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도 얘기했었는데
페이커는 팀에서 가성비 담당이고
쵸비는 캐리롤 담당인데

과거에 페이커 방패 아니다고 항의하던 것과
어찌보면 클템의 뎅겅 비뎅겅이랑도 유사함

팀에 자원을 몰아받고 캐리하는 쪽이냐
아니면 팀에서 자원을 좀 덜 받더라도 효율을 내는 쪽이냐

두가지 다 역할 수행을 최대로 하고 있는 경우
당연히 지표는 쵸비가 높을 수 밖에 없음.

그래서 페이커가 리그에서 쵸비상대로 앞설 때도
지표는 쵸비가 더 좋았던거

그리고

아래에 지표상으로 보이지않는 페이커의 플레이를 얘기하는 데 대표적으로 '사기쳐서 정글턴벌기' 임
쵸비가 예전 인터뷰때 페이커가 자꾸 정글있는 척을 해서 많이 당했었다고 이야기함. 정글 위치를 속이고 혼동시켜서
라인 우위를 챙기고, 원래라면 얻지못할 이득을 얻거나 턴을 벌거나 함.

그거에 안속으면? 그대로 솔킬당하는 거임
근데 이번 패치로 부쉬사이 멀어져서 어느 정도까지 미드라인전 정글개입에 대한 대처가 됨,
반대로 페이커는 자기가 하던 사기치기 안 됨
피솔킬 늘어남, 원래 벌던 턴 사기 못침

그대로 박살, 그게 이번 msi임


여담으로.
뎅겅 비뎅겅, 캐리롤이냐 아니냐 따지다 보면 돌림판 시절로 가게되는데 양대인이 원했던 멤버롤은 미드캐리롤을 기반으로 시작되는 걸 원했고, 그런거 때문에 클로저를 비롯 다양한 시도를 했던 거라 생각함.
하지만 누군가는 그런 양대인의 전략에 반대를 하고.
양대인의 방식과 페이커의 방식이 있었는데
결국 티원에겐 페이커의 방식이 맞았다는 결론으로 남는 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