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샷은 순서대로 일반형-방사형-확산형 이고, 가장 아래 gif는 확산형 포격입니다

어떻게하면 최대한 포격을 안잘리게 찍을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태풍님의 팬X(?)찍는 요령을 떠올리고 찍었습니다(어?!)

더 좋은 스샷을 찍으실 분은, 다른 사람을 불러다가 포격을 시키고 찍으시면 되겠습니다...전 귀찮아서 혼자했을 뿐입니다

주변에 크기 대조로 세워놓을 담뱃갑(?)이 없어서, 넝굴 근처에서 최대한 비슷하게 찍었습니다...몹시 귀찮아하면서 했으므로 위치가 좀 다른 것은 그냥 넘어가주세요(...)

확산형의 경우 사용자의 좌우로 퍼지는 것이 가장 잘 나오는 스샷을 첨부하고, 추가로 gif를 넣습니다.

프레임을 높이면 용량이 안드로메다로 가므로 저정도로 참아주세요(...)

#일반형의 경우 화면 위를 살짝, 방사형의 경우 화면 위를 깊게 뚫고 나가는 형태를 보이죠. 그리고 확산형은 일반형과 같은 정도의 사거리에 사용자의 좌우를 커버하는 형태를 보입니다.

-'건랜 포격 형태에 따른 비교'라 쓰고, 일반형 포격 예찬론이라 읽는다-

건랜스를 처음 써보려는 분이나, 건랜을 한 두개 만들어 써 보신 분들이 흔히 가지고 있는 편견이 있습니다.

'일반형은 그다지 안 좋다.'

하지만 캠콤이 아무 생각 없이 게임을 만들지 않은 이상, 각 포격 타입상 밸런스 차이가 있을리가 없죠.

아시다시피 건랜 포격에는 3가지 타입이 있습니다. 일반형, 확산형, 방사형

대개 일반형 보다는 뒤의 두 가지를 추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실제 비교해보지요.

아래는, 예전에 나온 건랜 포격에 대한 인벤 기사입니다. 이 글은 여기에다가 실제 유저로서 첨언을 덧 붙이는 정도입니다.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1752&query=view&p=1&category=&sort=PID&orderby=&where=&name=subject&subject=&content=&keyword=%B0%C7%B7%A3%BD%BA&sterm=&iskin=&l=110

1. 데미지의 경우

일단 용격은 포격 타입이 아니라, 포격 레벨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니 패스하도록 하고,

포격 타입

장전 수

소모 예리도(명검 시)

고정데미지

화속성 데미지

총 데미지

일반형

5

3 (1)

30

12

42

방사형

3

4 (2)

40

20

60

확산형

2

7 (3)

52

16

68

(Lv. 5 포격 데미지임)

간단하게 정리해봅시다. 장전 수가 적으면, 장전을 여러번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명검에 의해서 극적으로 예리도 감소가 이루어지죠?

풍[대], 고귀 이런 스킬에 한눈 팔지 마세요...건랜유저라면 가장 먼저 맞춰야 하는 스킬은 명검입니다

물론 몇몇 변태 예리도의 강종 건랜은 빼고-ㅅ-...잠깐 잡설이었고.

하지만 장전 수가 적은 경우에는 대신 데미지가 더 강하지요.

우선, 한 번 장전시 줄 수 있는 데미지를 비교하면,

일반형 : 42 × 5 = 210, 30 × 5 = 150

방사형 : 40 × 3 = 180, 40 × 3 = 120

확산형 : 68 × 2 = 136, 52 × 2 = 104

..아무래도 장탄 수가 많은 일반형쪽이 높게 나오지요?

하지만 sp로 올라가면 의미가 줄어드는 화속성 데미지를 제외해보면, 고정 데미지 부분을 보면 확산형의 효율은 높아집니다.(물론 이 데미지도 몬스터 고유 방어율로 감소는 받긴 하지만)

물론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 각 상황 조건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달라지긴 하겠지만,

포격데미지의 경우, 속성 공격력이 유효한 하위에서는 일반-방사형이 우위를 점하지만, 후반 sp로 갈수록 확산형이 포격 데미지에 있어서는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건랜의 뎀딜은 포격이 차지하는 비율은 가장 낮습니다.

이는 예전에 건랜게시판에서 일어났던 '공[대]'논란'에서 이미 충분히 결론이 난 것으로 생각하며,

결국 건랜의 경우도 포격보다는 참격이 뎀딜의 중심입니다 (공[대]필수)

우선 장탄 수가 많고 예리도 소모가 적은 일반형이 참격 콤보를 넣을 때 큰 이점을 보입니다.

붙어서 몹을 치는 중에 마비나 기절이 걸린 경우 상대적으로 장탄 수가 많은 일반형 건랜이, 장탄 수가 부족한 확산형 건랜보다 높은 dps를 뽑아내지요.

마찬가지 관점에서 흰예리도 유지하면서 플레이...이런 쪽에 있어서는 아무래도 일반형 건랜이 유리하지요.

반대로 더러운 육질을 지닌 몹 상대로 포격 위주의 플레이를 한다면, 확산형이 더 좋을 수 있습니다.

저는 어느 포격이 더 좋네, 나쁘네 식의 '마징가가 더 세냐, 그랜다이져가 더 세냐?'식의 효율 논쟁은 하기 싫습니다.

참격 위주의 플레이어에게는 일반형이 유리할 수 있고, 변종 상대의 포격 위주의 플레이 시에는 확산형이 효율적일 수 있다 정도로 받아들여 주셨으면 하네요.

2. 포격 범위

처음의 스샷과 링크의 기사글을 보시면 쉽게 이해가 가실 겁니다.

간단하게 말로 풀어 설명하면,

①일반형

라이타의 노즐을 (-)로 놓고 킨 형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총구에서 그 앞부분에 나오는 형태이지요.

②방사형

네..요건 라이타 노즐을 (+)로 놓고 킨 형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거리가 앞으로 긴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③확산형

이건 마땅히 비유할만한게 없긴 한데..

우산을 펼치는 형태의 포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전후 사거리는 일반형과 같습니다)

자신의 좌우 측면까지 쫙 퍼지는 형태의 포격이지요............. 그리고, 전 담배 안 핍니다(...)

처음 건랜을 쓰시거나, 건랜 쓰는 것을 본 분들의 경우 이펙트가 화려한 쪽에 점수를 더 주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실제 '일반형이 안 좋다'라는 편견도 여기에 기인한 측면이 가장 크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일반형 건랜을 가장 즐겨 쓰는 입장으로써 자신 있게 말씀드릴 수 있지만,

일반형 포격의 범위가 좁아서 포격이 안 맞은 경우는 없습니다.

안 맞는 경우는 대개 참격을 잘못해서 안 맞는 경우입니다.

링크글의 그림이 모식도라 엄청난 범위 차이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가장 범위가 좁은 일반형의 포격조차도 다른 무기들의 공격 범위를 고려하면 엄청 넓습니다.

대충 방향만 맞으면 맞을 정도로 말이죠

정말 예외 중의 예외로, 등치 큰(디아브로스나 다른 어룡종) 금관 급 꼬리 칠 때 포격이 안 닿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 이 경우는 거리가 같은 확산형도 똑같이 안 닿거든요.

(극장대검 제외하면, 건랜의 올려베기는 타점이 가장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올려베기후 포격은 극장대검보다도 타점이 높지요)

범위가 넓은 확산형의 경우는, 말그대로 '대충 쏴도 다 맞습니다' =_=;

근데 너무 범위가 넓다보니 주변 파티원들도 다 맞습니다

확산형의 가장 치명적 단점은, 45도 찌르기 상태에서도 포격 쏠 때 조심해야한다는 점입니다.

90도 포격이 아닌 이상 언제나 아군을 휘말리게할 여지가 있다는 점이지요.

(90도 때도 맞는 경우가 있는 것 같긴한데..제가 확산형 건랜을 많이 쓰지 않아서 정확히 말씀은 못 드리겠네요)

플레이 스타일 상, 몹 특성상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는 있지만,

포격 범위가 넓다는 것은 장점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는 범위가 넓다는 것에 이점이 있다는 정도이지, 범위가 좁은 일반형도 충분한 유효 범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3. 포격 형태와 플레이 스타일

위에서도 언급을 했지만, 여기서 다시 정리해보죠.

여기는 좀 사견이 많이 포함되겠지만 다른 분들도 어느정도 공감은 하실 겁니다.

-일반형 건랜스가 유용한 경우

위에서 언급 했듯이 적은 예리도 소모와 넉넉한 장탄 수로, 장전 횟 수는 최소한으로 하면서 참격 횟수를 늘리는 형태입니다.

가드콕콕 플레이도 이 범위라고 할 수 있겠네요.

아무래도 흰예리도 유지하면서 플레이를 할 때도 일반형이 유리한 측면이 있습니다.

다만 참격위주 플레이 시 회피 후 바로 상단 찌르기를 할 수 있을 뿐더러 스텝을 3번까지 밟는 랜스와는 달리,

회피 후 바로 수평찌르기가 나가는 건랜은 좀 난감한 측면이 많습니다.

-방사형 건랜스의 경우

다른 건랜스보다 사거리가 긴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방사형 건랜스를 쓸 때 확실히 이점을 느끼는 몬스터는, 등치가 크거나 주변 공격을 주로 하는 몬스터입니다.

대표적으로 디아-에습-불가-가노통 같이 타점을 높게 잡아야하는 몬스터(다리를 치려고 하면 다른 파티원 대문에 힘들죠),

티가렉스 도도-라잔-아크라시리즈 같이 옆에 있으면 밟히거나 주변 공격에 맞을 여지가 있는 몬스터의 경우, 백-롱백스템을 자주 활용하면서 힛앤런 플레이 하게 되죠.

이런 몬스터 상대로는 사거리가 긴 만큼 상당히 포격위주로 편한 운영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일반형과 포격형태가 비슷하므로 유사한 플레이도 가능 하지요.

-확산형 포격의 경우

아무래도 다른 타입의 건랜보다는 경험이 적기 때문에 그리 쓸만한 말은 못드리겠지만,

일단, 회피후 포격시 상당한 장점이 있습니다. 회피성능을 띄우고 회피 후 포격, 좌우 범위 덕에 어지간하면 다 맞습니다.

회피(꼭 질풍회피 말하는건 아닙니다) -> 포격 2회 -> 장전 ...이런 식의 플레이에 좋은 효율을 보입니다.

확산형 포격을 할 때 주의 해야할 점은, 역시나 위에서 언급했듯이 뎀딜의 중심은 어디까지나 참격입니다.

마비-기절 시에 포격-장전을 반복하는 삽질은 하지 맙시다. 콕콕콕-펑-콕콕콕-펑이 가장 높은 뎀딜이라는 것을 잊지 맙시다.

다만 파티플 시 확산형 포격은 아군 안날릴려면 정말 골치가 아프죠;

위에서도 썼지만 45도 포격으로도 아군이 맞습니다(포격이 자신을 중심으로 퍼지므로)

그렇기에 올려베기를 자주 쓰게되어 회피-가드 타이밍 잡기가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장전 타이밍을 자주-얼마나 안전하게 잡느냐가 관건이겠네요.

변종 상대로는 포격 효율이 많이 올라가니, 포격 활용이 중요해집니다.

아무래도 제가 일반형 포격을 가장 선호하기는 합니다만, 나름 중립적으로 쓰려고 노력은 했습니다...(어?!)

포격 형태의 차이는 건랜의 좋고 나쁨을 결정하는 척도가 아닙니다.

자신의 플레이 스타일과 몹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포격형태의 건랜을 선택하시면 되는거죠 ㅇㅇ

다만 지금 현실상 건랜의 포격뎀지의 효율은 점점 잉여화되고 있으므로,

기본적으로 상당히 암울하다고도 볼 수 있는게 현실이지요.

용격의 경우 꽤 효율이 있습니다만, 포격의 경우 참격 이상의 효율이 안나오는게 현실입니다
(실제로는 참격 콤보연결용 외에는 큰 용도가 없다고 보는게 맞을정도입니다)

한손검 상향은 계획되고 있는데, 왜 건랜은 상향을 안하는지 모르겠네요.

가뜩이나 렵적과 함께 유일하게 특수리치에서 소외된 무기인데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