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포효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성능에 관해서 고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포효란?
몬스터가 크게 울부짖어서 유저를 강제적로
'귀를 막는 자세'를 취하게 만들어, 무방비 상태로 만듭니다.

포효는 기본적으로 포효(소) ,포효(대)등이 있으며,
판정의 지속시간에 따라 지속형 / 단발형으로 나뉩니다.

일부 몬스터는 포효와 함께 공격 판정이 있는 몬스터도 존재합니다.



포효를 막는 방법

※ 방어구나 장식주에 붙은 '청각보호' 스킬 포인트가

+10 이 되면   귀마개      [ 포효 (소)를 무시 가능 ]
+15 가 되면 고급 귀마개 [ 포효 (대)를 무시 가능 ]

※ 혹은 1회용    귀마개나
          1회용 고급 귀마개
를 사용해서 포효를 무시 가능합니다.
[다만 1회용 시리즈는 퀘스트에 들고 나갈수있는 갯수가 각 3개씩이니
포효를 자주 하는 몬스터라면 귀마개 스킬을 띄우는 편이 좋습니다. ]

그리고 모든 포효는 기본적으로 가드가 가능합니다.
지속형이라고 해도 가드 뒤에는 영향을 받지않습니다.

그외 단발형의 경우 회피를 통해 피할수가 있습니다.
혹 은 지속이지만 회피로 피할수 있는 정도의 지속시간을 가진 경우 회피가 가능합니다.



-----------------------------------------------------------------------------------------

 

포효의 발동 광경

발동순서

뿌옇게 맺힌 포효 이미지가 보인 뒤 동일한 프레임에 판정이 시작 되었습니다.
아이템의 파괴 메세지는 1프레임 뒤에 내려오니, 판정의 시작점은 각각의 3번째 스샷입니다.


---------------------------------------------------------------------------------------------

포효가 닿는 근거리 /장거리에 따른 차이



거리에 관계없이 포효 발동과 동시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



포효의 범위 / 지속의 확인



 

포효는 '일정한 범위'를 가지고 있고, 지속형의 경우 지속 시간내에
포효 범위 안으로 들어가게 되거나, 범위 안에 있다면 영향을 받게 됩니다.



포효

포효를 이미지 적으로 표현하면 이런 모양이 되지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

포효 범위의 이동



 

조금 늦게 포효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걸 보고 포효 판정 이동시간이 있는게 아닐까 하고 생각했었습니다만
위에서도 적었듯 , 포효 판정은 일정한 범위 안에서는 동시에 적용 됩니다.

그렇다면 위의 영상은 어떻게 된거냐 하면,

영상의 디아브로스의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 포효 범위가 이동합니다.
지속형인 포효 그리고 포효중 '∩' 이런 형태로 머리를 이동시키기에 포효의 범위가 이동하는 효과를 보입니다.

---------------------------------------------------------------------------------------------------


고찰 결론 몇가지

1. 포효 발동 순간, 일정한 범위 전체에 영향을 미칩니다. [거리에 따른 차이 없음]

2. 포효는 일정한 범위를 가집니다.

3. 지속형 포효의 경우, 지속 시간 내에 포효 효과 범위에 들어가면 뒤 늦게라도 영향을 받습니다.

4. 마비 상태에서도 포효에 맞기는 하나, 1회용 귀마개는 소비되지않습니다.
물론 귀를 막는 경직도 없습니다. 단지 무언가에게 맞은듯 움찔거립니다.

5 몬스터들이 포효후 나오는 파동 = 포효 지속 판정은 아닌듯 합니다.
단지 연출상 그렇게 표현해놓은듯 합니다.
[ 회피로 피할수 있는 몬스터의 포효를 보면 확인가능합니다. ]

6. 포효 판정의 범위는 머리 쪽를 기준으로 이뤄집니다. [ 예상으로는 이펙트 부분을 기준으로 하는 듯합니다.]
[ 바바콩가의 경우는 엉덩이 쪽에 이펙트가 나오니 엉덩이 기준일듯합니다. ]


7.지속형 포효를 하며 머리를 이동시키는 몬스터의 경우, 머리 이동에 따른 포효 판정의 이동이 이뤄집니다.



※ 위의 내용에서 유추할때 [포효 발동 순간, 일정한 범위 전체에 영향을 미칩니다.]
포효를 회피할때, 방향을 가리지않고, 타이밍만 맞추면 될것 같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_ _)
지적 사항이나 추가사항있다면 리플 부탁드립니다.