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25 칼날비 이후 좌우베기 패턴 설명 추가, 도끼 느린 베기 평타 설명 추가

카멘 4관문의 경우 같은 전조이지만 다른 패턴으로 파생될 수 있는 짤패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같은 전조이지만 다른 패턴으로 파생될 수 있는 4-1 패턴들"만 소개합니다.

글에 앞서서 기본적으로 보스의 우측 뒤가 안전인 경우가 많습니다 (왼쪽을 먼저 때리는 패턴이 많음)

나머지 4-1 관문의 패턴들은 웥창석님의 공략에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검을 들고 칼날비를 시전하며 백스텝을 하면

- 칼날비만 시전
- 칼날비 이후 어글자에게 잡기를 동반한 돌진. 아무도 안 잡히더라도 전방에 매우 아픈 찍기 시전, 매우 긴 딜 타임
- 칼날비 이후 어글자에게 숄차 연속 2번 사용 후 기존 숄차 패턴처럼 전방을 올려치고 내려침
- 칼날비 이후 오른쪽 or 왼쪽을 베고, 반대편을 베면서 크게 전진한 뒤 빽 안전 피자 장판

즉 칼날비를 시전하면 (1) 전방 잡기 (2) 오른쪽 왼쪽 베는 패턴에서 생성되는 피격이상 파도 둘 다 모두 의식해야 함. 따라서 적당히 대각선으로 보스에 빠르게 붙어주는 편이 좋음 
칼날비는 생각보다 늦게 터지므로 보스에 붙는 걸 우선시함

위 칼날비에서 시전한 오른쪽 왼쪽 베는 패턴은 평상시에도 아래와 같이 두 종류로 나타날 수 있음
- 오른쪽 or 왼쪽을 베고, 반대쪽을 베면서 크게 전진한 뒤 빽 안전 피자 장판 시전
오른쪽 or 왼쪽을 베고, 반대쪽을 베면서 크게 전진한 뒤, 백스텝하며 칼날비를 뿌리며, 빽 안전 피자 장판 시전
(칼날비 중 유일하게 다른 패턴 중간에 나오는 경우이며, 이때는 칼날비를 보고 본능적으로 조심하는 잡기를 신경쓰지 않아도 됨)

좌우로 베는 패턴은 280 아래 낙사구간에서 가장 많이 낙사당하는 패턴 중 하나임. 칼날비를 소환하면서 백스텝을 한다면 반드시 빠르게 대각선으로 접근하여 후방으로 붙거나 피면기를 써야 함.
다만 정면으로 붙게 된다면 찌르기에 당할 수 있으니 보스가 무슨 패턴으로 이어지는지 확인



왼쪽 오른쪽 베고 어글자 찌르고 반가르기 하는 패턴 종류

주의) 찌르기와 마지막 반가르기의 경우 어둠 게이지를 매우 많이 채워주므로 반드시 피해야 함

중간에 지진이 추가되냐의 차이. 체력이 낮아지면 메두사가 추가된 패턴이 있음

- 왼쪽 베고 오른쪽을 베고 어글자를 향해 머리를 돌린 뒤 찌르고, 좌 혹은 우 랜덤으로 반가르기 시전
- 왼쪽 베고 앞 뒤 부채꼴 지진 시전 후, 오른쪽을 베고 어글자를 향해 머리를 돌린 뒤 찌르고, 좌 혹은 우 랜덤으로 반가르기 시전

패턴 처음에 왼쪽을 베는 건 사실상 피할 수 없다고 보고 스페이스바를 아껴서 지진에 써야함
왜냐하면 이어지는 지진 패턴이 보이는 것과 다르게 판정이 이상해서 맞을 곳이 안 맞고, 안 맞을 곳이 맞는 경우가 잦기 때문 (버그로 추정 중)

왼쪽을 베고 지진을 피하거나 씹은 뒤, 오른쪽을 벤다는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많음
오른쪽까지 반드시 피해주고, 
좌우를 모두 벤 뒤 시전하는 찌르기는 임의의 어글자를 향해 시전함
이어지는 반가르기 또한 안진지대가 랜덤임
-> 즉 두 번의 랜덤을 뚫어야 하기 때문에 생존에 집중하는 편이 좋은 패턴


62줄 이하에서는 강화되는데, 거의 항상 메두사 패턴이 포함됨
- (62줄 이하) 왼쪽 베고 오른쪽을 베고 어글자를 향해 머리를 돌린 뒤 찌르고, 메두사 시전 후 좌 혹은 우 랜덤으로 반가르기 시전
- (62줄 이하) 왼쪽 베고, 앞뒤 부채꼴 지진을 시전하고, 오른쪽을 베고 어글자를 향해 머리를 돌린 뒤 찌르고, 메두사 시전 후 좌 혹은 우 랜덤으로 반가르기 시전

메두사의 경우 터질 때까지 꽤나 오랜 시간을 주기 때문에 너무 뒤도는 거만 의식하다가
카멘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이어지는 반가르기를 피하지 못하고 피격되는 경우가 잦으니 조심





도끼 짤패

도끼의 경우 평타 2회 후 이어지는 짤패턴의 종류가 많음
크게 3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음

(1) 회전 평타 + 찌르기 평타인 경우 -> 점프 찍기로 연계됨
(2-1) 느릿한 회전 평타 1회 시전 이후 백스텝
(2-2) 느릿한 회전 평타 2회 시전

여기서 (1)은 보스가 정상적으로 시전하지만 (2)와 (3)은 카멘이 조금 더 멍을 때린 후 천천히 도끼를 휘두르며 패턴을 시전하는 차이가 있음. 그리고 패턴을 시전할 때 미세한 전기 찌직 소리가 들림.
(박다보면 느껴짐)


(1) 도끼 "회전 평타" 후 "찌르기 평타" 후, 어글자를 향해서 점프 찍기 종류

점프 찍기 이후에 나오는 카운터는 치지 않아도 전방만 공격하므로 카운터를 절대 무리하게 칠 필요가 없으며, 카운터인척 하면서 날려버리는 패턴이 존재하므로 항상 유의

- (점찍을 수행하지 않고 도끼가 전기 이펙트로 번쩍이며) 맹구 패턴 (땅에 도끼를 꽂고 약 4초뒤 터지는 패턴)
- 점찍
- 점찍 및 어글자보고 카운터 (치지 않을 경우 전방으로 검기 발사)
- 점찍 후 백스텝 
- 점찍 후 백스텝 카운터 (치지 않을 경우 전방에 좁은 범위를 벰)
- 점찍 후 백스텝 후 주변 휘두르며 점점 넓어지는 날려버리기 2회 시전. 2타는 내부에 있을 경우 안전
-> 점찍 후 백스텝하면 카운터가 안 나오고 위 패턴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을 인지
(백스텝 후 도끼의 진한 푸른 빛이 사라지지 않는 경우 카운터가 아닌 휘두르기 2회 패턴으로 연계)

점프 찍기는 피격시 피격이상이 이어지고 대상자를 알기 어렵기 때문에 스페이스바를 써서 피해도 괜찮은 패턴임.
왜냐하면 이어지는 패턴들에 스페가 필요한 경우가 없고 패턴 자체가 길어서 보통 다음 패턴 전에 스페 쿨이 돌아오기 때문
(이렇게 어떤 패턴에는 스페를 써도 되고, 안 써도 되고를 스스로 캐릭에 맞춰 정리하면 생존에 매우 큰 도움이 됨)


(2) 느린 회전 평타 공격 종류
느린 회전 평타들은 마지막에 피자를 찍을 수 있다는 것을 항상 인지. 피자의 경우 보고 피하려고 하면 안전지대가 랜덤이고 빠르기 때문에 피격 당하는 경우가 잦지만 쓴다는 것을 인지하면 피하기 수월함.
피자에 피격시 어둠 게이지가 대폭 차니 맞지 말것

(2-1) 회전 평타 1회 후 백스텝 종류
- 도끼 "회전 평타" 1회 후 백스텝
- 도끼 "회전 평타" 1회 후 백스텝, 안전지역 랜덤인 피자 장판
- 도끼 "회전 평타" 1회 후 백스텝, 하늘 날아서 210도 전방 찍기

(1)에서 설명한 백스텝 이후 카운터가 몸에 익어서 카운터가 나올 수 있다 착각할 수 있지만, 평타 1회 후 백스텝에는 카운터가 없음

(2-2) 회전 평타 2회 종류
- 도끼 "회전 평타"x2 (후딜 짧음)
- 도끼 "회전 평타"x2 후 좌 혹은 우로 30도 정도 꺾으며 안전지역이 랜덤인 피자 장판 시전
- 도끼 "회전 평타"x2 후 백스텝 그리고 좌 혹은 우로 30도 정도 꺾으며 안전지역이 랜덤인 피자 장판 시전

느릿한 평타 한 번 휘두른다고 스킬을 썻다간 백스텝으로 연계될 수 있으니 이를 유의해야 함


검과 도끼를 모두 들고 전방 휘적을 최대 2번까지 함. 처음은 우측이 안전, 두 번째는 빽이 안전.
- 한번 휘두르고 무력화
- 한번 휘두르고 두 번 휘두르고 종료 (무기 변경 검은 연기 피어남)
- 한번 휘두르고 두 번 휘두르고 어글자보고 카운터 시전

무력화나 카운터를 실패시 전멸급 대미지
카운터를 성공하면 어글자를 향해 3개의 검기를 날리기에 가끔 옆구리나 빽으로까지 갈 수 있음 조심



검과 도끼를 모두 들고 어글자를 바라본 뒤 뛰어서 착지 후 수행하는 협카
모여서 협카를 치면 머리를 고정한 채로 보스가 전방으로 검기를 발사
1) 지진인 경우 수연이나 스페로 씹은 뒤, 머리로 가지 않음. 빽에 모여서 딜하다보면 머리가 알아서 돌아와서 카운터
2) 지진이 아닌 경우, 전방에 검기를 날린 뒤 보스가 머리를 어글자에게 한 번 돌리고 찌름. 찌르는 것까지 피하고 다시 빽에 모여서 딜하다보면 머리를 곧장 우리쪽으로 돌려서 카운터
-> 즉 협카때는 절대 헤드로 미리 가는 거 아님. 검기 발사는 카운터를 친 머리 그대로 발사하고 카운터는 우리쪽으로 알아서 돌려줌

여기 적지 않은 다른 패턴들이 많지만 사람들이 자주 실수하는 거만 글로 정리해봤습니다.



정산때 카운터 타이밍
(죽어있으면 암흑 디버프가 없어서 카운터 타이밍이 보입니다.)
아래카는 빠르고, 윗카는 생각보다 많이 느립니다.


윗카: 무기를 머리 끝까지 들고 잠시 뒤 카운터



아래카: 숙이고 잠시 뒤 카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