%83%80%20%EA%B5%AD%EC%A0%9C%20%EB%8C%80%ED%9A%8C
보시다시피 이렇게 대회들이 너무 많습니다.
(이 대회들 중에서 2020MSC는 당해 열리지 않은 MSI 대신이므로 포함시키도록 하겠습니다)
심지어 저 중에는 빠진 것이 있습니다.

2012년도 LCK 스프링, 서머에 외국 팀이 참가를 했었는데,
(봄에는 2개 팀, 여름에는 4개의 외국 팀이 참가했습니다)
문제는 LPL에서 Team WE가 이 해 여름에 LCK에 참가를 했었다는거죠;;
이것까지 고려하면 너무 복잡할 것 같아서 뺐습니다.
어차피 둘 다 우승팀은 한국팀이기도 하구요.
참가팀만 간략히 적어보면
2012 LCK 스프링은 해외에서 Fnatic, CLG가 참가했고, 
2012 LCK 서머에는 위에서 말한 CLG (이 대회에서는 CLG Prime이라는 이름으로 참전) 이외에도
- CLG Europe (이 대회 준우승팀, 후에 Evil Geniuses, Winterfox 로 이름 바꾸었다가 2015년 해체)
- 북미의 Team Dignitas (코어장전이 삼성 오기전에 머물렀던 팀)
- 그리고 Team WE (우리가 알고 있는 LPL의 그 팀)


WCG는 역시 표본이 적고 옛날이라 패스.
- 2011년도에 참가한 EDG는 8강까지 갔는데, 훗날 나진이 되고, 이 대회에서는 LPL과 붙지 않았습니다. 
- 2013년 CJ Blaze는 전승우승으로 금메달을 땄습니다. 조별리그에서 홍콩의 Energy Pacemaker라는 아마추어 팀과 붙었고, 결승에서 Team WE랑 붙어서 2:0으로 이겼습니다.

 아시안게임은....무게감은 엄청나지만,
1) 자주 열리는 대회가 아니라서
2) 리그 소속이 아닌 국적 소속의 대회라서
라는 이유로 제외하였습니다. 

2013년 인천 실내 무도 아시안게임이 2013년 
자카르타 - 팔렘방 아시안게임이 2018년
이렇게 딱 2번 열렸지요.
국가대항전인건 동일하지만, 두 대회가 조금 다른게 
2013년에는 국가대표선발전을 LCK팀들이 치뤘습니다.
허나 2018년도에는 그렇게 하지 않고, 폼이 좋은 멤버들을 팀별로 뽑아서 했지요.
그래서 팀간 전적에는 표기가 애매할 것 같아서 통계에 안 넣겠습니다.

결과랑 멤버만 말씀드리겠습니다.
2013년도에 KT Bullets B가 결승에서 중국 대표인 Team WE를 만나서 패승승으로 금메달,
2018년도에 대한민국 대표팀이 결승에서 중국 대표팀 상대로 패승패패로 은메달을 획득하였습니다.
2013년도 당시 멤버는 썸데이 / 인섹 / 류 / 스코어 / 마파 (서브나 감독은 잘 모르겠습니다)
2018년도 당시 멤버는 기인(당시 아프리카) / 스코어 / 페이커 / 룰러 / 코어장전 / 서브는 피넛(당시 킹존)
감독은 최우범 (당시 젠지), 코치는 제파 (당시 아프리카) 였습니다.
2013년도의 WE 멤버는 찾기가 귀찮아서 패스... 유튜브에 결승 영상이 있긴 한데 화질이 안 좋아서 잘 안보입니다.
2018년도의 중국 대표팀은 감독 Aaron, 코치는 손대영과 이관형(Heart) 이고
멤버는 Letme / Mlxg / xiye(WE) / Uzi / Ming / 서브가 Meiko(EDG) 입니다. 로그워리어즈의 스테이크도 코치로 영입했다고 했는데 잘 모르겠습니다. 
당연하지만, 표기 안된 선수는 전부 RNG 소속입니다. 2018년도에 RNG와 우지의 기세가 대단했죠.

리그 소속이 아닌 국적 소속의 대회여서 원칙상 LPL에 있는 한국인이 한국 대표로 출전할 수는 있었지만,
실제로는 LCK : LPL이 되었지요.


암튼.. 복잡한게 많아서 2015년도 이후부터만 적었습니다!

잡소리가 엄청 길었는데 본문은 간단하겠군요. 시작하겠습니다!


========================================================================













<본론>

아래는 2015년도 부터 국제대회에서 LCK팀과 LPL팀이 붙은 전적 입니다.
다전제랑 한해 총평은 굵은 글씨이며, 승리는 파란색, 패배는 빨간색으로 적었습니다.
파랑이 많다 -> LPL 상대로 잘 한 것
빨강이 많다 -> LPL 상대로 못 한 것


2015년
2015 MSI - LCK에선 SKT가, LPL의 EDG가 출전.  조별리그 없음. 결승에서 SKT가 EDG에게 패배 (OXXOX)
2015 롤드컵 - LCK에서는 SKT, KOO, KT가 출전하고 LPL에서는 LGD, EDG, IG가 출전.
조별리그 C조 - SKT가 EDG 상대로 2승 / D조에서 KT와 LGD가 붙어서 2승, 다전제 없음
2015MSI 2승 3패 / 조별리그 0승 0패 / 다전제 1패 (OXXOX)
2015월즈 4승 0패조별리그 4승 0패 / 다전제 없음
2015총합 6승 3패 조별리그 4승 0패 / 다전제 1패 (OXXOX)



2016년
2016 MSI - LCK의 SKT와 LPL의 RNG가 조별리그에서 붙어서 1승1패, 4강에서 다시 붙어서 승리 (XOOO)
2016 롤드컵 - LCK에서는 ROX, SKT, SSG가 출전하고 LPL에서는 EDG, RNG, I May가 출전.
조별리그 B조 - SKT가 I May 상대로 2승 / D조에서 SSG와 RNG가 붙어서 1승1패
이후 8강에서 SKT가 RNG 상대로 승리 (XOOO), ROX가 EDG상대로 승리 (OOXO)
2016MSI 4승 2패 / 조별리그 1승 1패 / 다전제 1승 (XOOO)
2016월즈 9승 3패 / 조별리그 3승 1패 / 다전제 2승 (XOOO, OOXO)
2016총합 13승 5패 / 조별리그 4승 2패 / 다전제 3승 (XOOO, XOOO, OOXO)



2017년
2017 MSI - LCK의 SKT와 LPL의 Team WE가 조별리그에서 붙어서 1승1패, 다전제 없음
2017 리라 - LCK에서는 SKT, KT, SSG, MVP가 출전. LPL에서는 Team WE, RNG, EDG, OMG가 출전
그룹 스테이지에서는 SKT가 Team WE 상대로 승리, SSG가 EDG 상대로 승리, KT가 RNG 상대로 승리
결승전에서는 LPL 상대로
1세트 SSG가 EDG에게 패배, 2세트 SKT가 Team WE에게 패배,
3세트 KT가 OMG에게 승리, 4세트 MVP가 RNG에게 패배. 다전제 패배 (XXOX)
2017 롤드컵 - LCK에서는 LZ, SKT, SSG가 출전하고 LPL에서는 EDG, RNG, Team WE가 출전.
조별리그 A조 - SKT가 EDG 상대로 2승 / C조 - SSG가 RNG 상대로 2패
이후 4강에서 SKT가 RNG 상대로 승리 (XOXOO), SSG가 Team WE 상대로 승리 (XOOO)
2017MSI 1승 1패 / 조별리그 1승 1패 / 다전제 없음
2017RRL 4승 3패 / 조별리그 3승 0패 / 다전제 1패 (XXOX) 
2017월즈 8승 5패 / 조별리그 2승 2패 / 다전제 2승 (XOXOO, XOOO)
2017종합 13승 9패 / 조별리그 6승 3패 / 다전제 2승 1패 (XXOX, XOXOO, XOOO)



2018년
2018 MSI - LCK의 KZ와 LPL의 RNG가 조별리그에서 붙어서 1승1패, 결승에서 다전제 1패 (XOXX)
2018 리라 - LCK에서는 KZ, AFs, KT, SKT가 출전. LPL에서는 RNG, EDG, Rogue Warriors(이하 RW), IG가 출전
그룹 스테이지에서는 Afs가 EDG에게 패배, KT가 RW에게 승리, SKT가 IG에게 패배, KZ이 RNG에게 패배
결승에서 LPL 상대로
1세트 KT가 IG에게 승리, 2세트 SKT가 RNG에게 패배, 3세트 AFs가 EDG에게 승리,
4세트 KZ가 RW에게 패배, 5세트 AFs가 RNG에게 패배. 결승전 패배 (OXOXX)
2018 롤드컵 - LCK에서 KT, AFs, 젠지가 출전, LPL에서는 RNG, IG, EDG가 출전
조별리그 B조 - 젠지가 RNG에게 2패, C조 - KT가 EDG에게 1승1패
8강에서 KT가 IG에게 패배 (XXOOX)
2018MSI 2승 4패 / 조별리그 1승 1패 / 다전제 1패 (XXOX) 
2018RRL 3승 6패 / 조별리그 1승 3패 / 다전제 1패 (OXOXX) 
2018월즈 3승 6패 / 조별리그 1승 3패
다전제 1패 (XXOOX) 
2018종합 8승 16패 / 조별리그 3승 7패 / 다전제 3패 (XXOX, OXOXX, XXOOX)
(번외로 2018 아시안게임은 LCK팀이 LPL팀에게 결승전 다전제 XOXX 패배, 상기한 대로 집계 미반영)



2019년
2019 MSI - LCK의 SKT와 LPL의 IG가 조별리그에서 붙어서 1승1패, 다전제 없음
2019 리라 - LCK에서는 SKT, GRF, KZ, DWG가 출전. LPL에서는 IG, JD, FPX, TES가 출전
그룹 스테이지에서는 KZ가 FPX에게 승리, GRF가 JD에게 승리, DWG가 TES에게 승리, SKT가 IG에게 패배3승1패
결승에서 LCK가 LPL 상대로
1세트 KZ이 IG에게 승리, 2세트 SKT가 TES에게 승리,
3세트GRF가 FPX에게 패배4세트 DWG가 JD에게 승리, 다전제 승리 (OOXO) 
2019 롤드컵 - LCK에서 SKT, GRF, DWG가 출전, LPL에서는 FPX, RNG, IG가 출전
조별리그 C조 - SKT가 RNG에게 2승 / D조 - DWG가 IG에게 2승  
8강에서 GRF가 IG에게 패배 (XXOX).
2019MSI 1승 1패 / 조별리그 1승 1패 / 다전제 없음
2019RRL 6승 2패 / 조별리그 3승 1패 / 다전제 1승 (OOXO) 
2019월즈 5승 3패 / 조별리그 4승 0패 / 
다전제 1패 (XXOX) 
2019종합 12승 6패 / 조별리그 8승 2패 / 다전제 1승 1패 (OOXO, XXOX)



2020년
(2020년은 코로나 때문에 MSI가 취소되고 대신 Mid-Season Cup, 줄여서 MSC가 진행됨)
2020 MSC - LCK에선 T1, 젠지, DRX, DWG이 출전. LPL에선 JDG, TES, FPX, IG가 출전 (그리고 이 8개 팀만 참전)
A조에 FPX, TES, DWG, T1이 배정, B조에 젠지, JD, DRX, IG가 배정. 조별리그에선 각 팀당 1번씩만 싸움.
A조에서 DWG은 TES에게 1패, FPX에게 1패 / T1은 FPX에게 1승, TES에게 1패
B조에서 젠지는 JDG에게 1승, IG에게 1승 / DRX는 IG에게 1승, JDG에게 1패
4강에서 젠지는 TES에게 패배 (XXX)
2020 월즈 - LCK에서는 DWG, DRX, 젠지가 출전, LPL에서는 TES, JDG, 쑤닝, 그리고 4시드에 LGD가 출전
조별리그에서는  B조 - DWG가 JDG에게 1승 1패 / C조 - 젠지가 LGD에게 2승 / D조 - DRX에 TES에게 2패 
결승에서 DWG가 쑤닝에게 승리 (OXOO). 
2020MSC 4승 7패 / 조별리그 4승 4패 / 다전제 1패 (XXX)
2020월즈 6승 4패 / 조별리그 3승 3패 / 다전제 1승 (OXOO) 
2020종합 10승 11패 / 조별리그 8승 2패 / 다전제 1승 1패 (XXX, OXOO)



2021년
2021 MSI - LCK에선 DK, LPL에선 RNG가 출전
럼블스테이지 (=그룹스테이지) 에서 DK가 RNG에게 2패
결승에서 DK가 RNG에게 패배 (XOXOX)
2021 월즈 -
LCK에서는 DWG, 젠지, T1, 그리고 4시드에 HLE가 출전
LPL에서는 EDG, FPX, RNG, 그리고 4시드에 LNG가 출전 (4시드는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출발)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HLE가 LNG에게 1패
조별리그에서는
A조 - DWG가 FPX에게 2승 / B조 - T1이 EDG에게 1승 1패
C조 - HLE가 RNG에게 1승 2패 (1승1패 후 TB패) / D조 - 젠지가 LNG에게 1승 1패 
4강에서 젠지가 EDG에게 패배 (XOOXX)
결승에서 DK가 EDG에게 패배 (XOOXX)
2021MSI 2승 5패 / 조별리그 0승 2패 / 다전제 1패 (XOXOX)
2021월즈 9승 11패 / 조별리그 5승 5패 / 다전제 2패 (XOOXX, XOOXX) 
2021종합 11승 16패 / 조별리그 5승 7패 / 다전제 3패 (XOXOX, XOOXX, XOOXX)



2022년
2022 MSI - LCK에선 T1, LPL에선 RNG가 출전
럼블스테이지 (=그룹스테이지) 에서 T1이 RNG에게 1승 1패
결승에서 T1이 RNG에게 패배 (XOXOX)
2022 월즈 -
LCK에서는 젠지, T1, DK 그리고 4시드에 DRX가 출전
LPL에서는 JDG, TES, EDG, 그리고 4시드에 RNG가 출전 (4시드는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출발)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DRX가 RNG에게 1승
조별리그에서는
A조 - T1이 DRX에게 EDG에게 2승 / B조 - DK가 JDG에게 1승 2패 (1승1패 후 TB 패)
C조 - DRX가 TES에게 1승 1패 / D조 - 젠지가 RNG에게 2승 1패  (1승패 후 TB 승)
8강에서 T1이 RNG에게 승리 (OOO), DRX가 EDG에게 승리 (XXOOO)
4강에서 T1이 JDG에게 승리 (XOOO)
2022MSI 3승 4패 / 조별리그 1승 1패다전제 1패 (XOXOX)
2022월즈 16승 7패 / 조별리그 7승 4패 / 다전제 3승 (OOO, XXOOO, XOOO) 
2022종합 19승 11패 / 조별리그 8승 5패 / 다전제 3승 1패 (XOXOX, OOO, XXOOO, XOOO)



2023년
2023 MSI (진행중)
LCK에선 젠지, T1이 출전, LPL에선 JDG, BLG가 출전.
브래킷 스테이지 상위권 결승에서 T1이 JDG에게 패배 (XOOXX)
브래킷 스테이지 하위권 3라운드에서 젠지가 BLG에게 패배 (XXX)
2023MSI 현재까지 2승 6패 / 조별리그 없음 / 다전제 2패 (XOOXX, XXX)


과연, 오늘 브래킷 스테이지 하위권 결승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 것인가!

===================================================================








<다전제 종합>
2015년부터 세어본 역대 LCK vs LPL 다전제 결과  (MSI, 월즈, 리프트 라이벌즈 포함, IEM 미포함)

2015 MSI 결승 SKT : EDG 패배 (OXXOX)
2015 월즈 X

2016 MSI 4강 SKT : RNG 승리 (XOOO)
2016 월즈 8강 SKT : RNG 승리 (XOOO) / ROX : EDG 승리 (OOXO)

2017 MSI X
2017 RRL 결승 LCK : LPL 패배  (XXOX)
2017 월즈 4강 SKT : RNG 승리 (XOXOO) / SSG : WE 승리 (XOOO)

2018 MSI 결승 KZ : RNG 패배 (XOXX)
2018 RRL 결승 LCK : LPL 패배  (OXOXX)
(2018 자카르타 - 팔렘방 아시안 게임 결승 KOR : CHN 패배 (XOXX) )
2018 월즈 8강 KT : IG 패배 (XXOOX)

2019 MSI X
2019 RRL 결승 LCK : LPL 승리 (OOXO)
2019 월즈 8강 GRF : IG 패배 (XXOX)

2020 MSC 4강 젠지 : TES 패배 (XXX)
2020 월즈 결승 DWG : 쑤닝 승리 (OXOO)

2021 MSI 결승 DK : RNG 패배 (XOXOX)
2021 월즈 4강 젠지 : EDG 패배 (XOOXX)
2021 월즈 결승 DK : EDG 패배 (XOOXX)

2022 MSI 결승 T1 : RNG 패배 (XOXOX)
2022 월즈 8강 T1 : RNG 승리 (OOO) / DRX : EDG 승리 (XXOOO)
2022 월즈 4강 T1 : JDG 승리 (XOOO)

2023 MSI 브래킷 상위권 결승 T1 : JDG 패배 (XOOXX)
2023 MSI 브래킷 하위권 3라운드 젠지 : BLG 패배 (XXX) 
2023 MSI 브래킷 하위권 결승 T1 : BLG 는 과연???




팀별 리뷰시 (리프트 라이벌즈 제외)
T1 (SKT 포함) - 5승 3패 
젠지 (SSG 계승) - 1승 3패 
HLE (ROX 계승) - 1승 0패
DRX (KZ 계승) - 1승 1패
KT - 0승 1패
GRF - 0승 1패 
DK (DWG, DK 계승) - 1승 2패

도합 9승 11패 근소 열세
MSI 한정 1승 7패 / 월즈 한정 8승 4패
원래 9승 9패였는데 이번에 2연패로 내려갔네요 ㅠㅠ


리그 or 국가대항전은 
LCK  vs LPL 1승 2패 (리프트 라이벌즈)
아시안게임 KOR : CHN 0승 1패
2023년 아시안게임은 과연??


아직 다전제에서 크게 밀리는 것은 아님! 
2014년 이전 기록이 포함된다면 더 많겠지만 그건 패스.





젠지 선수들 감독들 고생 많았고, 국제대회에서 조금만 더 좋은 모습 보여줬으면 좋겠습니다 ㅠㅠ
T1은 젠지 몫까지 힘내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